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농식품장관 "배추·무 최대 40% 추가 할인지원"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설 명절 후에도 배추·무 등에 대해 할인지원을 최대 40%까지 추가로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또 봄철 배추·무 재배를 확대해 공급 안정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송 장관은 6일 오후 충남 예산에 위치한 시설봄배추 재배현장을 점검하고 "정부비축·민간저장 물량의 시장공급 확대 및 할당관세 적용 등을 통해 수급안정에 총력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설 명절 이후에도 배추·무 등 가격이 높은 주요 채소류에 대해 할인지원을 최대 40%까지 추가로 실시하겠다"고 했다. 또 "지자체, 농협 등 관계기관에서도 4월 이후 봄 배추·무 공급이 안정될 수 있도록 계약재배 확대, 생육관리 지원 등에 적극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겨울 배추·무는 지난해 가을까지 이어진 폭염으로 생산량이 줄었고, 여기다 김치업체·유통인의 저장량이 늘면서 이달까지도 전년 및 평년 대비 가격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농식품부는 오는 4월 중순부터 출하가 시작되는 봄 배추·무의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 봄 작형 재배면적 확대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협을 통한 봄 배추·무 계약재배 물량을 전년대비 20~30% 확대한다. 계약농가가 안심하고 생산하도록 확대 물량에 대해서는 정부가 수매약정을 체결하고, 예비묘 공급 및 약제비 지원도 병행할 예정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전망에 따르면 올해 봄 배추의 재배면적은 전·평년 대비 각 4.7%, 2.5% 증가하고, 봄 무는 전·평년 대비 각 6.3%, 2.9% 증가할 것으로 관측돼 봄 작형 수급은 안정될 것이란 전망이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

2025-02-06 16:13:22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DL이앤씨,작년 매출 8조3184억원…전년 대비 4%↑

DL이앤씨는 6일 공시를 통해 지난해 연간 매출 8조3184억원으로 전년 대비 4% 증가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2709억원으로 전년 대비 18% 감소했다. 자회사인 DL건설이 일부 현장의 원가율 조정과 대손이 반영됐다. 수주는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우량사업 중심의 선별수주 전략에 따라 9조4805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4분기만 놓고 보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한 2조4388억원, 영업이익은 6.7% 증가한 941억원을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 수주가 모두 증가세를 보여 실적개선 추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DL이앤씨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침체와 경제적 불확실성 등으로 건설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DL이앤씨는 매출, 영업이익, 수주가 지난 8월 투자자들에게 제시한 연간 가이던스의 90%를 웃도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DL이앤씨는 균형 잡힌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수익성 높은 프로젝트를 선별 수주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주택은 3817억원 규모의 잠실우성 4차, 4385억 규모의 도곡개포한신 재건축정비사업을 수주하는 등 도시정비사업의 수주는 1조원을 돌파했다. 토목은 4818억원 규모의 영동 양수 발전소 공사를 수주했다. 플랜트는 2546억원 규모의 분당복합화력발전 현대화사업 및 2367억원 규모의 S-OIL 온산 공장 가스터빈 발전기 설치 공사를 수주했다. 수익성 지표도 개선되었다. 연결기준 작년 4분기 원가율은 88.2%로 3분기 대비 0.9% 포인트 개선되며, 2분기 연속 80%대 원가율을 유지했다. 연간 원가율도 2023년 90.2% 대비 0.4% 포인트 개선된 89.8%로 80%대를 회복했다. 별도기준 DL이앤씨 4분기 원가율은 3분기 대비 0.7% 포인트 개선된 87.1%, DL건설은 0.4%포인트 개선된 91.8%다. DL이앤씨와 DL건설 주택사업에서 각각 85.9%와 88.5%의 원가율을 달성하며 수익성 개선을 견인했다. 4분기 말 기준 연결 부채비율은 100.4%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2조711억원, 순현금 9940억원을 보유하고 있어 국내 건설회사 가운데 재무구조는 가장 안정적이다. 올해 연결기준 연간목표는 수주 13조2000억원, 매출 7조8000억원, 영업이익 5200억원이다. 주택, 토목, 플랜트의 균형 잡힌 사업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수익성 높은 프로젝트를 선별 수주하는 전략을 이어갈 계획이다. DL이앤씨 관계자는 "철저한 리스크 관리 및 탄탄한 재무구조를 기반으로 수익성이 담보된 양질의 신규 수주를 이어가면서 2025년에도 점진적인 실적 개선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

2025-02-06 16:11:49 안상미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코스피, 외인·기관 쌍끌이 매수에 2530대 회복…2536.75마감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에 힘입어 사흘 연속 상승 마감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0%(27.48포인트) 오른 2536.75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전장 대비 0.5%(12.55포인트) 오른 2521.82로 출발해 상승폭을 키웠다.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은 3518억원, 기관은 1594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 투자자는 홀로 6044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의료·정밀기기(3.54%), 건설(3.34%), 음식료·담배(3.22%) 등이 상승했고, 증권(-0.88%), 운송·창고(-0.63%), 통신(-0.57%) 등이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서는 SK하이닉스(2.36%), 삼성전자(2.08%), 셀트리온(1.51%) 등이 올랐고, KB금융(-6.70%), HD현대중공업(-2.10%), LG에너지솔루션(-0.87%) 등은 떨어졌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8%(9.34포인트) 상승한 740.32로 마감했다. 개인은 643억원을 팔아치웠다.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703억원, 56억원을 사들였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주는 대부분 상승 마감했다. 파마리서치(6.92%), 리노공업(6.40%), 리가켐바이오(5.65%) 등의 상승폭이 컸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하락하면서 증시에 훈풍으로 작용했다"며 "업종별로도 실적 시즌 진행 중인 가운데 음식료, 방산 등 호실적을 발표하는 기업들과 관련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3.4원 오른 1447.7원에 거래를 마쳤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5-02-06 16:08:43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탐사시추 결과… "잠정 실패, 경제성 없어"

