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매출 1800억 기업도 '중소기업' 혜택 받는다

중기부, 경제장관회의서 '中企 매출액 기준 개편안' 확정 '1500억원 이하'서 상향…소기업도 120억→140억 이하로 573만개社, 세제감면·공공조달·지원사업등 지속 혜택 吳 장관 "성장 사다리 견고해질 것…어려운 기업도 도움" 매출 기준으로 '1800억원 이하' 기업도 중소기업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됐다. 소상공인에 포함되는 소기업 매출기준도 '140억원 이하'까지 확대했다. 이에 따라 전체 804만 중소기업 가운데 573만개 가량이 세제감면, 공공조달, 정부 지원사업 등을 계속해서 받을 수 있게 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기업 성장사다리 촉진을 위한 '중소기업 매출액 기준 개편안'을 마련하고 이를 1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확정했다고 밝혔다. 중소기업 매출 범위 기준은 2015년 이후 10년 만에 상향 조정했다. 중기부가 마련한 새 조정안에 따르면 중소기업 매출 기준을 최대 1500억원에서 1800억원으로 올리고, 매출구간을 5개 구간에서 7개 구간으로 늘리면서 업종별 매출기준 상한을 기존보다 200억~300억원 확대했다. 아울러 소기업 매출기준 역시 최대 120억원에서 140억원으로 상향조정하고, 매출구간도 5개 구간에서 9개 구간으로 늘리면서 업종별 매출기준 상한을 현행보다 5억~20억원 높였다. 이번 개편안에 따라 총 44개 중소기업 업종 중 16개, 43개 소기업 업종 중 12개의 매출액 범위가 상향됐다. 중기부에 따르면 새 개편안은 업종 내 기업 분포와 현행 매출기준의 적정성, 업종별 물가상승률, 중소기업 졸업률 변화, 경상성장률 등을 종합 분석했다. 또 올해 1월부터 3월 사이에 총 14차례의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등 다른 업종과 대별되는 특이사항도 함께 고려했다. 한 예로 1차금속 제조업의 경우 알루미늄, 동, 니켈 등 수입 비철금속 국제가격(LME)이 2015년 이후 60% 이상 상승하고, AI 데이터센터 구축 수요 등으로 금속 가격이 더 상승하는 등 원가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을 고려했다. 자동차 제조업은 미국의 품목별 관세 25% 영향으로 어려움이 예상되며, 단품제조방식에서 모듈제품 조립 방식으로 공급구조가 바뀌어 수익성 변화 없이 매출만 커지는 상황도 감안했다. 오영주 장관은 "이번 개편을 통해 단순 물가 상승에 따른 중소기업 지위 상실 문제가 해결됨에 따라 소규모 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을 할 수 있어 기업 성장 사다리가 보다 견고해질 것"이라며 "또한, 미국의 관세강화로 인한 수출 가격경쟁력 확보, 글로벌 원자재 공급망 악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문가·학계·중소기업계와 합의를 거쳐 범위기준 개편의 원칙과 기준이 마련된 만큼 향후 5년마다 시행되는 범위기준 검토 시 예측가능성과 현장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2025-05-01 08:00:06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IMS모빌리티, 창업 후 첫 분기 흑자 전환…성장 가속화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흑자'…인슈어테크·FMS등 성장 견인 IMS모빌리티가 창업 후 첫 분기 흑자달성에 성공했다. 향후 핵심 사업 부문인 인슈어테크, FMS, 운송, MaaS 영역에서 고속 성장을 이어가 모빌리티 AI 혁신 기업으로 성장해나간다는 계획이다. 1일 회사에 따르면 IMS모빌리티는 2025년 1분기 영업이익이 흑자를 기록했다. 2013년 4월 오프라인 위주의 모빌리티 사업을 시작했던 IMS모빌리티는 모빌리티 영역에서 통합 디지털 전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기업으로 성공적인 변화를 이뤘다. 주요 사업 부문은 ▲인슈어테크 보험 클레임 자동화 ▲차량관제서비스(FMS) 및 운영 최적화 ▲글로벌 OTA 연계 친환경 통합 이동서비스(MaaS) ▲클라우드 기반 차량 운송 ▲중고차 홈서비스 등이다. 인슈어테크 부문은 AI 기반 클레임 자동화 솔루션을 통해 국내 주요 손해보험사와의 제휴를 강화하며 보험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연 40%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2026년에는 직접손해 사업으로 확장도 예정되어 있다. FMS 부문은 장기간의 기술개발 투자와 물류시장 이니셔티브를 통해 연 126% 성장을 달성했다. 실시간 플릿 데이터 기반 FMS 솔루션은 대형 물류 고객사의 운영 효율성 개선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지원하고 있으며, 2026년 아시아 시장 진출 파트너십을 준비하고 있다. MaaS 부문은 국내 유일 GDS(Global Distribution System) 시스템를 기반으로, 허츠(Hertz), 오릭스 등 주요 글로벌 렌터카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국내 OTA 플랫폼에 글로벌 차량 예약 솔루션을 독점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탁송 부문은 국내 중고차 e커머스 시장에서 약70%에 이르는 압도적 점유율을 확보하며, 렌터카, 중고차 등 다양한 플릿 영역에서 운송관리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해 고객사의 물류 운영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 MS모빌리티는 이 외에도 중고차 홈서비스를 통한 비대면 구매 솔루션 제공 등 플릿 관리 전반으로 솔루션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조영탁 대표는 "벤처창업 업계가 혹한기를 보내고 있지만 성장성 하나 믿고 기다려 준 투자자에게 감사하다"며 "분기 흑자전환을 계기로 올해 연간 흑자전환에 성공해 모빌리티 분야에서 독보적 위치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2025-05-01 05:44:52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한솔제지 프로테고, 미국 아마존 입점 '그린무드' 패키지에 적용

