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금융지주 순이익 21.5조 '역대 최대'
지난해 국내 10개 금융지주회사가 벌어들인 순이익은 21조5246억원으로 3년 연속 순이익 20조원을 넘겼다. 고금리 기조 속에서 금융지주사 이익이 커진 모습이다. 9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금융지주사 경영실적(연결 기준) 잠정치'에 따르면 국내 10개 금융지주사(KB·신한·농협·우리·하나·BNK·DGB·JB·한국투자·메리츠)가 지난해 거둔 당기순이익은 21조5246억원으로 전년 대비 776억원(0.4%) 증가했다. 2021년에는 21조1890억원, 2022년 21조447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권역별 이익 비중은 은행이 15조4000억원(61.9%)으로 가장 많았으며 보험 3조3000억원(13.5%), 금융투자 2조8000억원(11.2%), 저축은행을 포함한 여신전문금융사(여전사) 등 2조7000억원(11.0%)의 순이었다. 전년대비 은행은 7863억원(+5.4%), 보험이 1조146억원(+43.6%) 증가하며 금융지주의 최대치 실적을 이끌었다. 반면 금융투자와 여전사 등은 각각 1조6986억원(-37.9%), 8902억원(-24.6%)씩 감소했다. 금융지주의 지난해 연결총자산은 3530조7000억원으로 전년말 3418조1000억원 대비 3.3%(112조6000억원) 증가했다. 자회사 권역별로는 은행 총자산이 2643조9000억원(74.9%)로 가장 높은 가운데 금융투자 364억8000억원(10.3%), 보험 240조6000억원(6.8%),여전사 등 237조9000억원(6.7%)의 순이었다. 자산 증감은 은행 81조1000억원(+3.2%), 금융투자 42조8000억원(+13.3%), 여전사 등이 5조6000억원(+2.4%) 증가한 반면 보험은 24조원(-9.1%) 감소했다. 지난해말 은행지주의 자본적정성을 살펴보면 총자본, 기본자본, 보통주자본 비율이 각각 15.83%, 14.56%, 12.09%로 나타났다. 은행지주 8개사 모두 규제비율을 상회했을 뿐만 아니라 전년대비로 총자본 0.22%포인트, 기본자본 0.23%포인트, 보통주자본 0.31%포인트씩 비율이 상승했다. 자산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0개 금융지주사가 지난해 말 0.72%로 전년말 대비 0.23%포인트 올라 소폭 악화됐다. 손실흡수능력을 판단하는 지표인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50.6%로 최근 5년 평균(146.4%)는 상회했지만 전년말 대비 19.9%포인트 떨어졌다. 금융지주의 부채비율은 27.2%로 전년말 대비 1.8%포인트 하락했다. 자회사 출자여력 지표인 이중레버리지비율은 114.2%로 전년말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10개 금융지주사에 소속된 회사는 329개사다. 우리금융의 우리벤처파트너스 자회사 등 편입과 KB·신한·하나·농협·한투의 PEF 신규 편입 등으로 25개사가 새로 편입되고 KB의 KB생명-푸르덴셜생명 및 캄보디아은행-프라삭MFI 합병, 메리츠의 자산운용사 매각, 농협·신한·한투 PEF 청산 등으로 12개사가 정리됐다. 금감원은 "대출자산 등 자산 성장세는 둔화하고, 당기순이익은 2021년 이후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진단했다. 또 "자본적정성 등 주요 경영지표는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상승함에 따라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