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기사사진
한국외대 교수 184명, 29개 언어로 미얀마 민주화운동 지지 성명 발표

한국외대 교수 184명이 31일 미얀마 군사 쿠데타를 규탄하고 미얀마 국민의 민주화 투쟁을 지지하는 성명서를 29개 언어로 발표했다. 한국외대 본관./한국외대 제공 한국외국어대학교(총장 김인철) 교수 184명이 31일 미얀마 군사 쿠데타를 규탄하고 미얀마 국민의 민주화 투쟁을 지지하는 성명서를 29개 언어로 발표했다. 31일 한국외대에 따르면, 이번 지지 성명에는 김인철 총장을 포함해 미얀마 민주화 투쟁에 뜻을 함께한 내국인 교수 145명과 외국인 교수 39명 등 총 184명이 참여했다. 성명서는 그 취지를 널리 알리고자 국어 원문을 한국외대 교수진이 28개 외국어로 번역했으며, 터키어, 우즈베크어 등 11개 특수어의 경우 특수외국어교육진흥원 소속 학생과 교수들이 공공분야 재능기부 형태로 번역에 참여했다. 교수들은 '미얀마 군사 쿠데타를 규탄하고 미얀마 국민의 민주화 투쟁을 지지한다'는 제하의 성명에서 "우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들은 미얀마에서 발생한 군사 쿠데타에 반대하며, 미얀마 국민의 민주화 투쟁을 지지한다"며 "우리는 미얀마 군사정부의 광범위한 인권탄압, 자국민학살 행위의 즉각적인 중단과 민간으로의 평화로운 정권 이양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UN과 세계 각국 정부가 미얀마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실질적 조치 마련에 동참해 달라"고 촉구했다. 전종섭 교수협의회 회장은 "한국외대 교수 사회가 미얀마 군사 정권의 반인륜적 범죄 행위를 규탄하는 인도주의적 정신으로 하나가 된 결과, 오늘의 성명서가 발표될 수 있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교수협의회는 전임 교수들을 대표하는 기구로, 지난 해 4월에는 코로나19 예방수칙 안내문을 영어, 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등 31개 언어로 제작해 교내 유학생은 물론 국내 거주 외국인들에게까지 도움을 주기도 했다. 아래는 이번 한국외대 교수 성명서 발표에 뜻을 함께한 교수 명단. 가정준, 강구욱, 강병창, 강유덕, 강진석, 견진만, 고경난, 고영훈, 고윤희, 고태진, 곽선주, 곽순례, 권석균, 권영우, 권익수, 권태연, 권태형, 김경희(미네르바교양대학), 김광섭, 김광수, 김동식, 김동환, 김모세, 김민정(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김민형, 김상범, 김성복, 김성환, 김세화, 김솔, 김수완, 김용덕, 김원명, 김원호, 김유경, 김은경(아프리카연구소), 김은정, 김응운, 김의수, 김인철, 김재욱, 김종석, 김지은(KFL대학원), 김철민, 김춘식, 김해조, 김현정, 김형래, 김혜진(그리스·불가리아학과), 나민구, 명희준, 문명재, 문유진, 문지희, 박경은, 박남용, 박민영, 박상미, 박수영, 박연관, 박용구, 박재윤, 박정경, 박정운, 박중찬, 박지혜, 박희호, 반병률, 변군혁, 서명교, 서재곤, 서종석, 손종칠, 신근혜, 신정아, 신찬수, 안인경, 안재형, 양윤정, 양재완, 오은영, 오종진, 유기환, 유재원, 유태영, 윤대식, 윤선경, 윤성우, 윤승영, 윤은경, 윤일동, 이근섭, 이길영, 이병도, 이상훈, 이석호, 이유나, 이윤, 이윤석, 이윤희, 이재묵, 이재원, 이지은, 이춘호, 이충목, 이현송, 임근동, 임대근, 임소라, 임현우, 장보은, 장붕익, 장영란, 장용규, 장은영, 장재덕, 장태엽, 전종근, 전종섭, 정대인, 정동근, 정미연, 정유선, 정은귀, 정찬철, 정해권, 정혜연, 제성훈, 조기성, 조문환, 조영한, 조정현, 채영길, 최경일, 최성은, 최우익, 최은경, 최종찬, 최희재, 홍성민, 홍성훈, 홍완석, 홍종명, 홍종열, 황성우. (145명) Alice Julianna Yoo, Andreas Nijenhuis-Bescher, Benoit Guillamet, Carlos Alfonso Macias Valadez Elias, Dipendra Shrestha, Elaskary Mohamed, Eoin Joseph Trolan, Er-Win Tan, Fahime Ghappandari Bidgoli, Finn Harvor, Francisco Gomez Martos, Frazer Johnston-Theasby, Hans-Alexander Kneider, Heiko Karl Ital, Herim Erin Lee, Iovan Drehe, James Nyachae Michira, Jean-Baptiste Causse, Jee eun Regina Song, Maria Teresa Martinez Garcia, Marianne Milhaud, Mason Richey, Merrilee Brinegar, Michael Chesnut, Michael Rabbidge, Nguyen Thi Ngoc Han, Nicholas Y. Duvernay, Rovshan Ibrahimov, Samuele Fioravanti, Sayed Chhattan Shah, Severine Stoeckle, Simuang Kewalin, Sony Karsono, Steve Lee, Steven McLean, Tae Young Choi, Thomas Kuklinski-Rhee, Todd Hull, Tunde Toth. (39명) #한국외대 #한국외국어대학교 #김인철 #교수 #성명서 #미얀마군사쿠데타 #민주화투쟁 #명문 #외국어특성화대학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1-03-31 11:40:29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교사 재산등록, 실효성 없고 예산·행정 낭비”…교원 단체, 반발