일본 커피 전문 쇼핑몰 이어 두번째 수출 한솔제지의 종이 포장재인 프로테고(Protego)가 미국 아마존에 입점한 유기농 말차 전문 브랜드 그린무드(GRIN MOOD)의 말차 패키지에 적용됐다. 1일 한솔제지에 따르면 이는 일본 커피 전문 쇼핑몰 'Something Like that'에 이은 두 번째 해외 수출 사례로, 프로테고의 글로벌 시장 확대 가능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한솔제지는 차류와 커피 등 패키지 분야에서 기술력과 영업망을 보유한 소프트팩과 협업을 통해 그린무드 말차 제품에 프로테고를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프로테고는 플라스틱 코팅 없이도 뛰어난 방습성과 내수성을 확보해 식품, 커피 등 수분에 민감한 제품 포장에 적합하다. 또한, 기존 포장재 대비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어 친환경 패키징 수요가 높은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한편, 그린무드는 유기농 말차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브랜드로, 지속가능한 유기농 재배 방식을 통해 건강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한솔제지 관계자는 "이번 미국 시장 진출은 프로테고의 우수한 기술력과 친환경 가치가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한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제품군에 프로테고를 적용해 지속 가능한 포장재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05-01 04:45:07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중진공, EU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상 中企 지원한다

CBAM대응 인프라구축 사업 참여기업 이달 말까지 모집 컨설팅, 기업당 최대 1200만원…검증은 최대 800만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상품목을 수출 또는 수출 희망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CBAM대응 인프라구축 사업' 2차 참여기업을 모집한다. 1일 중진공에 따르면 EU CBAM은 유럽연합(EU)으로 철강, 알루미늄, 비료, 수소, 시멘트, 전력 등 6개 품목을 수출하는 기업이 제품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탄소 배출량에 대해 비용을 부과하는 제도다. 올해 12월까지 전환기간을 거친 후 내년부터는 배출량 검증 및 CBAM 인증서 구입·제출이 의무화된다. 이에 따라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진공은 중소기업의 글로벌 규제 변화에 대응하기위해 'CBAM대응 인프라구축 사업'을 추진, 지원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량 컨설팅은 기업당 최대 1200만원 한도로, CBAM 기준에 부합하는 탄소배출량 산정·감축 컨설팅, 산정보고서 작성, 검증 대응 등을 지원한다. 배출량 검증은 기업당 최대 800만원 한도로 EU CBAM 규정에 따른 탄소배출량 산정보고서 검증 및 검증 의견서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 중진공은 수출 실적이 없는 기업도 지원받을 수 있도록 지원 대상을 확대했다. 대·중견기업이 공급사 또는 외주사와 함께 신청할 수 있도록 '공급망 트랙'을 도입해 탄소 대응체계도 강화했다. CBAM대응 인프라구축 사업 참여희망 기업은 이달 30일까지 중진공 ESG통합플랫폼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중진공 강석진 이사장은 "CBAM 대응은 단순한 환경 규제를 넘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필수 경쟁력"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우리 중소기업들이 기술적·제도적 대응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2025-05-01 04:44:35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대한전선, 1분기 매출 첫 8000억 돌파...해외 중심 수주 확대

