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창업/취업
빅맥 하나 먹는 데 '알바 40분'···일본보다 10분 더 일해야

우리나라 아르바이트생이 세계 물가를 비교할 때 사용되는 맥도날드의 빅맥 햄버거를 사먹으려면 40분이나 일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주·일본 등에 비해 10분 이상 더 일해야 하는 셈이다. 잡코리아가 운영하는 아르바이트 구인구직 포탈 알바몬은 최근 OECD 22개국의 시간당 최저임금과 빅맥가격을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2013년 OECD 기준 국가별 최저임금을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시간당 최저임금은 5.22달러로 OECD 국가중 12위를 기록했다. 시간당 최저임금이 가장 높은 국가는 호주로 10.21달러였으며 프랑스(10.63달러), 벨기에(9.97달러), 네덜란드(9.48달러), 아일랜드(9.01달러) 등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일본(6.61달러)은 9위다. 반면 빅맥가격은 3.43달러로 한국은 22개국 중 5번째로 낮았다. 빅맥가격이 가장 비싼 국가는 캐나다(5.26달러), 가장 싼 국가는 폴란드(2.73달러)다. 이를 토대로 빅맥 하나를 사먹기 위해 소요되는 근무시간을 계산해본 결과, 한국의 근로자는 약 39.5분으로 22개국 중 10위를 기록했다. 호주가 27분으로 가장 짧았으며 네덜란드·프랑스가 28분으로 뒤를 이었다. 일본은 29분으로 5위다. 한편 멕시코는 무려 3시간27분을 일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시간 근무를 통해 먹을 수 있는 빅맥의 개수를 비교했을 때도 호주·네덜란드·프랑스·벨기에·일본 등 상위 그룹은 2개 이상을 먹을 수 있는 데 비해 한국의 경우 1.5개를 구매할 수 있는 데 그쳤다.

2014-06-09 09:32:59 이국명 기자
직장인이 가장 서러울 때는 언제?

직장인들이 가장 서러울 때는 언제일까.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17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상황별 나를 서럽게 하는 순간 베스트 3' 조사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업무 중 가장 서러운 순간, 잡무를 도맡아 할 때 업무와 관련해 서러울 때로는 '잡무를 도맡아 할 때'(37.8%,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선택했다. 다음으로 '대충 지시 받은 일인데 나중에 야단맞을 때'(35.5%), '일이 없어도 눈치 보여 야근할 때'(32.5%), '업무 능력을 인정받지 못할 때'(32.3%), '평일 휴식, 자기계발 등은 상상도 못할 때'(31.4%)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직장 내 인간관계, 상사의 트집 때문에 맘 상해 '일보다 사람이 힘들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사내 인간관계는 쉽지 않다. 특히, '상사의 기분에 따라 트집 잡힐 때'(65.1%, 복수응답) 가장 서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해서 '동료가 뒷담화 할 때'(23%), '친분을 이용해서 일 시킬 때'(15.9%), '따돌림을 당할 때'(14.9%), '아픈데 업무에 지장 준다고 혼날 때'(13.8%), '부하직원에게 하극상 당할 때'(11.6%), '흡연, 음주 등을 강요 받을 때'(11.6%) 등이 있었다. ◆스스로 느끼는 상처, 과감하게 그만둘 수 없을 때 자신의 생각과 행동이 스스로에게 상처를 주기도 한다. 직장생활에서 자기자신에게 서러울 때로는 '너무 힘든 데 그만 둘 수 없을 때'(56.9%, 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 뒤이어 '불평불만을 가지고도 가만히 있을 때'(48.2%), '변화가 필요한 건 알지만 포기할 때'(44.9%), '임원, 상사에게 맞춰 말하거나 행동할 때'(27.1%), '연봉 협상 시 아무 말도 못할 때'(24.8%), '현실에 안주할 때'(24.4%) 등의 순이었다. 이렇게 서러움이 많은 직장생활을 계속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절반 이상인 56.7%(복수응답)가 '월급을 받기 위해서'를 선택했다. 이밖에 '생활비, 대출금 등 경제적으로 어려워서'(42.7%), '이직 등 해소방법을 준비 중이라서'(35.2%), '다들 참고하는 일이라서'(23.5%), '쌓은 경력 등이 아까워서'(19.6%) 등의 이유를 들었다. 한편 직장인들은 스트레스나 서러움을 날리기 위해 '음주가무'(30.3%. 복수응답), '동료와 커피타임, 뒷담화'(25.9%), '운동'(24.9%), '취미, 동호회 활동'(24.6%), '흡연'(23.5%), '월급날 지름신, 쇼핑'(23.2%), '여행'(22.7%) 등을 한다고 밝혔다.

2014-06-05 07:44:24 이국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