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배터리 2025’ 개막 역대 최대 규모 688개사 참가
올해 13번째를 맞이하는 대표적 국제 배터리 산업전인 인터배터리 전시회에 역대 최대 규모인 688개 기업들이 참여했다. 5일부터 오는 7일까지 3일간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2025 행사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우리나라 배터리 3사를 포함해 미국, 일본, 칠레, 브라질 등 13개국의 정부·연구소·기업 등국내외 배터리 688개사, 2330부스로 구성되면서 높은 관심을 끌었다. 이는 지난해 579개사, 1896부스 대비 23% 증가한 수치다. 또한 올해는 글로벌 전기차 업체 1위인 중국 BYD와 글로벌 배터리 출하량 9위인 중국 이브에너지(EVE) 등 중국 기업도 79개 사가 참가하면서 한국과 중국간의 기술 대결도 펼쳐진다. 이날 개막식에는 김동명 한국배터리산업협회장,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철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 김종민 의원, 신영대 의원, 이동기 코엑스 사장, 박태성 배터리협회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김동명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인터배터리 2025는 우리 배터리 산업의 위상과 글로벌 배터리 기술의 현주소를 한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라며 "우리 배터리 산업은 글로벌 정치·경제적 불확실성 등 여러 도전적인 상황에 직면해 있지만 계속 성장하는 인터배터리 2025를 통해 위기가 아니라 기회라고 읽고 싶다"고 말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개막식에서 "지난주 미국을 방문해 우리 기업들의 안정적 대미 투자환경 유지 등을 요청했고 지금 이 순간에도 '민관 합동 사절단'이 미국 배터리 투자지역을 순회 아웃리치 하는 등 미국과 적극 소통하고 있다"며 "캐즘 극복을 위해 전기차 구매 시 세금 감면, 충전 인프라 확충 등 전기차 수요 진작과 더불어 2038년까지 ESS 시장 규모를 현재 국내 ESS 생산설비 용량의 최대 15배로 늘려가는 등 전기차 외 배터리 수요처 다변화를 계속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음극재를 비롯한 배터리 핵심 광물과 소재의 국내 생산을 촉진하도록 재정·세제·기금 등 다양한 정책 수단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철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은 "글로벌 시장의 치열한 각축전 속에서 우리 대한민국이 배터리 강국으로 우뚝 서기 위해서라도 지속 성장을 위한 국내 투자 확대, 인력 양성 등 국내 배터리 산업 생태계의 경쟁력 제고가 필요하다"며 " 이번 행사의 성공을 발판삼아 우리 배터리 산업이 글로벌 시장을 힘있게 선도해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