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국명
기사사진
濠방송 진행자 "장난전화가 사람 잡을 줄 몰랐다"

"장난전화가 이런 결과를 초래할지는 전혀 예상치 못했다." 영국 왕세손비가 입원했던 병원의 간호사를 죽음으로 내몰았다는 비난에 시달리고 있는 호주의 라디오방송사 '2데이FM'의 진행자들이 마침내 입을 열며 유족들에게 사과의 뜻을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진행자보다 방송 책임자의 책임이 더 크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0일 호주 언론에 따르면 간호사 재신사 살다나(46)의 자살 직후 방송진행직에서 하차한 뒤 칩거해온 '2데이FM'의 공동 진행자 멜 그리그와 마이클 크리스천은 이날 오후 6시30분(현지시간)에 방송된 채널9의 시사 프로그램 '커런트 어페어'에 출연, 심경을 밝혔다. 이들은 사전 녹화된 '커런트 어페어'의 진행자 트레이시 그림쇼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결과가 초래될지는 전혀 예상치 못했다"며 "자살한 간호사 유족과 친구들에게 정말 미안하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우리가 진행하는 것과 같은 프로그램에서 장난전화는 매우 일반화된 방식이며 수많은 다른 프로그램들도 그렇게 하고 있다"며 "지금까지 이런 일이 발생한 적은 한 번도 없었기에 이번 일은 매우 충격적"이라고 토로했다. 이들은 간호사의 자살 소식을 듣고 어떤 심경이었냐는 그림쇼의 질문에 한동안 말을 못하다가 "유족들에게 정말 미안하다"고 말하는 장면에서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그림쇼는 "인터뷰를 하면서 이들에게 어느 정도 연민을 느꼈다"면서 "당시 '2데이FM'의 프로그램은 생방송이 아니라 녹화방송이었기 때문에 해당 방송이 전파를 타도록 결정한 사람들은 따로 있다"고 지적했다. 책임을 함께 져야할 사람이 있는데도 진행자에게만 모든 책임을 뒤집어씌우고 있다는 주장이다. 앞서 그리그와 크리스티안은 지난 4일 영국 왕실을 가장해 영국 왕세손비 케이트 미들턴이 입원해 있던 런던 킹에드워드 7세병원에 장난전화를 걸었다. 당시 이 전화를 처음 받았던 살다나는 담당 간호사에게 전화를 연결했고, 결국 미들턴의 병원 정보가 전파를 탔다. 이후 이 병원의 환자 정보 관리 체제에 대한 문제가 불거졌고, 살다나는 장난전화를 받은 지 사흘 뒤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현지 경찰은 그가 심적 부담감 때문에 자살한 것으로 보고 있다.

2012-12-10 17:55:38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