교총 "사기만 저하하고 실효성 없는 보여주기식 정책" 교사노조 "교사는 미리 정보 접할 수도 없다…예산 낭비" 일갈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제7차 공정사회 반부패정책협의회에서 공무원의 재산등록 입법화를 추진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 뉴시스 제공 정부와 여당이 공직자 투기 근절 대책 목적으로 교원을 포함한 전체 공무원의 재산등록 입법화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하자 교원단체들이 실효성 지적과 함께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와 교사노동조합연맹(교사노조)은 31일 입장문을 내고 "전체 교원 재산등록 추진을 즉각 철회하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28일 고위당정협의회를 열고 공직자 투기 근절대책의 일환으로 전체 공무원의 재산등록을 입법화하기로 의견을 모은 데 이어 29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 반부패정책협의회에서 이의 추진을 확정·발표했다. 교총은 "LH사태로 촉발된 부동산 투기 근절에는 동의하지만, 부동산 개발정보나 투기와 아무 관계도 없는 교원은 물론 전체 153만 공무원·공공기관 직원까지 재산을 공개하는 것은 과도하다"며 "사기만 저하하고 실효성도 없는 보여주기식 정책을 즉시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LH 등 일부의 부동산 투기를 예방하고 감시해야 할 정부가 그 실패의 책임을 갓 입직한 교사부터 전체 교원·공무원에게 전가하는 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은 온당치 못하다"고 비판했다. 교총은 "전체 교원, 공무원을 잠재적 범죄자로 매도함으로써 허탈감과 사기 저하만 초래할 뿐 아니라, 갈수록 사이버 범죄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개인 정보 노출로 범죄에 악용되거나 재산 수준에 따른 교사 평판 등 교권 침해의 부작용도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하윤수 교총 회장은 "위법, 부정한 방법을 통해 재산 형성을 한 공직자는 누구든지 엄단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전체 교원과 공무원을 잠재적 투기자로 전제하는 재산등록은 지나친 행정규제"라며 "보여주기식 방안보다는 차명 투기 적발 등 실효성 있는 투기 근절방안을 마련하고, 재산등록은 관련 업무 공직자 등 타당한 기준과 범위를 세워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교사노동조합연맹도 이날 성명에서 부동산 관련 정보를 미리 접할 수 없는 일반교사까지 재산등록 대상자로 확대해 일선 교사의 사기를 저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교사노조는 "투기 정보를 활용해 재산을 취득했으면 당연히 처벌해야 하나 그런 정보를 접할 수 없는 일반 교사들까지 재산등록 대상자로 확대해 일선 교사의 사기를 저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라며 "제도 시행으로 인한 효과보다 행정 낭비, 예산 낭비가 더 클 것"이라고 지적했다. #교사 #재산등록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교총 #교사노동조합연맹 #교사노조 #부동산 #투기 #반대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1-03-31 11:32:26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25년 이상 아파트 3년주기로 전기 안전점검 받는다

