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에 낀 한국경제 살아남기…혁신에서 길을 찾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으로 한국 기업들이 눈치 보기에 들어갔다. 미국 정부는 중국 수입품 관세를 2~4배 인상할 계획이며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태양광, 철강 등이 대상이다. 이는 한국 기업에 장기적인 부담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반도체, AI, 철강산업은 미·중 갈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중 갈등에 따른 우리 주요 기업들에 미치는 영향과 생존 전략을 분석했다. ◆중국산 철강 수입 급증…고부가가치 상품으로 돌파구 모색 국내 철강업계는 미·중 경쟁으로 인한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중국의 부동산 경기 위축과 미국의 관세 인상으로 철강재 수출이 급감하며, 값싼 중국산 철강이 한국 시장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져서다. 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중국의 철강 수출 물량은 2020년 5372만톤에서 지난해 9120만톤으로 70%가량 증가했다. 중국산 철강은 올해 1분기 약 2600만톤을 수출했으며 올해 연간 1억 톤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1분기 한국에 유입된 중국산 철강도 크게 증가했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중국산 철강 수입 물량은 올해 1분기 228만톤으로 전체 수입량의 57%를 차지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은 올해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급감했다. 포스코는 올 1분기 매출 15조4420억원, 영업이익 339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9%, 영업이익은 17.3% 줄었다. 같은 기간 현대제철 매출과 영업이익도 각각 5조9478억원, 55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9%, 83.3% 감소했다. 이에 철강업계는 반덤핑 조사 요청과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포스코는 10조 8000억원을 투자해 생산 효율과 친환경차용 전기강판 생산을 강화하고, 현대제철은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용 SSC 공장을 건설해 전기차 강판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동국제강은 인천공장 철스크랩 처리장의 옥내화 사업 추진과 하이퍼전기로 등 친환경 철강 공정 연구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 동국제강은 스틸샵 후판의 강종·두께를 확대하고, 항공우주용 STS 등 특수강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車 업계 안도 분위기…친환경 라인업 확대로 경쟁력 확보 중국은 현재 미국에서 승용전기차를 판매하지 않지만 전 세계 전기차의 65%를 생산하며, 1000만원대의 저가형 전기차로 유럽 등 해외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미국 정부가 중국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인상함에 따라 미국 시장에서 중국 전기차와의 경쟁을 피할 수 있어 안도하고 있다. 덕분에 현대차그룹은 올해 미국 시장에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지난해까지 약 500만대의 친환경차를 판매한 현대차그룹은 올해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 점유율을 유지하며 친환경차 라인업 확대에 집중할 방침이다. 특히 HEV가 누적 판매량 295만대로 가장 많이 판매된 만큼 순수전기차와 친환경차에 힘을 싣을 것으로 보인다. 기아는 올해 상반기에 소형 전기차 EV3를 출시했고, 현대차는 하반기에 캐스퍼 전기차를 내놓을 예정이다. 기아 EV6와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의 상품성을 개선한 차종도 출시를 앞두고 있다. 또 현대차그룹은 EREV(주행거리 확장 전기차)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중국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EREV를 전략적으로 출시할 가능성이 높다. ◆반도체 업계, 자국 산업 육성 미국, 첨단 제조기술 찾는 중국 사이에서 눈치 작전 미국의 대중(對中) 압박이 커지면서 한국 반도체 기업들은 미국 보조금 혜택의 수혜를 입고 있다. 대중 수출통제가 곧 미국 내 반도체 산업 육성책인 반도체법(CHIPS Acts)으로 이어지면서 자국 내 반도체 설비 투자에 대해 미국이 파격적인 지원금을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반도체법에 따라 미국 정부로부터 텍사스 주(州) 반도체 생산기지 추가 건설 및 확장을 위한 용도로 64억 달러(8조 9000억원)의 보조금을 지원 받을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천문학적인 보조금 혜택에도 불구하고 업계에서는 수혜 입기에 신중한 접근을 해야 한다는 주장도 이어지고 있다. 막대한 보조금 이후 추가 이익을 일부 공유해야 할뿐더러, 중국 내 설비 투자에 불이익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반도체 기술 성장도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 그동안 반도체 업계에서 나타난 미-중 갈등은 미국이 첨단 기술을 통해 중국의 반도체 업계를 압박하고, 중국은 풍부한 원자재를 이용해 반격하는 형국이었으나 중국의 기술 수준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중국 나우라·AMEC 등이 식각, 박막,세정 등 여러 분야에서 14나노미터(nm) 공정 장비 상용화에 성공했고, 이러한 성과로 규제 이후에도 중국 내 반도체 생산량이 늘었다. 기술 수준 등을 이유로 마냥 중국이 아닌 미국만을 바라볼 수 없는 셈이다. ◆IT업계 "미-중 디커플링의 시대, 정부 외교 지원 필요" 미중 디커플링의 시대가 본격화 하면서 IT업계는 숨죽이고 있다. 미국은 중국에 맞서 안정적인 AI 개발과 육성을 위한 원자재의 안정적인 공급이 필요한 상황이다. 중국은 원자재의 풍부함과 달리 미국의 수출 규제로 기술적 고립무원에 처해 첨단 기술과 빠른 디지털 전환(DX·Digital-Transformation)이 시급하다. 한국은 제조기술부터 SW기술에 이르기까지 전세계적으로 기술 선도적인 만큼 미국과 중국 양국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그러나 양국의 러브콜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 기업의 입지는 불확실성 속에서 갈피를 못 잡은 상태로, 정부의 외교적 지원이 필요하다. 미국과 중국이 양대 시장으로 전면적 무역 갈등으로 비화 된 현재, 미중격차를 이어가려는 미국의 입장을 고려한다면 국내 IT 기업들의 DX 분야 등 중국 진출이 미국 내 사업 영위에 리스크가 될 수 있다. 반대 또한 마찬가지다. 미국 내 대선 결과도 향후 지대한 영향을 줄 예정이다. 미국 대선은 올해 11월 시행될 예정으로 민주당 조 바이든 대통령과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후보로 나선 상태다 /양성운·김서현 기자 ysw@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