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민준
기사사진
군장비 '카이샷' 등 기밀 북한에 넘긴 대북사업가 구속

남북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하는 정부지원 민간단체 고위 간부로 활동하던 대북 사업가 강모(56)씨가 북한 공작원에게 국가기밀을 넘기는 등 간첩 활동을 한 사실이 검찰에 적발됐다. 서울중앙지검 공안1부는 4일 사단법인 남북이산가족협회 이사 겸 ㈜코리아랜드 회장 강씨를 국가보안법상 간첩 혐의로 구속 기소했다고 밝혔다. 강씨는 2012년 3월부터 2013월 7월까지 재중 북한 정찰총국 소속 대남공작원 리모씨에게 이산가족 명단, 무선 영상송수신장비 '카이샷'관련 상세자료 등 국가 기밀·안보와 관련된 중요 자료 6건을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에 따르면 강씨는 1990년대 후반부터 자신의 신분을 이용해 대북 사업 명목으로 3차례 방북하고 중국을 자주 드나들면서 북한 공작원에게 포섭돼 주변 지인을 대상으로 국가기밀과 중요자료를 탐지·수집했다. 강씨가 접촉한 북한 공작원 리씨는 2000년대 초반부터 대북사업을 가장해 대남 공작활동을 주도한 인물로 일명 '흑금성' 간첩사건, '디도스 공격' 등의 상부선으로 지목된 바 있다. 조사결과 강씨가 넘긴 자료에는 경기도 평택에 거주하는 남북이산가족 396명의 신원사항 및 가족명단, 남북이산가족협회 설립자명부 및 정관·협회 소개자료, 다수의 군·경찰이 보유한 '카이샷' 등의 국가기밀이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카이샷은 소말리아 해적 소탕작전 등 주로 대테러 및 경호 등 주요 작전에 쓰이는 장비로 주파수는 3급 군사기밀이다.

2014-02-04 15:41:54 김민준 기자
기사사진
과학기술 엘리트 장교 '탈피오트' 도입…매년 20명 선발

이스라엘의 과학기술 엘리트 장교 육성 프로그램인 '탈피오트(Talpiot)' 제도가 국내에도 도입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4일 국방부와 '과학기술 및 사이버 분야 전문인력 양성과 활용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올해부터 과학기술전문사관 후보생을 매년 20명 모집해 군 복무기간 다양한 기술분야를 연구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과학기술전문사관 후보생 모집 대상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포항공대(포스텍), 광주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대학교 등 과기특성화대학에 재학 중인 2학년생이다. 후보생은 3~4학년 동안 국방과학 관련 분야 교육을 포함한 학사 과정을 이수하고 졸업한 뒤 전기·전자, 기계, 컴퓨터(소프트웨어), 물리·화학 분야 연구개발 전문장교로 임관해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근무한다. 올해 10월 선발되는 제1기 과학기술전문사관 후보생은 2017년 임관해 3년간 복무한다. 정부는 선발된 후보생에게 등록금 전액과 소정의 전문역량 개발비를 지급한다. 전역 후에는 개인 희망에 따라 상위학위 진학이나 취업·창업을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제도 운영의 성과에 따라 앞으로 정원 규모, 선발대학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내년부터 매년 20여명의 사이버 전문 부사관·사병을 선발한다. 미래부와 국방부는 4월까지 소요인력, 선발방식, 교육과정 등 세부 운영방안을 협의해 10월 중 교육과정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

