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증권 "하반기 코스피 3200까지 열려있다...반도체 주목해야"
하반기 코스피지수가 반도체 업종의 주도 아래 3200선까지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경민 대신증권 FICC리서치 부장은 25일 서울 여의도 소재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앞으로 코스피는 반도체 상승 사이클이 맞물리며 3100선을 향하는 상승세를 보일 전망이고, 3200선까지도 열려 있다"며 "반도체가 중심을 잡아주는 가운데 인터넷, 자동차, 2차전지가 가세하며 상승 추세는 견고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장은 2024년 하반기 코스피 목표치를 공식적으로는 3110선까지 제시했으며, 3200까지도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열어뒀다. 이어 이 부장은 "2023년 말 당시의 금리인하 기대감으로는 올해 선행 주가수익률(PER)은 10.8배였는데, 그 이상 금리인하 사이클을 기대하기 어렵다면 PER 상단은 제한적일 것"이라면서도 "주당순이익(EPS) 상승이 코스피 상승추세와 지수 레벨업을 견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최근 이익 전망 상향조정과 더불어 12개월 선행 EPS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EPS가 상승세를 이어가는 동안 코스피 상승추세도 지속될 전망으로, 현재 속도대로라면 연말 EPS 300포인트 돌파도 가능하다고 짚었다. 더불어 2024년 하반기에는 글로벌경제 확장 국면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사이클상 미국과 비 미국 간의 성장 격차가 축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은 견조한 경기모멘텀을 이어가는 가운데 성장 속도가 둔화되고 있는 반면, 제조업 중심의 비 미국 국가들의 경기 회복은 뚜렷해지고, 강화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이 부장은 "경기모멘텀, 통화정책 모멘텀 모두 강화 국면이라고 판단한다"며 "현재 컨센서스는 미국 경기가 둔화되지만, 미국 이외 지역의 경기 회복이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 한국의 50bp 금리인하가 가능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때, 한국은 반도체 업황·실적 개선이 가세하면서 본격적인 실적 장세가 전개될 것으로 봤다. 코스피 상승에 기여할 주요 업종으로는 반도체와 이차전지, 조선 등을 꼽았다. 이 부장은 "올해 영업이익 개선 기여도를 보면 반도체 업종이 코스피 전체 이익개선의 60% 이상을 이끌어간다"며 "뒤를 이어 이차전지, 조선, 상사·자본재, 은행, 자동차, 소프트웨어, 기계 등이 자리한다"고 말했다. 2025년까지 반도체 업종의 압도적인 이익개선 주도력이 이어지는 가운데 화학, IT가전, 조선, 철강, 소프트웨어, 자동차 업종의 이익개선 기여도가 활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부장은 "앞으로 주목해야 될 종목은 메모리 반도체, AI 반도체 후발주자들"이라며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만으로도 10만원 이상 갈 수 있고, SK하이닉스는 최근 오버슈팅으로 쉬어가는 국면이지만 연말에는 역사적 고점을 다시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다만 밸류업 프로그램과 관련해서는 예의주시했다. 이 부장은 "밸류업에 대한 기대감은 자동차·금융 쪽으로 집중돼 있는데 자동차는 모멘텀이 다양한 반면, 금융은 조금 더 살펴봐야 한다"고 제언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