전기안전관리법 시행으로 바뀌는 주요제도 /산업부 내달부터 25년 이상 아파트는 3년 주기로 전기 안전점검을 받는다. 전통시장과 다중이용시설 등을 대상으로 5등급의 전기설비 안전등급제가 도입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1일 이 같은 내용의 '전기안전관리법'이 4월1일부터 본격 시행된다고 밝혔다. 전기안전관리법은 국민안전 강화와 안전관리시스템 확충을 위해 현행 전기사업법에서 안전관련 규정을 분리·강화해 제정된 법률로 지난해 3월 공포됐다. 우선 산업부장관은 전기재해 예방 등 체계적인 전기 안전관리를 위해 5년마다 전기안전관리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해 시행하도록 했다. 전기안전자문기구도 구성돼 전기안전관리 정책을 원활하게 수립해 추진할 수 있는 체계도 구축된다. 전통시장과 숙박시설, 유치원 등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전기설비의 노후도와 관리상태 등을 반영한 5등급(A~E)의 전기설비 안전등급제도 도입된다. 점검결과 우수등급(A)을 받으면 검사·점검 시기 조정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25년 이상 노후 아파트 등 공동주택 세대에 대한 정기점검 제도가 신설돼 3년마다 안전점검을 받아야 한다. 농어촌 민박시설·전기차 충전시설은 영업 개시 전이나 운영자 변경 시 안전점검을 받도록 했다. 신재생발전설비의 경우 원별 특성을 고려해 공정 단계별로 사용전 검사를 받도록 검사시기가 조정됐다. 전기재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높은 시설에 대해서는 산업부장관이 긴급점검을 실시할 수 있다. 긴급점검 결과 사고발생 우려가 현저한 경우 개수·철거·이전 또는 공사중지, 사용정지 등의 안전조치를 명할 수 있다. 전기안전 업무 위탁 전문업체는 안전업무 수행을 위해 자본금 2억원 이상, 전기기사 등 총 10명, 공용장비 등 총 27대 등 등록요건을 갖춰야 하며, 시공관리책임자는 안전시공교육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한다. #전기안전관리법 #전기설비5등급제 #전기설비안전등급제 #25년이상아파트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

2021-03-31 11:00:20 한용수 기자
기사사진
고용시장 ‘뉴노멀’ 된 언택트 채용…기업 절반 ‘도입했거나 도입 예정’

기업 389개사를 대상으로 '언택트 채용 전형 도입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절반인 50.1%가 '도입했거나 도입할 예정'이라고 답했다./사람인 제공 코로나19 여파로 기업에서 언택트 채용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389개사를 대상으로 언택트 채용 전형 도입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절반인 50.1%가 '도입했거나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년 3월 같은 조사 결과(31.2%)에 비해 19.9%p 상승한 수치다. 기업 형태별로는 대기업(67.7%)이 중소기업(46.8%)보다 도입했거나 도입할 예정인 비율이 20.9%p 높았다. 언택트 채용 전형을 도입하는 이유는 '코로나19 감염을 막기 위해서'(87.2%, 복수응답)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지방 거주자 등 지원자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26.7%) ▲최대한 많은 구직자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서(22.1%) ▲전형 운영과 평가 관리 등이 편해서(22.1%) ▲지원자들이 온라인 활동에 익숙한 세대라서(16.4%) ▲젊고 친근한 기업 이미지 구축을 위해서(9.7%) 등의 순이었다. 이들 기업이 도입한 언택트 채용 전형은 '면접 전형'이 89.2%(복수응답)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밖에 ▲인적성 검사(23.1%)▲채용설명회(8.2%)▲필기 시험(5.1%) 등이 있었다. 언택트 전형 도입 시기는 '올해 1분기'(23.6%)가 가장 많았다. 뒤이어서 ▲올해 2분기(12.3%) ▲2021년 이후(11.3%) ▲작년 3분기(9.7%)▲올해 3분기(8.2%) 등의 순이었다. 그러나 언택트 채용의 정착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언택트 채용을 진행 중인 기업(70개사)들이 겪는 어려움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어려움으로는 '면접 진행 시 대면보다 평가가 어려움(44.3%,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연결 끊어짐 등 시스템 운영이 어려움(35.7%) ▲지원자, 평가자 모두 익숙하지 않아 전형 진행이 어려움(31.4%) ▲지원자 안내 등 관리가 어려움(30%) ▲인적성, 필기시험에서 지원자의 부정행위 적발이 어려움(22.9%) 등이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아직까지는 기존의 대면 전형과 비교한 언택트 전형의 효율성은 '낮다'(44.3%)는 응답이 '높다'(18.6%)는 응답보다 2배 넘게 많았다. '비슷하다'는 답변은 37.1%였다. 반면, 언택트 전형을 도입할 의향이 없는 기업(194개사)들은 그 이유로 ▲채용이 많지 않고 채용 규모가 작아서(49.5%, 복수응답) ▲면접 등 전형은 대면이 꼭 필요해서(45.9%) ▲오프라인보다 효율이 떨어지는 것 같아서(26.3%) ▲시스템, 솔루션 구축이 어려워서(25.3%) ▲초기 비용이 많이 들어서(13.9%) 등을 들었다. #언택트 #코로나19 #기업 #채용 #대기업 #중소기업 #면접 #인적성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1-03-31 09:25:47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메트로신문 - 3월 31일 한줄뉴스

