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4개 공공기관, 中企와 동반성장 평가 결과는?
중기부, 지난해 평가 결과 발표…중진공, 기보, 남동발전등 27곳 '최우수' 석유공사, 고용정보원, 언론진흥재단, 방송광고진흥공사 등 20곳 '개선 필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 기술보증기금, 한국남동발전, 인천항만공사, 한국산업단지공단 등 27개 공공기관이 중소기업과 동반성장을 잘해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한국석유공사, 한국고용정보원,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등 20곳은 동반성장이 미흡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34개 공공기관에 대한 2022년도 동반성장 평가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이번 평가에서 등급별 공공기관 개수는 가장 높은 최우수 27곳을 비롯해 우수 22곳, 양호 42곳, 보통 23곳, 개선 필요 20곳으로 각각 나뉘었다. 최우수 등급 27곳 중 17개 기관은 전년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공기업형 그룹에선 한국중부발전, 한전KDN도 이름을 올렸다. 준정부형·기타형 그룹에선 공무원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신용보증기금(신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한국농업기술진흥원,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산업단지공단(산단공), 한전원자력연료 등이 포함됐다. 부산항만공사, 울산항만공사, 중진공,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콘텐츠진흥원,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지난해 우수에서 올해는 최우수 등급으로 상향됐다. 특히,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사회적 기업에 대한 '원스톱 성장(Scale-Up) 지원'이 동반성장의 모범적인 사례로 인정받아 4등급이나 올랐다. 해당기업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지원으로 4억1000만원의 투자 유치와 8억원의 매출증대 성과를 달성했다. 최우수를 받은 기관 중 남동발전은 협력 중소기업이 탄소중립에 대응할 수 있도록 18개사를 대상으로 4억1000만원을 투입해 구조혁신 지원사업을 추진했다. 구조혁신 진단, 로드맵 수립 및 사업전환을 연계함으로써 협력사는 신사업 전환에 성공했고, 스마트팜 수출은 535만 달러 계약을 달성했다. 인천항만공사는 ESG 오픈이노베이션 추진으로 지역사회 환경 현안을 해결했다. 폐비닐을 재생원료로 활용한 자원순환제품을 개발하는 중소기업에게 연구개발비 4천만원과 인천항 내 테스트베드를 지원하고 판로연계를 통해 경쟁력 강화를 지원했다. 산단공은 중소기업 ESG 인식개선 및 대응지원을 위해 ESG 분석시스템을 도입했다. 142개사를 대상으로 ESG 수준진단과 맞춤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ESG 경영 준수율을 23.9%포인트 개선했다. 신보, 국토안전관리원,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은 산업전반에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중소기업 디지털 인프라 확대를 위한 지원을 했다. 신보의 경우 자사가 보유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기반의 지능형 경영진단·거래처 분석시스템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해 3만6000여개 중소기업이 경영진단 및 거래처 위험도 관리 등에 활용하는 등 경영혁신을 지원했다. 국토안전관리원은 건설현장 32곳에 건설현장 위험인지 AI학습용 데이터를 개방하고 10억원 상당의 스마트 안전장비를 무상 설치·운영해 중소건설사의 안전사고 사전예방을 지원했다.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은 해양수산분야의 현장 수요기술을 중소기업에게 167건을 이전해 어업 현장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지원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aT는 전년도 '3고 현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수출 및 판로지원을 위해 노력했다. 건강보험공단은 민·관·공 협업체계를 구축해 사회적 기업의 맞춤 컨설팅, 국내외 시장진출 등 원스톱 성장(Scale-Up)을 지원해 4억1000만원의 투자 유치와 8억원의 매출 증대 및 8건의 지식재산권 등록(출원 4건 포함) 성과를 달성했다. aT는 대기업 물류업체와 농식품 수출중소기업과의 공동물류를 도입함으로써 딸기 수출물류 비용 22억원을 절감하고 수출경쟁력을 제고하여 120억 달러의 수출실적 달성에 기여했다. 한편 가장 낮은 '개선 필요'에는 대한석탄공사,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재)한국우편사업진흥원,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재)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한국연구재단, (재)우체국금융개발원, 국립생태원, 독립기념관,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건강가정진흥원,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한국고용정보원, 한국보육진흥원, 한국재정정보원,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이 이름을 올렸다. 이번 평가 결과는 평가대상 기관에 개별 통보되며 기획재정부가 매년 실시하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에도 반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