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
기사사진
CJ CGV, 中 진출 10년 만에 50호점 돌파

[메트로신문 장병호 기자] CJ CGV(대표이사 서정)가 중국 진출 10년 만에 'CGV 중국 50호점' 시대를 열었다. CJ CGV는 23일 중국 광둥성 포산시에 CGV 중국 50호점인 'CGV 포산 동핑신청을 오픈한다고 밝혔다. 이 극장은 IMAX를 포함해 총 10개관 1839석을 보유한다. 포산시 내 오피스, 관공서 등이 밀집한 금융과 교통의 중심지인 동핑신청 싱야오몰 2~4층에 위치해 있다. 이로써 CJ CGV는 국내 멀티플렉스 기업 중 가장 먼저 중국에 진출해 2006년 1호점 CGV상하이 따닝을 오픈한 이후 10년 만에 상하이, 베이징, 우한, 텐진 등 28개 도시에 총 50개 극장, 401개 스크린을 갖추게 되었다. 이러한 상영관 수의 양적 확대는 놀라운 경영 성과로 이어졌다. 중국 영화전문매체 엔트그룹(Entgroup)이 발표한 중국 내 박스오피스 기준 극장 사업자 순위에 따르면 CJ CGV 2012년 말 22위에 머물렀으나 2014년에는 그 순위를 10위권으로 끌어 올렸다. 2015년에는 1월 TOP 9에서 5월 TOP 7로 차례로 순위가 등극하며 TOP 5를 향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박스오피스 순위의 상승만큼 성장률 면에서도 눈부신 성과를 이어나가고 있다. 지난해 CGV 중국 38개 극장에서 약 1150억 원의 매출을 올렸던 CJ CGV는 올해 이미 오픈한 12개 극장을 포함, 총 26개 극장을 추가해 전년 대비 2배 신장한 약 2100여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지난 2분기에는 중국 사업을 시작한 이래 첫 분기 흑자를 달성해 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관람객 수도 2012년 연간 535만 명을 기록했던 것이 2015년에는 상반기에만 1147만 명을 불러 모았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관람객 수 증가율이 무려 63%에 달해 역대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거뜬히 2천만 관객을 돌파할 전망이다. CJ CGV 측은 중국에서 이렇게 두각을 나타낼 수 있었던 비결로 '컬처플렉스' '특별관' '상생'을 기반으로 한 차별화 전략이 효과를 발휘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먼저 '컬처플렉스'라는 패러다임을 중국에 도입해 프리미엄 극장으로 차별화를 꾀했다. 중국 내 여느 극장 사업자들을 뛰어넘는 특급 서비스를 기반으로 영화 관람 외에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을 선사한 것이다. CGV에서만 만날 수 있는 특별관 역시 차별화된 경쟁력에 필수 요소로 손꼽힌다. 특별관들을 통해 최신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불법 해적판이 넘쳐나는 중국에서 관객들에게 꼭 영화관을 찾아야 하는 이유를 제시한 것이다. 중국 내 가장 인기 있는 특별관 'IMAX'는 물론 CGV가 세계 최초로 론칭한 오감체험상영관 '4DX', 몰입도를 극대화한 반구(半球) 형태의 특별관 '스피어X', 프리미엄 상영관 '스윗박스', 진동석 '비트박스' 등을 도입해 중국 현지 고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중국 고객과 소통에도 적극 나서 사회공헌 프로그램 '토토의 작업실'을 통해 현지 청소년들의 영화 교육에 힘쓰고 있다. 또한 극장운영 전문가 양성센터인 CGV UNIVERSITY를 설립함으로써 고객 서비스 강화에 주력한 것도 인지도를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CJ CGV는 올해와 내년을 중국 사업 턴어라운드의 중요한 기점으로 보고 있다. 올해 중국 내 극장 수를 64개, 내년에는 80개 이상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CJ CGV의 현재 국내 직영 극장수가 83개 인 것을 감안하면 중국의 극장수가 한국을 넘어서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는 셈이다. 이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확고히 하고 수익성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확실히 다진다는 계획이다. CJ CGV 서정 대표이사는 "CJ CGV는 올해 중국 시장 조기선점과 안정화를 통해 내년 안에 중국 시장 TOP 5를 목표로 빠르게 나아갈 것"이라며 "중국을 넘어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 등 세계로 뻗어나가는 '글로벌 NO.1 컬처플렉스'로 진화하겠다"고 말했다.