<정책·사회> ▲정부가 코로나19에 대응해 내년에도 적극 재정을 운용하지만, 재량지출의 10%를 의무 감축하고, 비정상적으로 커진 재정 지출 관리에도 나서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3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경제 위기가 지속함에 따라 '속도감 있는 4차 재난지원금 지급'과 '포용적 회복' 등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코로나19 경제 위기가 1년 이상 이어지는 가운데 방역 강화뿐 아니라 회복에도 집중할 것이라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지난달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가 1년 전과 비교해 17만명 감소하는 등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이 지속되고 있다. 다만 지난달 중순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등의 영향으로 감소폭은 전달보다 완화됐다. ▲올해 초유의 신입생 미달사태로 난관에 부딪힌 지방대 곳곳에서 입시 부진을 놓고 총장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안일환 기획재정부 2차관을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 이억원 경제정책비서관을 기재부 1차관, 안도걸 기재부 예산실장을 2차관에 내정하는 등 경제 분야 차관급 인사를 단행했다. ▲국방부가 최근 국내외 인터넷과 중거거래 앱에서 유통되는 불용 군수품 근절을 위한 칼을 빼들었다. 그렇하지만, 국방부의 접근방식이 구시대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는 30일 오후 2시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역 앞에서 선거 유세를 하며 시민들에게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심화시킨 현 정권을 심판해달라고 당부했다. <산업> ▲현대자동차가 첫 순수 전기차 '아이오닉5'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품질 테스트에 돌입한다. 아이오닉5의 국내 판매는 다음달 중순부터 진행될 예정이다. ▲한화큐셀이 독일에서 태양광 셀 효율을 향상시키는 특허 기술 보호를 위해 중국 아스트로너지(Astronergy)를 대상으로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GS칼텍스가 글로벌 에너지기업들과 머반 원유 선물거래를 시작해 투명하고 공정한 거래 가격 매커니즘을 갖춘 원유 거래 활성화에 나선다. <유통라이프 > ▲신동원 농심 부회장은 30일 열린 고 신춘호 농심 회장의 영결식에서 "농심의 철학은 뿌린대로 거둔다는 믿음이 바탕이며, 노력한 것 이상의 결실을 욕심내지 않는 것"이라며 "아버님이 가지셨던 철학을 늘 잊지 않겠다"고 말했다. ▲장보기 앱 마켓컬리를 운영하는 컬리는 김포에 총 2만5000여평 크기의 신선물류센터를 오픈했다. 김포 신선물류센터를 통해 고객 확대와 수도권 외 지역까지 새벽배송 권역확장에 나설 계획이다. ▲패션업체가 이전보다 어린 모델들을 기용하는 등의 전략을 통해 이미지 변신을 꾀하고, 라인별로 다른 모델을 여러명 내세우는 등 변화를 보이고 있다. ▲미국 현지시간 28일 발표된 연구의 데이터에 따르면, 화이자와 모더나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은 첫번째 접종 이후 코로나19 감염 위험을 80%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마켓·부동산> ▲오는 7월 7일 법정 최고금리가 연 24%에서 20%로 낮아진다. ▲SK바이오사이언스 등 공모주 광풍이 이어지면서 장외주식 시장 규모도 점차 커지고 있다. ▲서울 아파트의 지난달 매매가격 상승폭이 줄어든 가운데 동북권의 노원·도봉 일대가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21-03-31 07:00:23 김재웅 기자
기사사진
전문대교협, 전문대학 창업교육 발전토론회 성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가 30일 협의회 4층 대회의실에서 전문대학 창업교육 내실화와 활성화를 위한 '전문대학 창업교육 발전토론회'를 개최했다./전문대교협 제공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회장 남성희 대구보건대학교 총장)는 30일 협의회 4층 대회의실에서 전문대학 창업교육 내실화와 활성화를 위한 '전문대학 창업교육 발전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고용없는 성장'의 사회·경제적 구조의 한계 속에서, 지역 중심의 청년 일자리 확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전문대학의 