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인 76% "올해 한국 경제 부정적"
-EY한영 2024년 경제 전망 설문조사 -국내 기업 고위 경영진 457명 참여 국내 기업인들이 올해 국내 경제에 대해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6일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이 국내 기업 고위 경영진 457명을 대상으로 'EY한영 2024년 경제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5%는 올해 국내 경제 성장을 '다소 부정적', 11%는 '매우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다소 긍정적' 또는 '매우 긍정적'으로 답한 비중은 24%에 그쳤다. 다만 85%가 부정적으로 응답했던 작년 대비 2024년 조사에서는 부정적 응답이 소폭 하락했다. 산업별로는 부동산·건설(92%), 통신·인터넷(91%) 산업 종사자들은 부정적인 응답이 지배적이었다. 반면 의약·바이오·생명과학(62%)과 IT·기술·전자·반도체(64%) 산업 응답자들은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응답이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응답자들은 국내 경제 상황에 대해서 비관적인 견해를 보였지만 자신이 속한 개별 기업의 경영 실적에 대해서는 자신감을 보였다. 응답자 중 49%는 2024년 경영 실적이 2023년 대비 나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년(26%) 대비 두 배 가까이 높아졌다. 특히 의약·바이오·생명과학(71%), IT·기술·전자·반도체(63%), 소비재·유통(61%) 산업의 응답자들이 높은 성장 기대감을 보였다. 전체 응답자 중 33%는 자사 경영 실적이 '전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봤으며, 18%는 '전년 대비 하락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올해 기업 운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외부 환경 리스크로는 '경기 둔화 및 경제 불확실성'을 선택한 국내 기업인이 86%에 달했다. 지정학적 갈등 및 무역 갈등(50%), 테크놀로지 및 디지털 환경 급변(35%)이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올해 수익성 확보의 걸림돌을 묻는 질문에는 고금리 및 인플레이션 장기화(60%), 인건비 증가(50%), 원자재 가격 상승(44%) 등을 꼽았다. 박용근 EY한영 대표는 "설문조사 결과 2023년에는 응답자들이 금리인상 영향으로 경기침체(Recession)가 올 것이라고 전망한 반면 올해에는 경기회복(Recovery) 흐름을 기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2024년은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국가들의 선거가 치러지는 '선거 슈퍼사이클'로 세계 경제에 불확실성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며 "기업들은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으로 변동성이 높아지는 만큼 공급망 관리 강화, 인공지능(AI) 도입, 신사업 및 인수합병 전략 등으로 회복탄력성을 확보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설문조사에는 총 457명이 참여했다. 응답자들이 재직 중인 기업은 자산 규모 2조 원 이상 기업이 39%, 자산 규모 5000억 원 이상 2조 원 미만 기업이 24%, 5000억 원 미만 기업이 37%였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