2015-09-23 11:49:47 장병호 기자
기사사진
'응답하라 1988' 촌티 폴폴 공식 포스터 공개

'응답하라 1988' 촌티 폴폴 공식 포스터 공개 [메트로신문 하희철기자] '응답하라 1988'이 80년대 분위기를 물씬 풍기는 포스터를 제작했다. 23일 tvN '응답하라 1988'(극본 이우정, 연출 신원호)측은 80년대 복고 스타일 메인 포스터를 공개했다. 공개된 포스터는 드라마 콘셉트에 맞춰 촌티가 풍기는 80년대 복고 스타일을 완벽히 재현했다. 가장 뒷줄에는 일명 브로콜리 머리를 한 아줌마 3인방 이일화, 라미란, 김선영과 근엄한 표정을 짓고 있는 성동일, 2대8 가르마에 안경을 끼고 분위기가 확 바뀐 김성균, 긴 두발에 역시 2대8 가르마를 타고 미소를 띠고 있는 최무성, 유재명이 보인다. 가운데 줄에는 바가지 머리를 한 채 바른 자세로 앉아 있는 박보검과 삐딱한 자세로 눈을 거의 감다시피 한 채 팔짱을 끼고 있는 류준열, 그 옆에서 두 남자에게 자연스럽게 어깨동무를 하고 있는 혜리, 착한 머리스타일로 아역 김설을 앉고 웃고 있는 고경표, 5대5 가르마 타고 큰 안경을 낀 채 그 시절의 야구 점퍼를 입고 있는 이동휘가 촌스러운 패션과 스타일을 선보이고 있다. '응답하라 1988'은 연달아 큰 히트를 치며 복고열풍을 일으킨 '응답하라 1997', '응답하라 1994'에 이은 '응답하라' 시리즈의 3번째 작품이다. 2015년판 '한 지붕 세 가족'이라는 콘셉트로 1988년 서울 도봉구 쌍문동을 배경으로 온 가족이 함께 볼 수 있는 따뜻한 가족 이야기를 그린다. 올 하반기 방송 예정이다.

2015-09-23 10:51:08 하희철 기자
기사사진
김동욱·이청아·최여진, 드라마 '라이더스' 캐스팅 확정

김동욱·이청아·최여진, 드라마 '라이더스' 캐스팅 확정 [메트로신문 하희철기자] 배우 김동욱과 이청아, 최여진이 드라마 '라이더스 : 내일을 잡아라'(이하 라이더스)의 출연을 최종 확정했다. 23일 티캐스트 측은 오리지널 드라마 '라이더스'에서 김동욱과 이청아가 남녀 주인공으로 호흡을 맞춘다고 밝혔다. 영화 '김종욱 찾기' 이후 드라마에서 첫 호흡을 맞추게 됐다. 최여진도 이들과 함께 출연한다. '라이더스'는 자전거로 만든 인력거를 소재로 한 12부작 드라마다. 서른을 앞둔 사회 초년생들이 그리는 현실공감형 성장 로맨스다. 서울 곳곳의 골목을 여행하면서 청춘들의 우정과 사랑을 그린다. 드라마 '여제', '실업급여 로맨스'등의 최도훈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김동욱은 대기업에 갓 입사한 엄친아 사회초년생 차기준 역을 맡았다. '헬리콥터맘' 밑에서 엘리트 코스를 밟았지만 어린 시절부터 함께 한 친구 두 명과 인력거 사업을 시작하게 된다. 이청아는 캐릭터 일러스트레이터를 꿈꾸는 알바생 윤소담 역을 맡았다. '라이더스'에서 만나게 된 기준과 그의 친구 사이에서 삼각 관계를 형성할 예정이다. 최여진은 전직 사이클 선수이자 인력거 라이더인 고태라 역을 연기한다. '라이더스'는 10월 초 첫 촬영에 돌입해 11월 초 E채널과 드라마큐브에서 동시에 방송된다.

