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미쓰이소꼬코리아와 증액 투자 협약 체결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은 16일 경남도청 중앙회의실에서 경남도, 창원시, 미쓰이소꼬코리아와 부산항 신항 웅동배후단지 증액 투자를 위한 투자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미쓰이소꼬코리아의 본사는 일본 도쿄에 있는 미쓰이소꼬 홀딩스로, 1909년에 설립된 물류 전문 기업이자 일본 상장 기업이다. 토요타, 소니 등 일본의 대기업들과도 합작 법인도 갖고 있다. 현재 그룹사 73개사를 보유하고, 세계 약 21개국에 진출, 약 400개의 거점을 보유한 일본의 우수 기업이다. 미쓰이소꼬코리아는 일본 미쓰이소꼬 그룹의 100% 투자 기업으로 2014년 6월부터 경남 창원시 진해구 웅동배후단지 내 3만 6780㎡ 부지에 약 1300만달러를 투자해 10년간 물류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미쓰이소꼬코리아는 2014년 제1창고 투자 이후, 국내외 화물 가공 및 환적 등 수요 증가함에 따라 제2공장 설립을 결정했다. 제2공장 설립을 위해 최초 투자 금액에서 246% 증액 투자를 결정했으며 40명의 추가 고용을 계획하고 있다. 부산진해경자청은 기업 유치 후에도 기업 애로사항 청취 등 후속 지원을 이어갔다. 그 과정에서 건축물 높이 제한으로 인한 물류센터 효율적 운영의 어려움을 발견해 창원시, 부산항만공사,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 건설사무소 등 유관 기관과 끈질긴 규제 개선 활동으로 올해 3월 창원시 도시관리계획을 변경, 기존 40m 고도제한을 60m로 완화했다. 이에 미쓰이소꼬코리아는 일반 단순 보관물류창고에서 벗어나 시설을 고도화하고 커피 제조시설까지 포함한 복합물류센터 설립을 위한 증액 투자를 결정했다. 특히 이번 투자 유치는 기관 간 협력이 돋보였다. 부산진해경자청은 지난해 8월 미쓰이소꼬 일본 본사를 방문해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과 부산항 신항의 우수성, 투자 효과 및 인센티브 등을 소개하며 유치 활동을 펼쳤고, 이어 9월에는 김병규 전(前) 경남도 경제부지사가 동경 본사를 방문, 일본 본사 담당 임원을 만나 증액 투자를 유도했다. 가나이 시게키(KANAI SHIGEKI) 미쓰이소꼬 일본 해외물류사업부문장은 지난 10일 경자청을 찾아 "부산항 신항은 세계 각국의 화물이 모이는 국제적인 허브 항만으로, 컨테이너 처리 규모가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대규모 항만이며 앞으로 진해신항 건설에 따른 확장성도 있다"며 "이번 증액 투자를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 물류사업을 강화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현재 부산항은 세계 2위 환적항이자 세계 7위 컨테이너항만으로 미주, 유럽, 아시아를 포함하는 세계 3대 해운항로의 중심에 자리해 있다. 또 중장거리 원양항로가 많이 개설돼 있고, 부산항 신항의 터미널과 항만배후단지는 경제자유구역과 자유무역지역으로 동시 지정돼있어 다양한 입주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런 입지적 우수 성과 인센티브와 같은 실질적 혜택으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에 글로벌 기업과 투자자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송준학 미쓰이소꼬코리아 대표는 "부산항 신항은 일본기업들에게 매력적인 곳이며 특히 커피산업 활성화를 위해 커피 보관, 제조를 위한 센터를 건축할 계획"이라며 "현재는 한국 수입 생두의 약 10%를 처리하지만, 제2 창고가 완성되고 멀지 않은 장래에는 약 50% 정도의 물량 처리가 가능하도록 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일본의 높은 내륙 운송비 등을 고려했을 때 부산항 신항을 거점으로 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판단, 일본 본사에서도 약 6개월 이상 검토를 거쳐 이번 투자를 최종적으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투자 협약의 가장 큰 의의는 항만배후단지에서 커피의 제조 및 가공이 가능한 첫 사례라는 점이다. 이는 단순한 물류 기능을 넘어 제조와 가공을 결합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또 국내외 커피 시장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항만배후부지가 글로벌 커피 물류와 가공의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작점이 될 것이다. 김기영 청장은 "이번 미쓰이소꼬코리아의 증액 투자는 규제 혁신을 통해 제조와 물류의 융합, 기업 유치까지 이어진 사례로 매우 의미 있게 생각한다"며 "이 사례를 시발점으로 이 일대를 커피 제조 클러스터로 조성해 나간다면 지역 경제와 고용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