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 '디지털 브랜딩'으로 'BNK 알리기' 확장
BNK금융이 유튜브,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프로게임 등 다양한 채널로 디지털 브랜드 확장에 나서고 있다. 지방금융 특유의 고착화한 이미지를 탈피하고, 디지털 매체에 익숙한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BNK금융만의 브랜드를 인지시킨다는 전략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그룹을 대표하는 유튜브 채널 'BNK금융'의 구독자는 약 18만9000명이다. 이는 DGB금융그룹 대표 채널인 'iM타운'의 약 4배에 달한다. JB금융그룹 내에서 구독자가 가장 많은 '광주은행' 채널보다는 약 5배 가량 많은 숫자다. 'BNK금융' 유튜브 채널의 대표 프로그램은 국내·외의 경제적 이슈 및 주요 쟁점을 전문가 패널을 통해 소개·해설하는 교양 프로그램 '돈스토리' 시리즈로, 돈스토리 시리즈의 편당 최고 시청 수는 약 40만명에 달한다. 아울러 채널 내에서는 부·울·경 지역 내 관광지, 축제, 지역 문화 등을 소개하는 '당신이 몰랐던', 부산 내 지역별 맛집을 소개하는 'B공개밥상' 등도 함께 운영 중이다. 또한 BNK금융은 '인스타그램'을 비롯한 SNS(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내 구독자 수에서도 3대 지방금융 및 계열사(BNK·DGB·JB) 중 가장 많은 구독자를 확보했다. 10~30대 이용자가 가장 많은 SNS 서비스인 '인스타그램'에서 BNK금융의 대표 계정 'BNK금융그룹'의 구독자는 약 8만명으로, 이는 DGB금융의 'iM파크'와 JB금융의 'JB금융그룹'의 구독자 수를 합한 것보다 많은 수준이다. BNK금융은 지난 5월부터 '리그오브레전드', '발로란트', '이터널 리턴' 등 종목에 참여 중인 부산 연고지 프로게임단 'FearX'의 활동을 지원하고, 팀명을 'BNK FearX'로 명명했다. 이에 따라 BNK금융은 '네이밍 프로게임단'을 보유한 유일한 지방금융지주가 됐다. 특히 BNK FearX는 국내 최대 프로게임 리그인 LCK(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에도 출전하고 있다. 지난 상반기 개최된 LCK의 최대 동시 시청자 수는 약 410만명에 달한다. 국내 금융기관이 LCK 내에서 '네이밍 팀'을 보유한 것은 신한은행·한화생명·하나은행·OK저축은행에 이어 BNK금융이 5번째다. 금융권에서는 BNK금융의 이러한 행보를 '디지털 브랜딩' 활동의 일환이라고 해석한다. 디지털 브랜딩은 스트리밍·SNS·게임 등 디지털 매체를 통해 기업과 상품을 홍보하는 홍보 수단으로, TV, 신문 등 기존 매체보다 형식이 자유롭고, 디지털 매체에 친숙한 10~40대에 특히 효과적인 홍보 수단으로 여겨진다. 통상 지방금융은 기업 규모가 4대 금융그룹(신한·KB국민·하나·우리) 대비 영세하고, 기존에 구축한 기업 브랜드도 특정 지역 내에 한정된 만큼 디지털 브랜딩에서도 4대 금융 대비 열세에 있다고 평가받는다. 하지만 인구 유출 및 지방 경제 쇠퇴로 각 지방금융이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전국 단위 비대면 영업 확대에 힘쓰고 있는 만큼, BNK금융이 디지털 매체를 통한 'BNK 알리기'에 힘쓰고 있다는 것. BNK금융 관계자는 "게임을 비롯한 디지털 매체는 2030 세대를 비롯한 젊은 세대에게 호소력 있는 친숙한 매체"라며 "지역에 국한된 영업 환경에서 벗어나 비대면 영업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젊은 세대를 공략하기 위해 BNK 알리기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