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민준
기사사진
美하원 4명, 미국내 北이산가족 상봉 촉구 결의안 발의

북한에 가족이나 친척을 남겨두고 미국에 이민을 온 한국계 미국인과 북한 내 친지의 상봉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미국 연방 하원에서 발의됐다. 7일(현지시간) 워싱턴DC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한국전쟁 참전용사 출신의 찰스 랭글(민주·뉴욕), 존 코니어스(민주·미시간), 샘 존슨(공화·텍사스), 하워드 코블(공화·노스캐롤라이나) 하원의원은 전날 이런 내용의 공동 결의안(H.CON.RES.91)을 하원 외교위원회에 제출했다. 이들은 결의안에서 "한반도 분단으로 1000만명의 한국인이 서로 떨어져 살고 있고 이 가운데 일부는 미국 시민권자"라며 "남북한 간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간간이 열리고 있음에도 미국이 북한과 외교 관계가 없다는 이유로 한국계 미국인은 배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2001년 현재 10만명 이상으로 추산되는 한국계 미국인 이산가족의 상당수는 이미 세상을 떠났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이 60년 만에 처음으로 북한에 있는 친지를 만날 기회를 얻기를 학수고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 4명의 의원은 앞서 지난달 초 미국 내 한국인 이민자의 이산가족 상봉과 북한에 억류된 케네스 배(한국명 배준호)씨의 석방을 촉구하는 내용의 서한을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를 통해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게 보낸 바 있다.

2014-03-08 05:41:31 김민준 기자
기사사진
박 대통령 "북 미사일 도발 독자 대응능력 조기 확충"

박근혜 대통령이 "하루속히 핵을 내려놓고 평화와 통일의 길로 함께 나아갈 수 있도록 진정성 있는 결단을 내릴 것을 북한이 촉구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6일 충남 계룡대 대연병장에서 열린 제4회 육·해·공군 장교 합동임관식에 참석해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진정성 있는 걸음을 내디딘다면 우리와 국제사회는 북한의 발전과 한반도의 실질적 평화, 그리고 동북아의 공동 번영을 위해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남북 간에 경제협력을 가로막고 있는 결정적인 걸림돌이 바로 북한의 핵"이라며 "핵 무력과 경제발전을 동시에 추구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북한은 하루빨리 분명히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 우리는 한반도 통일이라는 새로운 시대를 향한 큰 시작을 준비하고 있다"며 "우리 민족이 다시 하나가 되는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의 토대를 쌓는 일이 우리에게 주어진 역사적 책무이자 사명"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우선 군은 북한이 어떠한 형태로든 감히 도발할 수 없는 강력한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만약 도발한다면 단호하게 응징해야 할 것"이라며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 위협에 대해서는 한미 연합방위체제를 강화하면서 우리의 독자적인 대응능력도 조기에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14-03-06 16:19:14 김민준 기자
기사사진
군병력 8년간 11만명 감소…군단중심 작전

국방부가 2022년까지 우리 군의 상비병력을 52만여명 수준으로 줄이고 이 중 40% 이상을 간부로 편성하기로 했다. 특히 1·3군사령부를 통합해 지상군작전사령부(지작사)를 창설, 전방 군단을 직접 지휘하며 지상작전을 책임지게 했다. 6일 발표된 '국방개혁 기본계획(2014-2030)'에 따르면 1·3군사령부를 통합해 지작사를 창설한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이후에는 합참의장의 지휘를 받아 전방 군단을 통솔하면서 우리 군의 지상작전을 맡게 된다. 군의 작전체계가 합참의장-지작사령관-전방 군단장으로 단순 일원화해 군의 작전수행체계를 야전군사령부에서 전방 군단 중심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2026년까지 8개에서 6개로 감축되는 군단에는 공군 요원들로 구성된 항공지원작전본부(ASOC)가 편성된다. 북한의 240㎜ 방사포와 170㎜ 자주포 등 장사정포의 공격 움직임이 가시화되면 전방 군단장이 직접 ASOC에 지시해 지대공미사일과 유도폭탄 등을 장착한 공군 전투기의 출격 요청을 할 수 있게 된다. 지작사가 창설되면 4성 장군(대장)은 현재 8명에서 7명으로 줄어든다. 전작권 전환 이후에는 합참의장을 보좌하는 합참차장(중장)이 1명에서 2명으로 늘어난다. 1차장은 군사력 건설 분야를, 2차장은 작전지휘 분야를 각각 보좌하게 된다. 상비병력은 현재 63만3000명에서 2022년까지 52만2000명으로 11만1000명이 줄어든다. 육군만 49만8000명에서 38만7000명으로 감축되고 해군(4만1000명)과 공군(6만5000명), 해병대(2만9000명)는 병력규모에 변화가 없다. 육·해·공군 병력 중 간부 비율은 현재 29.5%에서 42.5%로 향상 조정된다. 병사는 44만6000명에서 30만명으로, 장교는 7만1000명에서 7만명으로 줄이는 대신 부사관을 11만6000명에서 15만2000명으로 늘린다. 지작사 창설시기는 2012년 국방개혁안 발표 때만 해도 2015년 말로 예정돼 있었지만 전작권 전환 재연기 등을 이유로 5년가량 미뤄졌다.

