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인천공항 5G 특화망 수주...글로벌 공항 DX 교두보 마련
AX(인공지능 전환) 전문 기업 LG CNS가 '인천국제공항 5G 특화망 구축 사업'을 따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국내 통신 3사보다 가격 경쟁력과 기술력에서 모두 앞선 평가를 받은 것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올 6월5일 공고를 게시하고 사업자들로부터 제안서를 접수한 뒤 평가 절차를 거쳐 지난달 16일 LG CNS를 최종 낙찰자로 선정했다. 사업 기간은 총 51개월(구축 15개월, 운영·유지 관리 36개월)로, 자율주행·로봇 등 스마트공항 서비스 확산에 발맞춰 5G 특화망을 단계적으로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안내·수속·순찰 로봇과 지능형 CCTV, 자율주행차량 등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여객 경험을 제공해 첨단 공항 이미지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제안서 평가는 기술 능력과 입찰 가격 평가로 나눠 진행됐으며, 비중은 8대2였다. 기술 평가 항목은 ▲5G 특화망 표준 규격·인터페이스 지원 ▲주요 기술 보유 여부 및 공급사 협력 방안 ▲소프트웨어 구성의 적정성 ▲5G 특화망 확대, 디바이스 연계 및 업그레이드 지원 계획 ▲비상상황 대응 능력 ▲운영·유지 관리 계획의 전문성 등이었다.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입찰 금액은 LG CNS 82억3130만원, LG유플러스 82억3317만원, KT 83억3373만원, SK텔레콤 84억180만원으로, LG CNS가 가장 낮은 금액을 써내며 가격 측면에서 경쟁사보다 한발 앞섰다. 기술 평가 점수 역시 LG CNS가 77.40점(80점 만점)으로 1위를 차지했고, SK텔레콤(75.80점), KT(75.14점), LG유플러스(70.27점)가 뒤를 이었다. 결국 LG CNS는 비용 효율성과 기술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며 최종 사업자로 낙점됐다. LG CNS의 가장 큰 무기는 '이음5G' 사업자 지위다. 이음5G는 특정 구역에 맞춤형으로 설치·운영되는 5G 특화망으로,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이라는 5G의 핵심 특성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기업이나 기관이 기존 이동통신사 망을 거치지 않고 독자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조·물류·에너지·공항 등 산업 현장에서 DX(디지털 전환)의 핵심 인프라로 꼽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올 6월 말 기준 이음5G 기간통신사업자 28개사가 삼성서울병원, 연세대 공학원, 잠실 롯데월드 등 83곳에서 5G 특화망을 구축해 운영 중이다. LG CNS 외에도 CJ올리브네트웍스, SK네트웍스서비스, 네이버클라우드, 포스코DX, 현대오토에버 등이 허가를 받아 시장에 진입했다. LG CNS는 5G 특화망 구축부터 운영까지 전 과정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직접 개발한 5G 특화망 전용 솔루션까지 보유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풍부한 현장 실적 역시 강점으로 작용했다. LG CNS는 정부세종청사에 이음5G를 적용하는 '스마트 정부청사' 사업, AI 기반 지능형 공장 구축 등 굵직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레퍼런스를 쌓아왔다. 특히 지난해부터는 인천공항 내 다기종 로봇 및 5G 기반 디지털 트윈 관제 구축 사업을 추진하면서 스마트공항 분야에서 실증 경험과 기술력을 축적했다. LG CNS는 이번 인천공항 5G 특화망 수주를 계기로, 글로벌 공항 DX 시장으로의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