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맛나는세상이야기] 오뚜기 "사회공헌은 기업의 또 다른 책무"
'보다 좋은 품질, 보다 높은 영양, 보다 앞선 식품'으로 인류 식생활 향상에 이바지해온 오뚜기가 어느덧 54주년을 맞았다. 1969년 문래동 공장에서 즉석 카레를 드는 것으로 시작해 국내를 대표하는 식품 업체로 서기까지 오뚜기는 기업의 사회적 기여를 성실히 실천해왔다. ◆미래 사회의 주인공은 어린이 오뚜기의 대표적인 사회공헌 사업으로는 '선천성 심장병 어린이 후원'이 있다. 오뚜기는 1992년 7월부터 한국심장재단과 결연을 맺고 선천성 심장병 어린이 수술비 후원사업을 전개해오고 있다. 경제적인 이유로 수술을 받지 못해 고귀한 생명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오뚜기는 후원 사업을 시작한 1992년부터 오늘날까지 IMF, 장기적인 경기불황 등 갖가지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심장병 어린이 후원을 멈추지 않았다. 오히려 후원 인원을 단계적으로 늘려왔다. 5명 후원으로 시작한 후원은 매월 22명의 어린이에게 새 생명을 찾아주고 있다. 지난해 기준 누적 후원 인원은 5815명에 달한다. 오뚜기는 매월 5월 '스위트홈 오뚜기 가족요리 페스티발'을 열고 이 자리에 선천성 심장병 완치 어린이들을 초청해 요리교실도 진행한다. 또한 심장병 완치 어린이와 가족을 충북 음성에 위치한 오뚜기 대풍공장에 초청해 공장견학, 신제품 요리시연회도 진행하고 있다. ◆차별없는 세상 만들기 앞장 장애인 학교와 장애인 재활센터를 운영하는 밀알복지재단의 굿윌스토어와 함께 장애인의 자립을 돕는 '밀알복지재단 굿윌스토어 장애인 지원 협력사업'도 있다. 밀알복지재단 굿윌스토어 장애인 지원 협력사업은 2012년부터 전개해오고 있으며, 임가공 위탁과 제품기증, 나눔 캠페인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친다. 오뚜기는 주요 선물세트의 조립을 밀알복지재단 굿윌스토어에 위탁하고 있다. 단순히 후원금을 기부해 금전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들이 스스로 일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받아 자립할 수 있도록 재활을 돕는 모범사례다. 지난해 기준 임가공 위탁 제품 누적 생산량은 783만 세트다. 아울러 밀알복지재단 굿윌스토어 송파점, 도봉점, 전주점, 구리점, 대전점, 성남점, 창원점, 일산점, 강남점, 인천점에 매월 오뚜기제품을 기증해 소비자들에게 적절한 가격으로 판매, 그 수익금으로 장애인 직원들의 임금과 복지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사업도 전개중이다. 오뚜기의 장애인 배려는 제품 기획에도 나타나있다. 컵라면의 물 붓는 선을 인지하기 어렵다는 시각장애인들의 고충을 수렴해 컵라면 용기에 점자 표기를 도입했다. 제품명과 물 붓는 선, 전자레인지 사용 가능 여부 등을 나타내는 기호를 점자로 표기한 것. 저시력 시각장애인이 점자 위치를 쉽게 인지하도록 점자 배경은 검은색, 점자는 흰색으로 인쇄했다. 컵라면 전 제품은 물론 컵밥 14종 및 용기죽 전 제품(8종)에 점자 표기를 완료했다. 지난해 11월 임직원 명함에도 점자를 적용하는 등 노력을 인정받아 12월 '2022 한국장애인인권상' 민간기업부문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받았다. 오뚜기 관계자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차별 없이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인재 양성에도 아낌없는 지원 재단법인 오뚜기함태호 재단은 창업주인 故함태호 명예회장이 1996년 사재를 출연해 설립한 재단으로 다양한 학술진흥사업, 장학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함태호 명예회장은 기업경영을 통한 기업이윤의 사회환원 측면에서 '국가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유능한 인재 양성을 통해 국민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것은 기업의 또 다른 책무'라는 소신을 갖고 오뚜기함태호재단을 설립했다. 1997년 5개 대학 14명의 장학금 지원을 시작으로 지난해 12월까지 1165명에게 79억여원의 장학금을 전달했다. 2009년에는 오뚜기 학술상을 제정, 연2회 한국식품과학회와 한국식품영양과학회를 통해 식품산업 발전과 인류식생활 향상에 기여한 공로가 큰 식품관련 교수 2명을 선정해 시상하고 있다. 2019년에는 '오뚜기함태호학술상'으로 명칭을 변경해 2022년까지 총 26명이 수상했다. 또한 학술 진흥을 위해 2013년부터 식품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자에게 2022년 12월까지 총 90명에게 86억여원의 연구 및 출판비를 지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