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기업은행 차기행장, 내부 Vs. 관료
김도진 기업은행장의 임기가 이달 말 종료된다. 차기 행장 후보로는 기획재정부 출신 인사가 주로 거론된다. 다만 기업은행 노동조합이 관료 출신 행장 선임에 반대하고 있어, 차기 행장 자리를 두고 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 기재부 출신 인사 하마평 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달 초부터 오는 27일 임기가 만료되는 김도진 기업은행장 후임 인선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현재 유력하게 거론되는 인물은 반장식 전 청와대 일자리 수석과 정은보 한미방위비협상 대표, 유광열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등이다. 이들은 모두 기획재정부 출신으로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장 후보군으로 거론된 바 있다. 반장식 전 수석은 행정고시 21회를 거쳐 재정경제원 지역경제과장, 기획예산처 예산총괄과장, 사회재정심의관, 예산총괄심의관 등을 맡은 예산 전문가다. 현재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은보 대표는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기획재정부의 국제금융정책관과 차관보,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국장과 부위원장을 역임하고 퇴임한 정통 경제관료다. 지난 9월부터 맡고 있는 한미 방위비 분담금 특별협정 협상대사는 이달 중 종료될 예정이다. 다만 방위비협상이 파행과 재개를 거듭하면서 현실적으로 기업은행으로 자리를 옮기기 어렵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유광열 수석부원장은 경제기획원, 재정경제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을 거친 정통 관료 출신 인사다. 업계 안팎에서는 내부출신 행장을 배출해온 관행이 10년만에 깨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기업은행장은 기업은행법에 따라 별도의 행장추천위원회를 거치지 않고 금융위원장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 기업은행 지분 53.24%를 기재부가 갖고 있는 만큼 기재부와 청와대의 의중이 강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 기업은행 내부 출신, 시석중·임상현 기업은행 내부에선 외부 출신에 난색이다. 노동조합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관료출신 행장 선임을 반대하고 나섰다. 지난 달 29일 노조는 기자회견을 통해 "기업은행장으로 거론되는 유력한 후보 모두가 기획재정부 관료 출신이다"며 "관치금융을 우려한 금융노조와 기업은행 노조가 각각 성명을 통해 기업은행장의 낙하산 인사를 반대했음에도 지속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다"고 말했다. 노조는 또 기획재정부 출신의 인사가 기업은행에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이태용 기업은행 노조 국장은 "리테일 금융으로 전문화된 기업은행에 정부정책만 다뤄온 관료출신이 오는 것은 부합하지 않다"며 "인사선임 절차를 투명하게 해 은행에 필요한 인물이 올 수 있도록 기관장 선임 절차를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반발여론이 거세지면서 무게추도 점차 내부출신인사들로 옮겨가고 있다. 내부출신 후보로는 시석중 IBK자산운용 사장이 유력하다. 시 사장은 지난 기업은행 강남기업금융센터장과 기업고객부장, 인천지역본부장, 마케팅그룹 부문장(부행장)을 역임하고, 지난 2017년부터 3년 동안 IBK자산운용을 이끌어 오고 있다. 시 사장은 지난 2016년 기업은행 부행장으로 김도진 행장과 함께 기업은행장 유력후보로 거론된 바 있다. 기업은행 노조위원장 출신인 시 사장은 내부직원들로부터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시 사장의 경쟁자로는 임상현 기업은행 전무가 거론된다. 임 전무는 기업은행에 입사해 뉴욕지점장, 퇴직연금부장, 경영전략본부 부행장, 경영지원본부 부행장 등을 거쳐 IBK저축은행 대표를 역임한 후 지난 2017년부터 기업은행 수석부행장을 맡고 있다. 임 전무는 개별 사안에 국한되지 않고 은행 업무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며 은행 내부에서 최근까지 남아있는 만큼 다른 후보들보다 현안에 밝다는 평이다. 김도진 기업은행장의 임기는 오는 12월 27일까지다. 금융위는 신임 기업은행장을 12월 중순 임명 제청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