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북한, 5년 만에 '스커드 계열' 발사…키 리졸브 대응 추정

북한이 27일 오후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4발을 발사했다. 국방부는 이날 "북한이 오늘 오후 5시42분부터 강원도 안변군 깃대령 일대에서 북동 방향 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4발을 발사했다"고 공식 확인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북한의 추가 발사 및 도발 가능성에 대해 감시를 강화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현재 발사체의 사거리가 200km 이상인 점을 고려해 스커드 계열의 탄도미사일로 추정하고 있다. 스커드 계열 미사일이 맞는다면 2009년 7월 4일 시험 발사한 이후 5년 만이다. 북한이 보유한 스커드 미사일은 사거리 300km인 스커드-B와 사거리 500㎞인 스커드-C, 사거리 700㎞ 이상인 스커드-D 등이다. 군 관계자는 다만, "신형 지대함 미사일인 KN-02의 개량형이거나 300㎜ 이상 신형 방사포일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며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지난 24일부터 시작된 한미 연합 키 리졸브(Key Resolve) 연습의 대응 차원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북한 경비정은 24일 밤 NLL 서해 북방한계선을 침범하기도 했다. 또 당시 북한의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키 리졸브 훈련이 한반도 긴장을 노린 전쟁연습"이라고 비난하고, "북남관계 개선과 조선반도의 긴장 완화를 위해 성의 있는 노력을 기울이는 공화국에 대한 악랄한 도전"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2014-02-27 21:54:29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프로농구] 모비스 8연승…여자부는 신한은행 승 (종합)

프로농구 울산 모비스가 고양 오리온스를 상대로 대승을 거두며 단독 선두 자리를 지켰다. 모비스는 27일 울산동천체육관에서 열린 2013-2014 KB국민카드 프로농구 정규리그 홈 경기에서 오리온스를 79-54로 이겼다. 주포 양동근이 3점슛 3개를 포함해 21점을 올리고 4개 어시스트를 곁들여 승리를 이끌었다. 이날 승리로 8연승을 해 37승13패를 기록한 모비스는 2위 창원 LG(36승14패)와의 격차를 1경기로 벌리며 선두를 유지했다. 오리온스(24승26패)는 4연패 수렁에 빠졌다. 모비스는 경기 초반부터 오리온스를 제압했다. 양동근과 리카르도 라틀리프가 연속 득점을 해 줄곧 약 20점 차로 앞섰다. 반면 오리온스는 모비스의 수비에 실책을 연발했다. 4쿼터 초반에도 함지훈과 양동근에게 골을 연속으로 내줬다.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공동 4위간의 경기에서는 인천 전자랜드가 18점, 7리바운드를 기록한 리카르도 포웰의 활약에 힘입어 부산 KT에 70-63으로 이겼다. 이로써 3연승을 내달린 전자랜드는 26승24패로 단독 4위가 됐다. 여자부 경기에서는 안산 신한은행이 춘천 우리은행의 우승을 극적으로 저지했다. 신한은행은 27일 경기도 안산 와동체육관에서 열린 우리은행 2013-2014 여자프로농구 정규리그 우리은행과 홈 경기에서 75-72로 승리했다. 경기 내내 우리은행에 뒤졌지만 후반에만 20점을 몰아친 쉐키나 스트릭렌과 7득점을 넣은 김연주의 선전으로 승리했다. 단독 선두 우리은행은 이날 이겼다면 정규리그 우승을 확정 지을 예정이었으나 2위 신한은행에 패해 3월 2일 춘천 홈 경기를 기약하게 됐다.

2014-02-27 21:41:21 탁진현 기자
정부, "北 5년 만에 '스커드 계열' 시험발사" 추정

북한이 27일 오후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4발을 발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이날 "북한이 오늘 오후 5시42분부터 강원도 안변군 깃대령 일대에서 북동 방향 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4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 발사체의 사거리는 200㎞ 이상으로 판단된다"며 "우리 군은 북한의 추가 발사 및 도발 가능성에 대해 감시를 강화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발사체의 사거리가 200㎞ 이상인 점을 고려할 때 스커드 계열의 탄도미사일로 추정하고 있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처음에는 사거리가 170㎞ 안팎으로 추정돼 KN-02 지대함 개량형으로 분석했다"면서 "그러나 사거리가 200㎞ 이상이어서 스커드 계열 미사일로 추정하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북한은 스커드 계열의 미사일을 2009년 7월 4일 시험 발사한 이후 5년여간 한차례도 없었다는 것이다. 북한이 보유한 스커드 미사일은 사거리 300㎞인 스커드-B와 사거리 500㎞인 스커드-C, 사거리 700㎞ 이상인 스커드-D 등을 보유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오늘 발사한 발사체는 스커드 계열로 추정하고 있으나 신형 지대함 미사일인 KN-02의 개량형이거나 300㎜ 이상 신형 방사포일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며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 연합 키 리졸브 연습에 맞춰 개량형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북한군 경비정은 유사시 한반도 방어를 위한 지휘소훈련(CPX)인 키 리졸브 훈련 첫날인 24일 밤부터 25일 새벽까지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3차례 침범한 바 있다.

2014-02-27 21:13:55 정영일 기자
기사사진
북한, 핵실험·미사일 발사 20년 주요 일지

▲1993년 3월12일 : 북한,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선언 ▲1993년 5월11일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북 NPT 탈퇴 선언 재고를 촉구하는 결의 825호 만장일치로 채택. 유엔 안보리의 북핵·미사일 관련 첫 결의. ▲2006년 7월5일 : 북한, 장거리 로켓(미사일) 대포동2호 발사 ▲2006년 7월15일 : 유엔 안보리, 미사일 관련 물자·상품·기술·재원의 북한 이전 금지를 유엔 회원국에 요구하는 권고적 성격의 결의 1695호 만장일치로 도출 ▲2006년 10월9일 : 북한, 제1차 핵실험 ▲2006년 10월14일 :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이행과 제재위원회 구성을 결정한 결의 1718호를 만장일치로 채택. ▲2009년 5월 25일 : 북한, 제2차 핵실험 ▲2009년 6월12일 : 유엔 안보리, 북 핵실험을 '가장 강력하게 규탄'하고 강경한 제재를 담은 결의 1874호를 만장일치로 채택. ▲2012년 4월13일 : 북한, 장거리 로켓(미사일) 은하3호 발사 ▲2012년 4월16일 : 유엔 안보리, 로켓 발사를 강력히 규탄하는 내용의 의장성명 채택 ▲2012년 12월12일 : 북한, 장거리 로켓(미사일) 은하3호 2호기 발사. ▲2013년 1월22일 :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를 확대·강화하는 내용의 결의 2087호를 만장일치로 도출. ▲2013년 2월12일 : 북한, 제3차 핵실험 ▲2013년 3월 8일 =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094호 채택 ▲2013년 3월 31일 = 북한, 노동당 중앙위 전원회의서 경제·핵무력 병진노선 채택 ▲2013년 4월 2일 = 북한, 영변 원자로 재가동 선언 ▲2013년 5월 18일 = 북한, 동해안서 북동쪽 방향 단거리 유도탄 3발 발사 ▲2013년 9월 20일 = 국제원자력기구(IAEA), 북 핵활동 중단 촉구 결의안 채택 ▲2013년 10월 28일 =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 글린 데이비스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회담 ▲2014년 2월 27일 = 북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4발을 발사

2014-02-27 20:46:34 박선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