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女 봅슬레이 '기적'일궈내…사상 첫 올림픽 출전 확정

지난 10일 한국 여자 봅슬레이팀 사상 첫 동메달을 획득해 국민들을 놀라게 했던 한국 여자 봅슬레이 대표팀이 하루만에 아메리카컵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사상 첫 올림픽 본선 진출을 사실상 확정했다. 파일럿 김선옥(서울연맹)과 브레이크맨 신미화(삼육대)로 이뤄진 여자 2인승 대표팀은 11일(한국시간) 미국 레이크플래시드에서 열린 아메리카컵 8차 대회에서 2분00초96의 기록으로 브라질 팀(1분57초58)에 이어 2위에 올랐다. 한국 여자 봅슬레이가 국제대회에서 은메달을 따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여자 봅슬레이는 썰매 종목의 불모지인 한국에서도 뿌리를 내리지 못한 종목이다. 2009년 잠시 대표팀을 운영했지만 성과를 내지 못해 이름만 유지하다가 2011년 12월에야 대표팀이 재건됐다. 대표팀 재건 이후에도 한동안 성과를 내지 못했으나 이번에는 2014 소치 동계올림픽과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염두에 두고 꾸준히 지원한 끝에 올 시즌 빛을 봤다. 현재 대표팀 파일럿을 맡은 김선옥은 원래 육상 단거리 선수였지만 대표팀 재건 당시에 봅슬레이의 길로 나선 선수다. 김선옥·신미화는 10일 아메리카컵 7차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해 여자 봅슬레이 사상 처음으로 시상대에 오른 후 이날 성적을 한 단계 끌어올려 다시 한 번 새 역사를 기록하게 됐다. 한국은 또 아메리카컵 합계 포인트 516점으로 시즌 종합 준우승까지 차지했다. 이틀 연속으로 메달을 따내면서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출전권도 사실상 손에 넣었다. 김선옥·신미화는 이날 경기 전까지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FIBT) 랭킹 포인트에서 33위(332점)에 올라 아시아 쿼터를 놓고 다투는 일본 팀(37위·256점)에 앞서 있었다. 오시기리 마리아에게 조종간을 맡긴 일본은 지난 시즌까지 늘 한국에 앞섰지만 올 시즌에는 전세가 역전됐다. 사실상 한국과의 격차를 뒤집을 수 없다고 판단한 일본은 이번 대회에 아예 선수를 내보내지 않았다. 격차가 더 벌어지면서 사실상 아시아에서의 출전권은 한국의 차지가 됐다.

2014-01-11 15:13:24 정영일 기자
中, 일제 '731부대' 만행 입증 문서 공개

중국 당국이 세균 무기 개발을 위해 잔혹한 생체 실험을 자행한 것으로 알려진 일제 '731부대'의 만행을 입증하는 당시 일본군 문서들을 공개했다. 지린성 기록보관소는 지난 10일 지난 1950년대 창춘시의 공사 현장에서 발굴된 일본 관동군 문서 10만여건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최근 731부대와 관련된 문서들을 다수 발견했다고 연합뉴스가 중국 관영 신화통신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번에 공개된 731부대 관련 일본군 기록물은 1936년부터 1945년 5월 사이에 작성된 것들로, 81권의 책자와 400여건의 문서, 70여건의 시청각 자료다. 지린성 기록보관소는 일제 관동군이 패주하면서 미처 소각하지 못하고 땅속에 묻은 이들 문서를 분석한 결과 최소한 372명의 중국인, 조선인, 소련인 등이 731부대로 '특별이송'돼 생체 실험 등 세균 무기 개발의 도구로 쓰였다고 밝혔다. 731부대가 현재의 지린성 창춘시와 눙안현 일대에서 세균전 준비 활동을 벌였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관동군헌병대가 731부대에 수시로 '범죄자'들을 특별이송했다는 것이다. 관동군헌병대가 1938년 1월 제정한 '특별이송에 관한 통첩'은 이송 대상자인 범죄자를 크게 간첩(파괴분자)과 사상범(민족해방운동가 및 공산주의운동가) 두 종류로 구분하고 있어 일제가 독립투사 등을 범죄자로 몰아 생체 실험 도구로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문서 중에는 28세의 조선인 이기수가 1941년 7월 20일 지린성 옌지헌병특파대에 의해 체포돼 731부대로 특별이송 처리됐다는 기록도 있다. 지린성 기록보관소 관계자는 "특별이송은 일본군이 이용가치가 없는 범죄자를 731부대 등 세균전 부대에 넘겨 실험용으로 쓰게 한 것이다"며 "일본군 문서를 보면 이들 중 다수가 생체 해부를 당하는 등 세균 무기 개발에 희생됐다"고 말했다. 지린성 기록보관소는 이들 문서를 검토한 결과 일제 731부대 등 세균전 부대가 중국의 20개 이상 성(省)·시(市)에서 161차례의 세균 무기 공격을 감행해 237만명을 감염시켰다고 전했다. 중국 중앙 기록보관소는 자료 분석 결과 일제 침략 당시 세균 무기에 의한 사망자가 27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한 바 있다. 이번에 공개된 문서에서는 일제 관동군이 주민에게 총동원령을 내려 실험용으로 사용할 쥐를 잡아들이게 했으며 구체적으로 2만개의 쥐덫을 나눠줘 9만 마리의 산 쥐를 거둬들였으며 쥐를 많이 잡아다 바친 주민을 포상했다는 내용도 있다. 중국 연구자들은 "이렇게 많은 산 쥐를 잡은 것은 쥐 박멸에 목적이 있는 게 아니라 페스트균을 연구·배양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지적했다. 731부대의 정식 명칭은 '관동군 방역급수부'로, 1936년부터 1945년까지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에 주둔하며 생체 해부 실험과 냉동 실험 등을 자행했다. 중국 학계는 2차 대전 당시 731부대 등 일제 세균전 부대가 생체 실험으로 중국 군(軍)·민(民)은 물론 한국인·몽골인·미국인·소련인 등 1만명 이상을 살해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14-01-11 14:13:13 정영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