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CGV "또 한 번의 진화…'퍼스트 무버'로서 영화시장 선도"
CJ CGV "또 한 번의 진화…'퍼스트 무버'로서 영화시장 활성화 견인할 것" 1998년 CGV강변을 필두로 국내 영화산업에 최초로 멀티플렉스를 도입, 영화 관람의 트렌드를 이끌어 온 CJ CGV가 용산아이파크몰 개관을 계기로 또 한 단계 변화를 꿰한다. 전 세계가 주목할만한 혁신적인 시설과 서비스로 무장하고 멀티플렉스를 뛰어넘는 '컬처플렉스(Cultureplex)'로 도약하겠다는 것. 특히 CGV의 성장이 한국 영화산업의 발전과 비례하고 있어 향후 국내 영화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CJ CGV는 18일 CGV용산아이파크몰 그랜드 오픈에 맞춰 '2017 중반기 CGV 영화산업 미디어포럼'을 열었다. 이날 CJ CGV 서정 대표이사는 "CGV용산아이파크몰에는 4DX와 스크린X 융합 특별관, 세계 최대 IMAX관 등 전 상영관에 기존 극장에서는 볼 수 없었던 진화된 기술을 적용한 모델을 선보였다"며 "그동안 영화를 통해 느끼지 못했던 것들을 느낄 수 있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이어 한국영화산업의 경향과 CGV의 발전방향과 고민에 대해 논의했다. 서 대표는 '대한민국=영화강국'이라며 "한국영화 점유율이 6년 연속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4년 연속 연간 관람객 2억 1000명을 기록했다. 1인당 연평균 관람 횟수는 4.2회(세계 2위)로 앞으로도 이 정도의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이어 영화강국의 요인은 세 가지로 정리했다. 독창적 로컬 콘텐츠의 힘(훌륭한 감독과 배우, 제작진), 저렴한 티켓 가격, 제작·투자 자본의 다양화(정부, 기업, 금융, 클라우드 펀딩), 그리고 멀티플렉스의 확산이 시장 활성화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CGV 1호점이 처음 등장했던 1998년 당시 5천만명 이었던 연간 영화 관람객수는 현재 2억 명 수준으로 성장했고, 한국영화 제작편수도 1998년 40편에서 2016년에는 373편까지 늘어났다. 서 대표는 "CGV가 차별화 된 기술, 디자인, 라이프스타일의 진화를 거듭함으로써 국내 영화 산업 활성화의 견인차 역할을 해 왔다"며 "앞으로도 영화 시장의 무한한 성장을 위해 끊임없이 진화하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CGV의 혁신 방향은 총 네 가지로 디자인 감성혁신, 기술을 기반으로한 몰입혁신, 영화 생태계를 고려한 상생혁신,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통한 가치혁신이다. 실제로 CGV는 영화관에서 중요한 기술적 요소로 꼽히는 3S(Screen, Sound, Seat)를 강화해 몰입감을 극대화하고 보다 편안한 관람 환경을 조성하는데 중점을 뒀다. 이를 통해 IMAX, 4DX, 스크린X, 사운드X, 스피어X, 스타리움 등 CGV에서 즐길 수 있는 차별화 된 상영관을 지속적으로 확충해왔다. 특히 20개 상영관 3888석 규모로 문을 연 CGV용산아이파크몰은 기존과는 차별화된 상영관을 갖췄다. '4DX with ScreenX'는 세계 최초의 신개념 기술 융합 특별관이다. 자체 기술로 개발한 두 개의 상영관 모델을 하나로 결합해 기존 영화관에서는 볼 수 없는 극강의 몰입감을 제공한다. 'IMAX 레이저' 상영관은 전 세계 멀티플렉스가 보유한 IMAX 상영관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이밖에도 살롱S, 템퍼시네마, 스카이박스(SKYBOX), 에그박스(EGGBOX) 등 각 상영관마다 특별한 콘셉트를 추가해 영화관의 새로운 모습을 갖췄다. 또한 영화라는 극장의 본질적 요소에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접목함으로써 복합문화공간 '컬처플렉스'란 개념을 내놓은 것도 CJ CGV가 처음이다. 쉐프가 있는 영화관 '씨네드쉐프', 침대와 영화관이 합쳐진 '템퍼시네마' 등 프리미엄 상영관은 물론 가상현실(VR) 복합 체험존 'VR PARK'와 신개념 만화카페 '롤롤(lolol)' 등 '문화 놀이터'로의 방향성도 제시했다. 그런가 하면 국내 멀티플렉스 최초 다양성영화 전용관인 CGV아트하우스(17개관, 21개 스크린)는 국내에 다양성 영화의 가치를 지속 전파해 왔다. 한국 영화의 글로벌 위상이 강화되고 이를 통해 다양성이 확대되는 건전한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함이다. 최근 불거진 아트하우스가 이윤추구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 서 대표는 "영화의 다양성을 위해 우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외부의 말을 경청하고 반성하겠으며, 어떤 작품을 건전하고 공정한 단계를 거쳐 관객에게 소개할지 여전히 숙제다"라고 전했다. 이어 "작품성이 뛰어난 수많은 저예산 영화들을 소개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지만, 현저히 적은 상영관 탓에 수급 비율이 맞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아트하우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수밖에 없다. 하지만, CGV도 기업이다보니 일반 상영관에 비해 객석점유율이 떨어지는 아트하우스관을 무작정 늘릴 수도 없다"며 "CGV 뿐만 아니라 다양성 영화를 상영하는 공간이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덧붙였다. CGV용산아이파크몰에는 곧 '박찬욱관'이 개관할 예정이다. '임권택관', '안성기관'에 이어 세번째다. 한국영화의 위상과 다양성을 높인 헌정인의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헌정관 티켓 매출의 일부는 한국독립영화를 위해 후원된다. 헌정관에서 관객 1명이 영화 1편을 볼 때마다 티켓 매출 중 100원을 적립하고, 여기에 CGV아트하우스가 추가로 100원을 매칭해 총 200원을 기부하게 된다. CJ CGV 정성필 국내사업본부장은 "이번에 오픈한 CGV용산아이파크몰을 연간 400만명 이상 찾는 국내 최고의 플래그십 사이트로 발전시키겠다"며 "나아가 글로벌 진출 국가에서도 현지 상황을 고려해 CGV용산아이파크몰과 같은 맞춤형 모델을 육성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CJ CGV는 CGV 용산아이파크몰을 중심으로 '참여형 문화놀이터' 컬처플렉스 가속화에 힘입어 2020년, 1만 스크린, 7억명 관람객 달성이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