2015-09-23 10:19:04 하희철 기자
기사사진
세월은 흘러도 변함없는 열정…20년 만에 내한한 본 조비

[메트로신문 장병호 기자] 한 시대를 풍미한 록 스타도 세월의 흐름을 거스를 수는 없었다. 그러나 음악에 담은 열정만큼은 세월을 무색하게 만들 정도로 변함없었다. 록 밴드 본 조비(Bon Jovi)가 20년 만에 한국을 다시 찾았다. 22일 저녁 서울 잠실 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에서 열린 내한공연에는 1만4000여명의 관객이 운집해 본 조비의 변함없는 인기를 증명했다. 본 조비는 한국인이 사랑하는 록 밴드 중 하나다. 80년대 LA 메탈의 유행과 함께 등장한 이들은 90년대를 지나 2000년대까지 꾸준히 히트곡을 발표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이를 증명하듯 공연장에는 세대와 성별을 초월한 다양한 관객이 한 자리에 모여 눈길을 끌었다. 20~30대 젊은 관객은 물론 본 조비의 전성기를 함께 보냈을 중년 관객들도 공연장을 가득 채웠다. 부모님 손을 잡고 따라온 10대 관객들도 있었다. 본 조비는 2013년 발표한 12번째 음반 '왓 어바웃 나우(What About Now)'의 수록곡 '댓츠 왓 더 워터 메이드 미(That's What The Water Made Me)'로 공연의 막을 올렸다. 이어 '유 기브 러브 어 배드 네임(You Give Love A Bad Name)'을 시작으로 '본 투 비 마이 베이비(Born To Be My Baby)' '런어웨이(Runaway)' 등 80년대 전성기 시절 히트곡을 연이어 부르며 관객을 열광시켰다. 오랜 기다림 끝에 다시 만났지만 세월의 그늘을 지울 수는 없었다. 특히 존 본 조비는 과거 트레이드마크와도 같았던 금발이 아닌 하얗게 센 머리로 무대에 올라 짠한 마음을 느끼게 했다. 몇몇 곡에서는 과거와 같지 않은 성량으로 안타까움을 자아내기도 했다. 그럼에도 관객은 20년 만에 다시 찾은 본 조비를 뜨겁게 반겼다. 2000년대 대표 히트곡인 '잇츠 마이 라이프(It's My Life)'에서는 노래 제목이 쓰인 종이를 들고 후렴구를 따라 불렀다. 이를 지켜보던 존 본 조비는 감격한 표정으로 감사를 전했다. 관객의 뜨거운 환호에 본 조비는 더욱 열정적인 무대로 화답했다. '킵 더 페이스(Keep The Faith)'와 '배드 메디슨(Bad Medicine)'에서는 관객과 밴드가 '떼창'으로 하나가 되는 진풍경이 펼쳐지기도 했다. 본 조비는 이날 공연에서 예정에 없던 곡까지 부르며 한국 관객에 대한 깊은 애정을 나타냈다. 당초 세 곡만 부를 예정이었던 앙코르는 무려 7곡을 부르며 30분 넘게 펼쳐졌다. 공연의 대미는 본 조비의 최고 히트곡인 '올웨이즈(Always)'가 장식했다. 최근 공연에서는 부르지 않던 노래를 한국에서만 특별히 선보였다. 20년의 기다림, 그리고 세월에 대한 아쉬움을 단번에 날려버리는 순간이었다. [!{IMG::20150923000038.jpg::C::480::<사진=라이브네이션코리아 제공>}!]

2015-09-23 10:16:46 장병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