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창업/취업
현대자동차, 여성 정규직 비율 1위

여성 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은 회사는 현대자동차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지난해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 중 고용노동부에 고용형태를 공시한 87개사의 '여성 고용형태'를 분석해 22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87개사의 여성 상시 근로자(총 25만9113명)와 소속 외 근로자(총 8만4385명) 비율은 75:25였다. 상시 근로자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근로계약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가 87%(22만4820명)를 차지했으며, 기간제 근로자는 9%(2만3800명), 기타 근로자는 4%(1만493명)였다. 전체 여성 근로자 중 정규직의 비율은 평균 65.5%로 나타났다. 여성 근로자의 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현대자동차로 기간제로 근무하는 47명을 제외한 2717명(98.3%)이 정규직인 것으로 조사됐다. LG상사(96.4%), 한화생명보험(96.4%), 한진해운(94.1%), LG디스플레이(93.9%), 동부화재해상보험(93.7%), 한화손해보험(93.5%) 등이 뒤를 이었다. 금융·보험 업종의 기업이 상위에 오른 것이다. 고용조건 관계없이 여성 근로자수가 가장 많은 기업은 삼성전자로 3만3697명의 여성이 근무하고 있었다. 롯데쇼핑(2만5015명), 이마트(2만953명), KT(1만6331명), 홈플러스(1만5413명), 삼성디스플레이(1만3077명) 순이었다. 전체 근로자 수의 남녀 성비는 75:25로 남성이 여성보다 3배 더 많았다. 정규직도 74:26(남:여)의 비율로 마찬가지의 수준으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고용조건이 좋지 않은 편에 속하는 기간제(59:41)와 기타(58:42) 근로자수의 성비는 남녀의 차이가 적었다.

2014-08-22 09:56:36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자사고 폐지' 놓고 교육단체-학부모 대립

서울시교육청이 자율형 사립고에 대한 종합평가에 들어간 가운데 21일 자사고 폐지를 놓고 진보단체와 자사고 학부모 간의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국교수노동조합 등으로 구성된 교육혁명공동행동은 이날 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교육청은 국민에게 약속한 자사고 폐지 공약을 한 치의 흔들림 없이 이행해야 한다"며 자사고 전면 취소를 촉구했다. 공동행동은 기자회견문에서 "자사고는 교육의 다양화가 아니라 입시에 몰입하는 학교, 부모의 경제적 능력으로 학생들을 분리하는 학교"라고 비난했다. 이들은 "실패한 자사고에 대한 엄정한 평가를 실행해야 할 교육부가 거꾸로 자사고의 특권을 옹호하며 자사고 학부모들을 선동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서울시내 24개 자사고(하나고 제외) 학부모들로 구성된 서울자사고학부모연합회(자학연)는 시교육청 앞에서 침묵시위를 열고 자사고 재평가 철회와 면접선발권 유지를 요구했다. 자학연은 "시교육청은 이미 완료된 자사고 재지정 평가를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자사고를 폐지하기 위한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며 조희연 서울교육감 취임 후 시행했거나 시행 중인 2, 3차 평가 철회를 촉구했다.

2014-08-21 16:09:41 윤다혜 기자
카카오스토리 이용한 마케팅 소호에 인기 "짱“

여성용 의류 매장을 운영하는 김유미씨는 최근 온라인 마케팅을 활용해 큰 수익을 올리고 있다. 비용을 들이지 않고 자신이 직접 카카오톡을 이용해 제품을 알리고, 고객들과 소통한 결과다. 최근 모바일 마케팅 화두인 ‘카카오스토리’를 활용한 강좌에 소호(SOHO)와 중소기업인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큰 자본 없이도 자신이 직접 마케팅 툴인 카카오스토리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다 고객들의 피드백을 즉시 확인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더욱 인기를 모은다. 하지만 모바일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마케팅적 요소를 감미하지 못한 SNS플랫폼 운영은 오히려 독이 된다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이 때문에 중소기업인들은 자신의 기업에 맞는 교육과 마케팅적 요소를 더해줄 수 있는 강의를 찾는다. 이 같은 수요에 맞춰 최근 이투데이교육센터는 모바일 마케팅 전문가 컨설팅 그룹인 ‘스토리마케팅’이 주관한 ‘모바일 마케팅 실무 전문가 과정’을 개최했다. 이번 강의는 기존의 카카오톡 마케팅 강의와 달리 이론보다는 실무 위주로 진행됐다. 특히 △모바일 마케팅 △스토리플러스 마케팅 △비즈프로필 마케팅으로 구성돼 마케팅 전반에 대한 강좌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기존 강의와 비교해 수업 내내 진행 된 1:1 맞춤 컨설팅은 참석자들에게 적절한 해법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수강 후에도 이해가 부족하거나, 재수강을 원할 경우에는 스토리마케팅에서 다시 무료로 들을 수 있다는 점도 다른 강의와는 차별성으로 꼽혔다. 강의에 참석한 전경수씨는 “모바일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지만, 어떻게 활용을 해야 할지 막막했다”면서 “이번 강의를 듣고 카카오 스토리플러스를 어느 방향으로 활용해야 될지 알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2차 강의는 9월 16일 이투데이 교육센터에서 진행 될 예정이며, 접수 문의는 이투데이 홈페이지(www.etoday.co.kr)와 전화(02-799-6799)로 신청 가능하다.

2014-08-21 15:07:17 윤다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