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양육 가구 638만가구… 1년 사이 47만가구 증가
연도별 반려동물 양육 비율 /농림축산식품부 반려동물 양육 가구가 1년 사이 47만가구 증가한 638만가구인 것으로 추정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전국 만 20~64세 성인 남녀 50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0월7일~23일가지 온라인 패널조사 방식으로 '2020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지난해 반려동물 양육률은 전체 응답자의 27.7%로 전국 추정 시 638만 가구(전체 2304만가구)이며, 2019년(591만가구)보다 47만가구 증가했다. 반려견은 521만 가구에서 602만 마리(81.6%)를, 반려묘는 182만 가구에서 258만 마리(28.6%)를 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 마리당 월평균 양육비는 11만7000원으로, 반려견(17만6000원), 반려묘(14만9000원)는 평균을 훌쩍 넘겼다. 개와 고양이를 제외한 햄스터, 토끼, 앵무새 등 기타 반려동물 월평균 양육비는 2만6000원이었다. 응답자의 79.5%는 동물등록제를 인지하고 있다고 답해 2019년(68.1%)보다 11.4%포인트 증가했다. 반려견을 등록했다는 응답자는 72.1%로 동물등록제가 본격 시행된 2015년 대비 46.8%포인트 증가했다. 동물학대를 목격한 경우 행동(복수응답)으로 '국가기관(경찰, 지자체 등)에 신고한다'(53.4%), '동물보호 단체 등에 도움을 요청한다'(48.4%), '학대자에게 학대를 중단하도록 직접 요청한다'(23.4%) 순으로 나타났다. 학대행위 처벌 필요성에 대한 설문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과반수 이상의 응답자가 '법적 처벌이 필요하다'고 했고, 특히 '구타 등 동물을 물리적으로 학대하는 행위'는 96.3%가 처벌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반려동물 입양경로는 지인 간 거래(무료 57.0%, 유료 12.1%)가 69.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입양 비용은 반려견의 경우 평균 44만원, 반려묘는 평균 43만7000원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28.1%는 키우는 반려동물을 양육포기 또는 파향하고 싶었던 경험이 있었고, 그 이유는 '물건 훼손, 짖음 등 동물의 행동문제'라는 응답이 29.4%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이사·취업 등 여건 변화'(20.5%), '예상보다 지출이 많음'(18.9%) 등이었다.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