대한전선이 글로벌 수주 확대에 힘입어 실적 개선을 이어가고 있다. 대한전선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2025년 1분기 매출 8555억원, 영업이익 271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5% 확대됐고, 영업이익은 5.8% 감소했다. 이번 1분기 매출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도입해 연결 분기 실적을 측정하기 시작한 지난 2010년 이후의 1분기 실적 중 최고치다. 전통적으로 전선 및 에너지 업계의 비수기로 여겨지는 1분기에 매출 8000억원을 상회하는 성과를 낸 것으로 지속적인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대한전선은 실적 호조의 주요 요인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신규 수주 확대 및 해외 법인의 실적 개선을 꼽았다. 대한전선은 지난 해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주요 국가에서 대규모 프로젝트를 연이어 확보하며 1분기 기준 2조 8000억원 이상의 수주 잔고를 기록했다. 이는 2020년 수주 잔고인 9455억원 대비 약 3배가 넘는 수준으로, 미국과 유럽 지역의 고수익 프로젝트 비중이 전체 수주 잔고의 30% 이상을 차지한다. 대한비나, 남아공 엠텍 등 해외에 거점을 두고 있는 생산 및 판매 법인 역시 전년 동기 대비 약 2배에 달하는 매출을 올리며 1분기 실적을 견인했다. 대한전선은 미국 관세와 관련한 대응 방안에 대해서 "대한전선은 현지 업체 대비 우월한 기술 역량과 안정적인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미국 주요 전력청의 선호도가 높다"며 "특히 초고압 케이블 시스템 등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 확고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기술 우위를 기반으로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해저케이블 공장 건설 추진 경과를 공유하며 최근 제기된 이슈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대한전선은 "일부에서 해저케이블 공장 레이아웃과 관련해 조단위 손해배상 가능성을 주장하고 있으나 이는 근거가 없다"며 "대한전선은 경쟁회사의 영업비밀을 침해한 바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법리와 판례, 당사의 공장 건설 현황 상 조단위 손해배상은 성립이 불가능하다"며 "기술 개발에 투입된 비용이 손해액으로 직결되지 않으며 아직 완공되지 않은 당사의 공장과 경쟁사의 전체 공장을 비교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대한전선은 해저케이블 1, 2공장 중 현재 1공장 1단계를 가동 중이며 1공장 종합 준공은 올해 상반기에 예정돼 있다. HVDC 해저케이블을 생산하는 2공장은 올해 하반기에 착공해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한전선은 "글로벌 시장에서 초고압(EHV) 케이블뿐 아니라 MV·LV(중저압) 케이블 및 가공선 등 다양한 제품군에서 성과를 거두며 기술력과 품질을 입증하고 있다"며 "해저 및 HVDC 케이블 분야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는 만큼, 글로벌 시장 확대와 수주를 통해 실적을 지속 개선하고 수출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차현정기자 hyeon@metroseoul.co.kr