국민적 관심을 모았던 동해 심해 가스·석유 탐사 프로젝트(일명 대왕고래 프로젝트) 첫 탐사시추가 잠정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가스나 석유가 매장될만한 구조인 것은 확인됐고, 이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탐사시추를 위한 투자유치에 나서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6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이같은 내용의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탐사시추 결과를 발표했다. 석유공사는 지난해 12월 20일부터 이달 4일까지 47일간 동해 7개 유망구조 가운데 1개 유망구조에 대한 1차 탐사시추를 진행, 시료 1700편을 채취했다. 채취된 시료와 시추 과정에서 얻은 데이터에 대해서는 조만간 전문 분석업체에 용역을 의뢰할 예정이며, 중간 결과는 이르면 5월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 관계자는 "전문 분석이 끝나야 정확한 데이터값이 나오므로 구체적인 수치를 언급하지 않겠다"면서 "탐사시추 과정에서 잠정적이지만, 가스징후 일부가 있었음을 확인했으나 규모가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었다. 경제성을 확보할 수준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이어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지만, 대왕고래구조에서 추가 탐사시추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가스징후가 나오면 가스포화도와 저류층 두께, 덮개암이 충분했는지 보는데, 가장 중요한게 탄화수소의 가스포화도"라며 "그 수치가 경제적으로 생산광구로 전환하거나 추가적인 탐사시추까지 이르지 못하는 수준으로 판단했다"고 부연했다. 다만, 석유나 가스 매장 가능성이 있는 구조자체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했다. 이 관계자는 "석유가스 부존 자체 가스징후나 경제성을 확보할 정도 수준은 아니었으나, 전반적인 석유시스템 구조자체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추중 획득한 데이터는 나머지 6개 유망구조에 대한 추가적인 보정작업을 거쳐 후속 탐사 추진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밀 분석에서는 이번에 발견된 가스징후의 유래를 밝히는데 초점을 두게 된다. 이번 탐사시추에서는 가스·석유를 담아둘 수 있는 근원암과 그걸 가둘 수 있는 덮개암, 저류층, 트랩 등이 있어야 하는데, 예상보다 긍정적으로 확인됐다. 가스·석유 부존 가능성이 있는 구조는 확인됐으나, 발견된 탄화수소가 어디에서 유래했는지 밝히는게 중요하다. 탄화수소가 근원암에서 유래해 이동했다면 매장 가능성이 있지만, 유망구조 내 유기물에서 산화한 것이라면 자원 매장 가능성은 희박해진다. 산업부와 석유공사는 1차 탐사시추 결과 분석과 함께 광구 분할 후 투자유치 절차도 병행 추진하게 된다. 앞서 지난해 7월 이후 주요 메이져 석유가스개발기업 대상 사전설명회를 개최했고, 복수의 기업이 투자유치 의향서를 보낸 바 있다. 투자유치 절차는 3월말쯤 개시될 것으로 보인다. 이 관계자는 투자유치 가능성에 대해 "이미 입찰의향서를 제시한 기업들이 있다"며 "일반적인 자원개발에서 첫 시추에서 성공하는 확률은 희박하므로, 1차공 결과 자체를 놓고 투자유치 여부를 말하긴 어렵다"고 했다. 그러면서 "투자유치를 통해 리스크를 낮추면서 자원탐사를 지속할 수 있도록 투자유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2025-02-06 16:08:11 한용수 기자
기사사진
금감원·거래소부터 증권사까지 줄줄이 '딥시크 차단'...내부 보안 우려

정부 부처에 이어 증권가에서도 중국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DeepSeek)에 대한 접속 차단 조치가 확산되고 있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금융감독원은 내부 공지를 통해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한다고 알렸으며, 금융투자협회도 보안 등을 이유로 이날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한국거래소는 정부 부처들이 딥시크 접속 차단에 나섰던 31일부터 이 같은 조치를 실시했다. 거래소는 관계자는 "정부에서 AI 업무 활용시 과도한 사용자 정보 수집 등에 대한 보안사항 준수 강조하면서 차단 조치를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코스콤도 거래소와 같은 날 임직원을 대상으로 딥시크 사용 주의 공지를 내렸다. 코스콤 관계자는 "설 연휴 직후(1월 31일) 딥시크 사용 주의에 대한 최초 공지를 내렸고, 이달 5일 보안유의에 대해서도 공지했다"며 "현재 사용 차단까지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한국예탁결제원도 딥시크 접속 차단과 관련해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알렸다. 미래에셋증권도 지난달 말부터 바로 딥시크 접속을 제한했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보안 이슈와 서비스 모델이 사양에 맞지 않아 이용을 제한했다"고 말했다. 같은 날 교보증권, 신한투자증권, 대신증권, 하나증권, IBK투자증권, LS증권 등도 딥시크 차단에 동참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달 들어서는 다올투자증권과 iM증권, 메리츠증권 등이 딥시크 접속을 막았다. 아직 차단 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증권사들 역시 내부적으로 사용 주의 및 차단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KB증권은 6일 내부 논의 끝에 임직원을 대상으로 딥시크 사용 시 유의 사항을 안내하고 다운로드 및 설치 자제를 권고하는 공지사항을 게시했다. 한국투자증권을 비롯해 NH투자증권, SK증권, 한양증권 등도 관련 사항을 검토 후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이다. 가성비 AI로 떠오른 딥시크는 챗GPT와 견줄 수 있는 성능이 주목됐으나, 개인정보 보호 취약성 문제를 지적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민감 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정부 부처·기업들이 선제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모습이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5-02-06 16:07:39 신하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