2014-02-04 13:36:06 김민준 기자
서울 한식집·커피숍·호프집 3년내 절반 폐업

2008년 서울에서 문을 연 음식점과 휴대전화 매장, 커피숍 등의 절반가량은 3년 이내에 문을 닫았다. 반면 편의점과 카센터, 세탁소는 열 곳 가운데 일곱 곳 이상이 생존했다. 4일 서울시와 서울신용보증재단이 공개한 '2013 서울 자영업자 업종지도'를 보면 외식업(10개), 서비스업(22개), 도소매업(11개) 등 생활밀접형 43개 업종 가운데 자영업자가 가장 많은 업종은 한식음식점으로 나타났다. 한식음식점 1곳당 유동인구는 270명으로 외식업 중 가장 경쟁이 치열했고, 호프·간이주점(677명)·분식집(1350명)·커피음료(1377명)·치킨집(2950명) 등도 유동인구 대비 사업체 수가 많았다. 지역별로 한식음식점 밀집도는 서대문구가 1개 사업체당 유동인구 74명으로 가장 높았고, 동작구가 405명으로 가장 낮았다. 호프·간이주점도 서대문구가 1곳당 132명으로 밀집했고, 중구는 1곳당 1444명으로 업체 수가 가장 적었다. 서비스업의 경우 부동산중개업(572명)의 밀도가 가장 높았고, 그 뒤를 미용실(848명), 입시·보습학원(1602명), 예체능학원(1688명), 세탁소(1707명)가 이었다. 입시보습학원은 양천구가 사업체당 유동인구187명으로 가장 밀집했고, 중구는 1만5663명으로 밀도가 덜했다. 보육시설 고밀지역은 도봉구(744명)였으며 저밀지역은 중구(1만6302명)였다. 보육시설은 노원, 도봉, 은평 등 강북지역과 송파, 강서 등 주거지역에 밀집돼 있었다. 도소매업 밀도는 의류점(654명)이 가장 높았고, 슈퍼마켓(1103명), 휴대전화 매장(2398명), 약국(2496명), 편의점(2565명)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자영업체수는 중구가 5만9600개, 강남구가 5만8000개, 송파구가 4만2800개로 상위권을 기록했다. 하지만 분석대상이 된 43개 생활밀접형 최다보유 자치구는 강남구로 한식·양식·일반의원·부동산중개업 등 24개 업종이 밀집돼 있었다. 2011년 기준으로 창업 후 생존해 있는 사업체의 생존율은 1년 81%, 2년 67%, 3년 54%로 나타났다. 3년간 생존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보육시설(90%), 치과·일반의원(78%), 약국(76%), 자동차 수리(75%) 순으로 주로 전문 업종이었다. 생존율이 낮은 업종은 PC방(32%), 의류점(43%), 휴대전화 매장(44%), 당구장(44%), 부동산중개업(46%) 순으로 두 곳 중 한 곳꼴로 3년 내에 폐업했다. 창업을 준비하고 있는 사람들은 서울신용보증재단 홈페이지(www.seoulshinbo.co.kr)에서 자영업자 업종지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14-02-04 13:15:42 김민준 기자
기사사진
주민등록번호 제도 바뀌나…발행번호 대체 등 검토

카드사와 시중은행에서 줄줄이 유출된 주민등록번호 제도가 개편될 전망이다. 안전행정부 관계자는 4일 "개인정보보호 강화대책의 하나로 주민등록번호 제도개편에 대한 검토에 착수했다"며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개편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민등록번호 대량유출 사태와 함께 현 주민등록증은 1999년 일제 경신된 이후 15년이 흘러 다시 일제 경신할 시기가 됐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안행부는 2010년 주민등록증 위변조 방지를 위해 IC칩이 달린 전자주민등록증 도입을 추진했다가 인권단체 등 시민사회의 반발로 실패한 바 있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가장 유력한 방안은 주민등록번호를 주민등록증 발행번호로 대체하는 것이다. 주민등록증 발행번호로 대체하면 사회적 혼란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발행번호는 개인의 특성을 유추할 수 없는 무작위 번호로, 필요시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주민등록번호 자체를 바꾸는 것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주민등록번호 13자리 중 생년월일을 나타내는 앞 여섯 자리와 성별을 나타내는 뒤 한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번호 등은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공기관이나 민간사업자가 보유한 주민등록번호를 전부 암호화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민주당 이찬열 의원은 지난해 12월 주민등록번호 전부 암호화를 의무화하는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을 발의해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2014-02-04 13:01:55 김민준 기자
이산상봉 실무접촉 5일 오전 10시 판문점 개최

이산가족 상봉 행사 준비를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이 5일 오전 10시 판문점 북측 지역인 통일각에서 열린다. 통일부는 3일 오후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5일 실무접촉에 동의해 왔다"고 밝혔다. 앞서 북측은 이날 오전 10시께 5일 또는 6일 남측이 편리한 날짜에 판문점 북측지역인 통일각에서 적십자 실무접촉을 갖자고 제안해 왔고 정부는 곧바로 "북측이 우리측의 제의를 수용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 "5일 남북적십자 실무접촉을 갖자"는 내용의 전화통지문을 북측에 보냈다. 북한의 이날 입장 통보는 우리 정부가 이달 17∼22일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열자고 지난달 27일 제의한 지 일주일 만에 이뤄진 것이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북측이 이제라도 이산가족 상봉문제 협의에 호응해 나온 것을 환영한다"며 "우리 정부는 이산가족 문제의 시급성을 고려해서 될 수 있으면 제일 빨리, 최대한 빨리 (상봉 행사가) 개최할 수 있도록 준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남북은 실무접촉 하루 전인 4일 대표단 명단을 교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산가족 상봉을 위해서는 최소 2주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번 실무접촉으로 애초 우리 정부가 추진해 온 2월 중순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2014-02-03 17:47:20 김민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