2025-04-30 18:18:02 차현정 기자
기사사진
LG화학, 1분기 영업익 4470억원...전년 대비 68.9% 증가

LG화학이 석유화학 사업부문의 적자 폭이 줄어들면서 전분기 대비 수익성이 개선됐다. LG화학은 2025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2조 1710억원 영업이익 4470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4.8%, 영업이익은 68.9% 각각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로는 매출은 1.3%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LG화학 CFO 차동석 사장은 "석유화학 사업의 적자폭 축소, 전자소재 및 엔지니어링소재의 고부가 제품 매출 확대 등으로 전분기 대비 개선된 실적을 달성했다"며 "고성장, 고수익 사업 중심의 포트폴리오 재편 등 경영 전반의 운영 효율성 제고를 통해 견조한 중장기 성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업부문별로 살펴보면 석유화학부문은 매출 4조 7815억원, 영업손실 565억원을 기록했다. 대산공장 정전에 따른 가동 중지와 국내 전력 단가 상승 등의 수익성 악화 요인이 있었으나 코스트 절감 노력과 환율 강세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적자폭은 축소됐다. 2분기는 원료가 하락이 예상되는 가운데 계절적 성수기 진입에 따른 물량 증가로 수익성 개선이 전망된다. 첨단소재부문은 매출 1조 4898억원, 영업이익 1270억원을 기록했다. 전자소재와 엔지니어링소재의 고부가 제품 매출 증가에 힘입어 견조한 매출 달성 및 수익성이 회복됐다. 2분기는 미국 관세 등 정책 변동으로 인한 전방시장 수요 둔화로 전지재료 출하 감소가 전망된다. 생명과학부문은 매출 2856억원, 영업손실 134억원을 기록했다.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백신 등 주요 제품의 수출 선적 시점 차이로 전분기 대비 매출이 감소했으며 수익성도 하락했다. 2분기는 주요 제품의 견조한 매출 기조를 유지하며 글로벌 임상과제 등 R&D 투자가 지속될 예정이다. 자회사 에너지솔루션은 매출 6조 2650억원, 영업이익 3747억원을 기록했다. 고객사의 보수적인 재고 정책 기조가 지속되며 매출이 소폭 하락했으나, 원가 절감 노력과 더불어 전분기에 반영된 일회성 비용 소거로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2분기는 미국의 관세 정책 등 대외 변동성에 따른 전방시장의 수요 불확실성과 주요 완성차 업체들의 보수적인 재고 정책이 지속될 전망이다. 자회사 팜한농은 매출 2,461억원, 영업이익 309억원을 기록했다. 비료 화공사업 철수에도 불구하고 작물보호제, 종자 매출 증대로 전년과 유사한 매출 및 수익성을 달성했다. 2분기는 대형산불 영향으로 내수 시장 축소가 예상되나 작물보호제 매출 확대로 수익성은 개선될 전망이다. /차현정기자 hyeon@metroseoul.co.kr

2025-04-30 18:18:00 차현정 기자
기사사진
SK이노베이션, 1분기 영업손실 446억원...매출은 10분기 만에 최대

SK이노베이션이 SK E&S와의 합병 이후 분기 실적이 처음으로 전체 반영되면서 10분기 만에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SK이노베이션은 2025년 1분기 매출액 21조1466억원, 영업손실 446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1분기 SK이노베이션 E&S사업 매출이 온전히 반영되는 등에 따라 전분기 대비 매출액이 1조7049억원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배터리 사업에서의 이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제유가 및 정제마진 약세 등으로 인해 감소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SK이노베이션은 올해 배터리 사업 전망에 대해 "관세 및 전기차 관련 정책 불확실성 지속에도 불구, 최근 완성차 업체들의 미국 내 현지화 흐름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올해 미국 배터리 가동률과 판매량이 대폭 개선될 것이며, 배터리 판매 물량 확대 및 운영 효율 개선 바탕 원가 절감 등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사업별로 보면 ▲석유사업 매출 11조9181억원, 영업이익 363억원 ▲화학사업 매출 2조4770억원, 영업손실 1143억원 ▲윤활유사업 매출 9722억원, 영업이익 1214억원 ▲석유개발사업 매출 3831억원, 영업이익 1204억원 ▲배터리사업 매출 1조6054억원, 영업손실 2993억원 ▲소재사업 매출 238억원, 영업손실 548억원 ▲SK이노베이션 E&S사업 매출 3조7521억원, 영업이익 1931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석유사업은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와 석유수출기구 플러스(OPEC+) 감산 완화 등으로 인해 국제유가 및 정제마진 약세를 보이며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3061억원 감소했다. SK이노베이션은 정제마진 악화에 따라 보수적 가동 기조를 유지하고, 운영 및 공급망 최적화, 비용 절감 등 노력을 통해 지속 대응할 계획이다. 화학사업은 파라자일렌(이하 PX)과 올레핀 계열 시황 약세 등으로 영업적자를 지속했다.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은 301억원 줄었다. 윤활유사업은 주요국 경기 둔화에 따른 마진 및 판매량 감소 등으로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181억원 감소했다. 석유개발사업은 1분기 매출액은 소폭 늘었지만, 페루 광구 판매 물량 감소로 인해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254억원 줄었다. 배터리사업은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601억원 개선됐다. 주요 고객사들이 신규 차량 출시를 앞두며 전기차 생산 확대 및 완성차 공장 가동률 개선 등의 영향으로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판매량이 확대된 영향이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1분기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수혜 규모는 1708억원으로 전분기 813억원과 비교해 약 110% 증가했다. 소재사업은 판매 물량 증가와 일회성 비용 소멸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전분기 대비 영업손익이 193억원 개선됐다. SK이노베이션 E&S사업은 동절기 난방 수요에 따른 도시가스 판매량 확대로 인해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789억원 확대됐다. 서건기 SK이노베이션 재무본부장은 "SK이노베이션은 올해 북미 배터리 공장 가동률 및 판매량 개선, 베트남 광구 개발, 운영 최적화 등 사업 별 수익성 개선 활동을 통해 재무건전성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SK이노베이션은 석유, 화학부터 LNG, 전력까지 아우르는 토탈 에너지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원 이노베이션'으로 결속해 수익성과 성장성을 지속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4-30 18:03:25 차현정 기자
기사사진
LG이노텍, CDP 기후변화 대응 '리더십 A' 등급…3년 연속 '최우수 기업'