2014-03-06 11:22:09 김민준 기자
기사사진
군 작전체계 전방군단 중심 개편…'능동적 억제' 개념

우리 군의 작전수행체계가 5년 내에 야전군사령부에서 전방 군단 중심으로 개편된다. 핵심 군사전략도 한반도에서 전면전을 억제하기 위해 선제적인 대응조치까지 취할 수 있는 '능동적 억제' 개념으로 바뀐다. 국방부는 6일 '국방개혁 기본계획(2014-2030)'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해 재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계획안에 따르면 현재 야전군사령부 중심으로 이뤄지는 우리 군의 작전수행체계가 5년 이내에 전방 군단 중심으로 개편된다. 군단은 야전군사령부의 인사, 군수, 전투근무지원 등 군정기능과 작전지휘 기능을 모두 행사하게 돼 사실상 '미니 야전군사령부'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항공단, 방공단, 군수지원여단을 군단에 편성하고 참모부 기능도 대폭 보강된다. 또 군단에 공군의 항공지원작전본부(ASOC)를 편성, 군단장이 지상전투 때 공군 화력을 직접 요청할 수 있도록 했다. 작전수행체계가 군단으로 이동하면 현재 '30㎞(가로)×70㎞(세로)'인 군단의 작전책임지역은 '60㎞×120㎞'로 면적이 3∼4배 확대된다. 1·3군사령부를 통합해 창설하는 지상작전사령부는 전작권 전환 이후 합참의장의 작전지휘를 받아 군단을 지휘하게 된다. 1·3군이 통합되면 대장직위 1개는 폐지된다. 2030년까지 마칠 계획이던 군단과 사단, 기갑여단 등의 부대 개편작업은 2026년으로 4년 빨라졌다. 군단은 8개→6개로, 사단은 42개→31개로, 기갑·기보여단은 23개→16개로 각각 줄어든다. 이 중 사단은 28개로 줄이기로 계획돼 있었으나 이번에 3개 기계화보병사단은 존속시키기로 결정됐다. 2012년 8월 발표된 '국방개혁 기본계획(2012-2030)'에 명시된 '적극적 억제'라는 우리 군의 핵심 군사전략이 이번에는 '능동적 억제' 개념으로 수정됐다. 국방부는 "능동적 억제 개념은 북한의 다양한 위협을 실효적으로 억제하고 북한 도발 시 자위권 차원에서 단호하게 대처해 추가 도발의지를 분쇄하는 것"이라며 "특히 전면전을 억제하기 위해 선제적인 대응조치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2014-03-06 10:52:05 김민준 기자
건설공사 하도급 부조리 여전…서울시 3년간 883건 접수

아직도 공공 건설공사에서 대금 미지급과 임금체불 등 하도급 부조리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011년 문을 연 하도급 부조리신고센터에서 지난해까지 3년간 883건을 신고받아 처리했다고 5일 밝혔다. 신고 사례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130억2500만원에 이른다. 신고 건수는 2011년 309건과 2012년 326건에 이어 지난해 248건으로 낮아졌지만, 금액은 2011년 30억9600만원에서 지난해 59억1600만원으로 높아졌다. 유형별로 보면 '자재·장비대금 미지급'이 46%로 가장 많고, '임금 미지급'(30%)과 '하도급 대금 미지급'(17%) 이 뒤를 이었다. 체불 기간은 '4개월 초과' 사례가 2011년 88건에서 지난해 28건으로 감소한 반면 3개월 이하 단기 체불 신고는 12건에서 72건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시는 접수 민원 가운데 불법행위가 의심되는 업체를 대상으로 특별조사를 벌여 불법재하도급(12건), 건설업 무등록 시공(8건), 현장기술자 무단이탈(2건) 등 총 25개 업체를 적발해 조처했다. 송병훈 서울시 감사관은 "임금을 상습적으로 1∼2개월 늦게 지급하거나 장비대금을 체불하는 사례가 여전하고 은밀한 불법 하도급 행위가 아직 남아 있다"며 "하도급 부조리 예방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2014-03-05 14:44:54 김민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