실용기술 기반의 실전창업교육 역량을 강화해 지역연계형 창업교육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를 위해 전문대교협은 그동안 자체연구를 통해 '2021년~2020년 전문대학 창업교육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창업 전문기관인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과 함께 '전문대학 창업교육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 연구'를 추진했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학의 구체적인 실전창업 교육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이 이어졌다. 토론회는 이윤석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기업가정신교육센터장과, 이동원 전문대교협 산학교육혁신연구원 연구위원(신구대학교 교수)이 각각 '전문대학 창업교육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과 '2021년~2022년 전문대학 창업교육 발전계획'을 주제로 발표했다. 한광식 전문대교협 산학교육혁신연구원장(김포대학교 교수)을 좌장으로 전문대학 외부 전문가와 전문대학 내부 구성원간 창업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지정토론이 이어졌다. 전문대학 외부 전문가로는 류선종 N15 대표, 양현모 전략컨설팅집현 대표, 한정무 한국발명진흥회 평생교육실장, 이정원 한국창직협회 회장, 유연성 언더독스 총괄디렉터, 최병희 K-ICT창업멘토링센터 센터장이, 전문대학 내부 구성원으로는 권양구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장, 김형로 계원예술대학교 교수, 김태현 대림대학교 창의융합교육센터장, 박주희 삼육보건대학교 혁신기획처장, 이상희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전략지원실장, 한성일 인덕대학교 교무처장이 참여했다. 남성희 전문대교협 회장은 "전문대학은 창업교육을 위한 전담조직, 운영예산 및 전담 교직원 등이 부족한 실정이지만,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부족한 청년 일자리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의 실용기술 기반의 창업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전문대학의 노력만으로는 지역연계의 창업교육을 활성화시키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기에, 정부 및 지자체에서도 전문대학의 지역 특화형 창업지원 정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대교협 #남성희 #창업교육 #한광식 #산학교육혁신연구원장 #김포대학교 #교수 #총장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1-03-30 20:21:43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독도 일본 영토 주장 일본 사회교과서 통과...韓 교육부 강력 대응

이신철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상임공동운영위원장이 30일 서울 종로구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사무실에서 열린 2021 검정 통과 일본 중·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분석 기자회견에서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일본 문부과학성이 30일 독도를 일본 영토라고 주장하는 내용 등을 담은 고등학교 사회과 검정교과서 30종을 통과시키자 교육부가 대응에 나섰다. 신문규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통해 "대한민국 정부는 독도 영토 주권을 침해하고 강제동원, 일본군 '위안부' 등 전쟁 범죄를 축소·은폐한 고등학교 교과서를 일본 정부가 검정 합격시켰다는 사실에 엄중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이날 일본 문부과학성 교과용 도서 검정조사심의회는 2022년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 296종을 통과시켰다. 이 중 공공(公共), 지리총합(종합), 역사총합 등 모든 사회과목 교과서에는 독도가 일본 "고유의 영토"라는 기술이 명기됐다. 