LG이노텍이 글로벌 친환경 경영 평가기관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로부터 기후변화 대응 부문 '리더십 A' 등급을 받았다. 전 세계 2만4000여개 기업 중 상위 2%에만 주어지는 최고 등급이다. LG이노텍은 2024년 CDP 평가에서 3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고 30일 밝혔다. 올해 평가는 전 세계 2만4836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이 중 424개 기업만 A등급에 이름을 올렸다. 국내에서는 16개 기업이 포함됐다. LG이노텍은 베트남, 파주, 구미1A 등 주요 사업장이 이미 재생에너지 100%(RE100)를 달성했고, 전력구매계약(PPA)과 가상 전력구매계약(VPPA) 등을 통해 안정적인 재생에너지 공급망을 구축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LG이노텍은 '2030년 전사 RE100 전환'과 '2040년 탄소중립'이라는 목표를 세우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실행 전략을 발 빠르게 추진 중이다. 지난 한 해 동안 국내외 사업장의 전력 사용량의 60% 이상인 638GWh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했다.이는 4인 가구(월 평균 전력소비량 약 400kWh) 약 13만3000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다. CDP는 세계 주요 금융기관의 위임을 받아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및 환경 정보를 평가·공개하는 글로벌 플랫폼이다. 다우존스 지속가능성지수(DJSI)와 함께 가장 신뢰받는 글로벌 지속가능성 평가 중 하나로 꼽힌다. 문혁수 대표는 "LG이노텍은 기후변화 대응을 중심으로 진정성 있는 ESG 경영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ESG 리더십을 통해 차별적 고객가치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이노텍은 이날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4 CDP 코리아 어워즈'에서 국내 최상위 5개사에만 주어지는 '탄소경영 아너스 클럽'에 3년 연속 선정됐다. 동시에 정보기술(IT) 부문 상위 4개 기업 중 하나로 '탄소경영 섹터 아너스'도 수상했다./이혜민기자 hyem@metroseoul.co.kr

