스펙보다 성실감 보여줘라···기업 44% "스펙중심 채용 바꾼다"
탈스펙 채용전형이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기업 10곳 중 4곳이 신입 채용 시 스펙중심에서 벗어나기 위한 채용전형 변화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올 상반기 신입 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 285개사를 대상으로 '스펙중심의 채용전형 변화 계획'을 조사한 결과, 절반에 가까운 44.2%가 '스펙중심 채용에서 벗어나도록 변화를 줄 것'이라고 답했다. 젼형별로 살펴보면, 주로 '면접전형'(85.7%)에서 변화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서류전형'(11.9%), '인적성검사'(2.4%) 순이었다. 구체적인 변화로는 '실무면접 비중 강화'(33.3%,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자격조건 없는 완전 열린채용 도입'(31%), '인성면접 비중 강화'(26.2%), '자유기재항목 등 자기PR기회 제공'(23.8%), '1, 2차 등 단계별 심층 면접 진행'(21.4%), '자격조건 일부 폐지 등 기준 완화'(19%), '이력서 항목 줄이거나 양식 간소화'(16.7%), '자기소개서 항목 다양화 및 차별화'(14.3%), '이색적이거나 다양한 면접 실시'(7.1%) 등이 뒤를 이었다. 이렇게 스펙중심의 채용방식에서 벗어나려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인재상에 부합하는 인재를 뽑기 위해서'(45.2%,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고스펙과 직무능력은 관계 없어서'(33.3%), '스펙만으로 지원자를 세세히 파악하기 부족해서'(26.2%),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서'(19%), '스펙은 어차피 변별력이 낮은 것 같아서'(16.7%), '고스펙자를 뽑아도 조기이탈이 많아서'(11.9%) 등이 있었다. 실제로 이들 기업 대부분(88.1%)은 지원자의 스펙이 '일정 기준만 넘기면 동일하게 평가'하고 있었다. 기업들이 스펙 대신 중요하게 평가하는 부분은 '책임감, 성실성 등 인성'(69%,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뒤이어 '근속의지 등 조직적응태도'(33.3%), '잠재력, 성장성'(31%), '직무 수행 능력'(26.2%), '창의, 창조적 사고'(23.8%), '팀워크, 리더십 등 사회성'(23.8%), '가치관 등 성향'(21.4%) 등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