교육부는 "그동안 그릇된 역사관이 반영된 일본 교과서 검정 결과가 있을 때마다 일본 정부에 강력히 항의하고, 왜곡 내용의 시정을 촉구했으나 이번 고등학교 교과서 검정 발표에도 시정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대한민국 대통령이 3·1절 기념사에서 일본정부에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함께 모색하자고 제안한 지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 일본이 역사 왜곡을 반복하는 교과서를 검정 통과시킨 것에 대해 크게 실망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한·일 관계의 얽힌 매듭을 푸는 첫걸음은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는 것에서 시작된다"며 "일본 정부는 다음 세대를 위해 왜곡된 교과서 내용을 스스로 시정하라"고 촉구했다. 나아가 "그릇된 역사관이 반영된 초·중·고 교과서로 학습한 일본의 미래세대는 왜곡된 역사관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성장할 것"이라며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공존을 크게 저해할 것이며 일본은 국제 사회로부터 더욱 고립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일본이 '독도는 일본 땅'이라는 왜곡된 내용이 담긴 고등학교 교과서를 검정 통과시킨 데 대해 "강력히 항의하며 즉각적인 시정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상렬 외교부 아시아태평양국장는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로 소마 히로히사(相馬弘尙) 주한 일본대사관 총괄공사를 초치해 항의했다. /박태홍기자 pth7285@metroseoul.co.kr

2021-03-30 18:04:32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민병철 중앙대 석좌교수, 모교 중앙대에 발전기금 5천만원 기부

30일 발전기금 전달식 '성료'…"중앙대 발전 위한 일들에 앞장설 것" '국민 영어선생님'으로 잘 알려진 민병철 중앙대 석좌교수가 모교인 중앙대에 발전기금을 쾌척했다. 중앙대학교(총장 박상규)는 민병철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석좌교수가 30일 열린 발전기금 전달식에 참석해 5000만원의 발전기금을 기부했다고 밝혔다. 발전기금 전달식은 오전 10시 30분 중앙대 서울캠퍼스 본관 총장단 회의실에서 ▲개회선언 ▲내빈소개 ▲발전기금 전달 ▲감사패 전달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됐다. 박상규 총장을 비롯해 백준기 교학부총장, 김원용 연구부총장, 김동순 경영경제대학장, 이무열 대외협력처장, 윤형원 대외협력팀장 등이 행사에 참석했다. 민병철 교수는 실용 영어교육을 주창한 '영어교육의 아이콘'으로, 경제학과 69학번 동문이다. 민 교수는 1981년 '민병철 생활영어'로 영어교육의 새 장을 열고, 문법 위주 영어교육이 아닌 소통 중심의 생활·실용 영어교육 보급에 앞장서 왔다. MBC, KBS 등에서 10년 이상 실용영어 교육 방송을 진행하며 전 국민의 영어능력 향상은 물론 한국 사회의 글로벌화를 앞당기는 데에도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다. 현재 전화 영어교육 '민병철유폰' 등 교육 서비스를 하고 있는 ㈜민병철교육그룹 대표를 맡고 있다. 민 교수는 1981년 중앙대에서 초빙교수로 강의를 시작했으며 2005년 교양학부 교수, 이후 건국대·한양대 교수를 지냈다. 최근에는 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 글로벌 취·창업 경쟁력을 갖추는 데 도움을 주는 '비즈니스 크리에이티비티(Business Creativity)' 강좌를 선보여 주목을 받았다. 올해 3월 중앙대 석좌교수로 임용됐다. 민 교수는 1992년 첫 CF 출연료 2000만원을 쾌척한 것을 시작으로 이번 기부까지 모두 1억 4000만원 이상을 모교에 기부했다. 지난해 7월에는 코로나19 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기실업자들의 생활 안정과 재취업 촉진을 위한 ‘근로복지진흥기금’에 사재 1억원을 기부하는 등 다양한 기부 활동을 선보여 왔다. 발전기금을 전달식에서 민 교수는 "왜 강의를 하느냐는 질문을 받을 때 '배우기 위해 가르친다'라고 답해 왔다. 모교에서 강의할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감사하다"라며 "이번 발전기금 전달은 작은 시작일뿐이다. 앞으로 중앙대의 발전을 위한 더 큰 일들에 앞장서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박상규 총장은 "민 교수는 영어교육을 통해 대한민국의 근대화와 현대화에 민간인으로서 가장 큰 기여를 한 동문"이라며 "그간 쌓은 훌륭한 경험과 경륜을 강의를 통해 공유해 주는 것이 학생들에게 정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중앙대 #박상규 #민병철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석좌교수 #발전기금 #모교 #기부금

2021-03-30 15:50:55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내년 나랏빚 1000조 돌파… 고강도 지출 구조조정 예고