2025-04-30 17:44:19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반도체 부진 가린 갤럭시 S25'...삼성전자, 1Q 매출 79.1조 '역대 최대'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 S25' 시리즈 흥행에 힘입어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고부가가치 가전 판매도 실적 개선에 힘을 보탰다. 반면, 반도체 사업은 고대역폭메모리(HBM) 판매 둔화와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수요 약세로 다소 부진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79조1405억원, 영업이익 6조6853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공시했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05%, 영업이익은 1.2% 증가했다. 이는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로, 영업이익은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5조1523억원을 약 30% 가까이 웃돌았다. 순이익은 8조222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74% 증가했다. 1분기 실적을 부문별로 보면 스마트폰과 가전을 담당하는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매출 51조7000억원, 영업이익 4조7000억원을 기록하며 전사 실적을 견인했다. 이 가운데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 부문은 갤럭시 S25 시리즈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매출 37조원, 영업이익 4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부품 가격 하락과 리소스 효율화에 따른 견조한 두 자릿수 수익성을 달성했다는 평가다. TV를 담당하는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는 네오 큐엘이디(Neo QLED)와 올레드(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전략 제품 판매 확대와 원가 절감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생활가전도 고부가 제품 비중이 늘며 실적이 향상됐다.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매출 25조1000억원, 영업이익 1조1000원을 기록했다. 서버용 D램 수요 확대와 낸드플래시 가격 저점 인식으로 인한 추가 구매 수요가 있었지만, 미국의 수출 규제 여파로 HBM 판매가 줄며 메모리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7% 감소한 19조1000억원에 그쳤다. 시스템LSI는 주요 고객사에 플래그십 시스템온칩(SoC) 공급이 지연됐지만, 고화소 이미지센서 공급 확대로 실적이 소폭 개선됐다. 파운드리는 계절적 비수기로 수요 둔화와 고객사 재고 조정 영향 등으로 실적 부진을 피하지 못했다. 디스플레이(SDC) 부문은 대형 QD-OLED 신제품 출시 효과로 매출 5조9000억원, 영업이익 5000억원을 기록했다. 전장 사업을 담당하는 하만 부문은 비수기임에도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해 매출 3조4000억원, 영업이익 3000억원을 달성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삼성전자는 미래 성장을 위해 1분기에만 9조원의 연구개발(R&D)비를 집행했다. 이는 분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같은 기간 시설투자(CAPEX)는 12조원으로, 이 중 10조9000억원이 반도체 부문에 집중됐다. 인공지능(AI), 반도체, 차세대 폴더블폰, 확장현실(XR) 기기 등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선제적 투자라는 설명이다. 삼성전자는 2분기 실적 전망에 대해 글로벌 관세 이슈와 경기 둔화 등 외부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하반기부터는 '상저하고(상반기 약세·하반기 회복)' 흐름에 따라 실적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DS부문에서 HBM3E 12단, 고용량 DDR5 메모리 등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공급을 확대하고, 8세대 V낸드 전환으로 원가 경쟁력도 강화할 방침이다. 파운드리는 2나노미터(㎚) 1세대 공정 양산을 시작하고, 2세대 및 4나노 저전력 공정은 고객 확보에 주력할 예정이다. HBM4와 커스텀 HBM4E는 복수 고객과 협의 중이며, 일부 프로젝트는 2026년부터 매출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모바일 부문은 하반기 플래그십 폴더블 신제품과 AI 기능 탑재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프리미엄 시장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XR 기기와 웨어러블 신제품 출시도 예정돼 있다.

2025-04-30 17:25:04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에코프로, 올해 1분기 영업익 14억…흑자 전환 성공

에코프로가 올해 1분기 영업이익 14억원을 기록하며 전 분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 에코프로는 올해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 8068억원, 영업이익 14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0.9%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에코프로는 전기차용 양극재 판매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에코프로그룹 분기 매출은 지난해 3분기 이후 8000억원을 다시 돌파했다. 양극재를 제조하는 에코프로비엠은 매출 6298억원, 영업이익 23억원을 기록했다. 전 분기 대비 매출은 3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전기차·전동공구용 양극재 판매량 증가 영향이다. 1분기 전기차용 양극재 판매액 규모는 503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76% 증가했다.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와 NCM(니켈·코발트·망간) 제품 판매 모두 호조를 보였다. 전구체를 제조하는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매출 1361억원, 영업손실 148억원을 기록했다. 전 분기 대비 매출은 54.5% 증가했지만 일회성 개발 비용 영향 등으로 영업손실이 이어졌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대주주로 투자한 인도네시아 제련소 '그린에코니켈' 자회사 편입에 따른 연결 이익이 반영돼 하반기에는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린에코니켈은 술라웨시섬에 있는 니켈 제련소다. 연간 약 2만톤 니켈을 생산할 예정이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약 500억원을 투자해 그린에코니켈 지분 28%를 확보해 기업결합신고를 진행하고 있다. 친환경 토털 설루션 기업 에코프로에이치엔은 매출 344억원, 영업이익은 34억원을 기록했다. 견조한 케미컬필터 판매와 온실가스 해외 수주, 미세먼지 저감 사업 등을 통해 수익성을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에코프로 관계자는 "유럽 전기차 시장의 회복세로 양극재 물량이 증가하고 있어 점진적인 이익 증대가 전망된다"며 "인도네시아 통합법인 설립으로 가격파괴를 통해 삼원계 배터리 시장 지배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5-04-30 15:53:12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