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 SK에코플랜트·테스와 손 잡고 '유럽 배터리 시장' 겨냥
에코프로가 SK에코플랜트, 전기·전자폐기물 전문기업 테스(TES)사와 함께 헝가리에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 설립을 추진한다. 에코프로와 SK에코플랜트, 테스는 지난 16일 서울 종로구 SK에코플랜트 수송동 본사에서 '헝가리 배터리 재활용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헝가리 폐배터리 공장 건설은 3사의 첫 프로젝트이다. 에코프로는 이들 회사와 지난 3월 '유럽 지역 배터리 재활용 사업 협력'을 맺고 글로벌 폐배터리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체제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3사는 협약에 따라 폐배터리 재활용 협력 지역으로 헝가리를 확정하고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 설립을 추진할 방침이다. 헝가리는 2022년 기준 중국, 폴란드, 미국에 이어 세계 4위의 배터리 생산국이다. 국내외 배터리 관련 기업과 전기차 업체의 투자가 이어지며 유럽 내 전기차·배터리 산업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은 재활용을 위한 '피드스톡'을 얼마나 많이, 안정적으로 확보하는지에 성패가 달려있다. 피드스톡은 배터리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품인 스크랩 물량과 수명을 다한 폐배터리 물량을 의미한다. 코트라(KOTRA)에 따르면 헝가리에는 독일 프리미엄 자동차 제조업체 3개사(아우디, BMW, 메르세데스벤츠)가 전기차를 생산하고 있거나 생산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국 3개사(CATL, Eve Power, Sunwoda)가 헝가리 투자 진출을 발표했다. 국내에선 배터리 셀 제조업체인 삼성SDI와 SK온 등이 진출한 곳이기도 하다. 에코프로 측은 "헝가리 배터리 생산량은 2022년 대비 2030년 7배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3사는 헝가리에서 폐배터리와 스크랩 등 재활용을 위한 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에코프로의 폐배터리 재활용 소재 기술력과 SK에코플랜트, 테스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헝가리 등 유럽 지역에 거점을 둔 국내외 전기차 및 배터리 제조사를 상대로 물량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에코프로 측은 "습식공정을 중심으로 한 차별화한 리사이클링 기술력으로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고 자신했다. SK에코플랜트와 자회사인 테스는 폐배터리 회수부터 희소금속 추출, 재활용에 이르기까지 폐배터리 전 부문에 걸친 솔루션을 갖추고 있다.테스는 이미 프랑스, 중국, 싱가포르 등에 폐배터리 재활용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럽 최대 규모 항구도시 중 하나인 네덜란드 로테르담을 비롯해 호주 시드니 서부 등 폐배터리 재활용 전용 시설 추가 구축에도 한창이다. 아울러 바젤협약에 따라 수거한 폐기물을 국경 너머 재활용 시설로 옮기려면 바젤 허가(Basel Permit)가 필요한데, 테스는 이미 30여개 국가에서 바젤 허가를 획득했다. 에코프로 측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및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 등에도 대응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송호준 에코프로 대표는 "에코프로는 폐배터리 리사이클부터 양극재 생산까지 배터리 생태계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클로즈드 루프 시스템(Closed Loop System)을 구축해 차별화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에코프로의 경쟁력 있는 리사이클 소재 기술력과 SK에코플랜트와 테스의 재활용 사업의 기술력, 글로벌 네트워크가 결합돼 시너지를 내면서 글로벌 배터리 리사이클 산업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글로벌 전기차 및 배터리 제조사의 생산 거점이 집결된 헝가리는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의 전략적 요충지"라며 "에코프로, 자회사 테스와 협력을 통해 헝가리를 필두로 유럽 지역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선점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