안도걸 기획재정부 예산실장이 지난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예산실장, 22년도 예산안 편성지침' 백브리핑에서 주요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상대 기재부 예산총괄심의관, 안도걸 기재부 예산실장. /기획재정부 정부가 코로나19에 대응해 내년에도 적극 재정을 운용하지만, 재량지출의 10%를 의무 감축하고, 비정상적으로 커진 재정 지출 관리에도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 지침을 30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확정했다. 이번 지침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초슈퍼 예산과 연이은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에 따라 국가 재정건전성이 극도로 악화된데 따른 조치다. 지금까지 다섯 차례 추경으로 국가채무가 965조9000억원으로 늘었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48.2%로 재정이 빠르게 악화됐다. 정부가 앞서 1차 추경안과 함께 국회에 제출한 '2020~2024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2022년 우리나라 나랏빚은 1091조2000억원까지 늘고, 국가채무비율도 52.3%까지 급등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우선 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 한시적으로 증액된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는 대신, 미래 대비 투자 재원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한국판 뉴딜 등은 지속 지원하되 긴급 유동성 공급을 위해 일시적으로 늘어난 펀드·융자·보증 등은 축소한다. 또 고용 유지지원 사업과 농수산·문화·관광 바우처 및 쿠폰 등 내수 회복을 위해 한시 시행한 소비촉진사업도 단계적으로 축소키로 했다. 절감된 예산으로 사업 여건과 우선순위를 고려해 전략적으로 재정을 재배분한다. 탄소 중립을 위해 화석연료 사용촉진사업은 단계적으로 줄이는 대신 신재생 에너지·온실가스 저감 지원사업은 육성하는 방식 등이다. 전체 예산의 절반에 달하는 비중을 차지하는 재량지출도 10% 의무 감축키로 했다. 여기서 절감된 재원은 중점투자 분야에 전환해 쓰고, 부처 자발적 구조조정 이행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와 페널티도 부여키로 했다. 기재부 안도걸 예산실장은 "2021년 예산 편성시에도 전반적인 세출 구조조정을 통해 약 10조원 가량 절감할 수 있었다"며 "내년에는 이보다 20% 늘어난 12조원 수준의 재량지출 구조조정을 달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행적인 보조금과 출연금, 출자금도 정비에 나선다. 보조금의 경우 의무지출을 제외한 3년 이상 지원된 민간 보조사업을 대상으로 존속 필요성 등을 검토한다. 또 3년 이상 관행적으로 지원된 출연사업도 존속 여부와 적정 소요를 결정키로 했다. 또 공무원·기관이 직접 사용하는 특수활동비, 특정업무경비, 국외여비, 업무추진비 등 4대 주요 경상경비의 운영경비 절감을 추진한다. 전체 보조·출연기관 운영경비도 집행실태를 재점검할 계획이다. 중장기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 재정준칙 도입도 추진한다. 정부는 작년 국가채무비율을 GDP 대비 60%,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 적자 비율을 3% 이내로 관리하겠다는 재정준칙 도입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정부의 재정준칙 도입 법안은 국회에 제출된 상태로 입법화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최근 재정수지가 악화되고 있는 에너지 및 자원사업특별회계, 고용보험기금, 관광진흥개발기금 등 특별회계·기금은 중기 재정건전화 방안을 별도로 마련해 예산 요구 시 제출하도록 했다. 사업 목적이 유사하거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는 다부처 연계 사업군은 부처 공동 사업 기획 및 사업단을 구성해 협업예산으로 패키지화해 편성하고, 창의적인 협업을 통해 지출 효율화와 사업성과 제고가 기대되는 모범사업은 신규사업 우선 선정 등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아울러 내년 예산부터 프로그램 단위 성과목표관리를 해 성과 관리의 실효성을 높이고 예산과 성과의 연계성을 강화한다. 또 부처 간 유사하거나 중복이 우려되는 사업은 정밀 검토해 부처 간 사업 이관·통폐합 등 전면 재정비하기로 했다. #2022년예산안 #나랏빚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

2021-03-30 15:10:31 한용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