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복합콘텐츠창작자·데이터마케팅전문가·오디오북내레이터 등 36개 신직업 탄생
한국고용정보원 한국고용정보원(원장 나영돈)은 22일 사회경제적 변화와 기술혁신으로 새롭게 나타나는 문화예술 분야 신직업을 소개한 '2020 국내외 직업비교분석을 통한 신직업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문화예술 분야를 게임·공연·영화·웹콘텐츠 등 12개 분야로 나눠 국내외 새로운 일자리를 검토한 뒤, 관련 분야 전문가 6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고, 전문가 집단심층면접(FGI) 등을 통해 미래 성장 가능한 신직업을 발굴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문화예술 분야는 미래 성장분야인 콘텐츠 산업과 관련이 깊고,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증강현실, 가상현실 등 정보통신기술이 디자인과 공연, 영상 등의 분야와 결합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만들어 낸다. 또 K-팝, 웹툰 등은 세계시장에 진출하면서 창작활동 외에 기획, 기술, 마케팅, 국제교류, 품질관리, 번역 등의 지원 분야에서 다양한 직업이 생겨나고 있다. 고용정보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최종적으로 신직업 36개를 선별했다. 신직업으로는 융복합콘텐츠창작자, 맞춤형게임프로그래머, 공연미디어전문가 등 문화콘텐츠와 정보통신기술이 결합한 직업과 온라인튜터, 이러닝테크니션, 공연방송기술자 등 온라인공연 유료화 등 비대면 산업 활성화 등에 따라 생긴 직업 등이 있다. 한국고용정보원 김중진 연구위원은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빅데이터, 인공지능, 가상현실/증강현실 등의 디지털 기술이 각종 콘텐츠에 접목되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공연 및 이러닝 등 비대면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며 "문화예술 기획자 등을 비롯하여 관련 예능 및 실무인력은 해당 분야의 디지털 기술을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적용?활용하는 능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고용정보원 홈페이지의 발간물 메뉴-직업·진로정보서에서 전체 원문을 받아볼 수 있다. #문화예술신직업 #융복합콘텐츠창작자 #데이터마케팅전문가 #오디오북내레이터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