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창업/취업
육아휴직 사용 겁나네···기업 72% “여직원 출산 공백 부담”

여성 직원의 출산 공백에 부담을 느끼는 기업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출산·육아휴직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 기업도 절반에 달했다. 22일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402개사를 대상으로 '재직 여성 직원의 출산 및 육아로 인한 공백기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72.1%가 '부담스럽게 느낀다'라고 응답했다. 여성 직원의 출산 공백이 부담스러운 이유로는 '공백에 맞춰 대체인력 찾기가 어려워서'(60%,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출산 및 육아를 이유로 퇴사를 많이 해서'(43.8%), '대체자 채용 등 업무절차가 번거로워서'(23.4%), '추가 채용 등으로 비용이 발생해서'(19.3%), '대체인력의 성과가 보장되지 않아서'(15.2%), '출산휴가 등 제도를 운영하기 부담돼서'(15.2%) 등이 뒤를 이었다. 이 때문에 결혼적령기 여성 지원자에게 결혼·자녀 계획을 묻는 기업이 52.8%에 달했다. 조사대상 기업에서 현재 시행 중인 모성보호제도로는 '본인 출산-육아휴직'(49.8%, 복수응답), '출근시간 조정'(23.4%), '배우자 출산-육아휴직'(16.4%), '근로시간 단축'(15.4%), '정시퇴근 의무화'(15.4%) 등이 있었다. 하지만 직원들의 출산·육아휴직 사용은 '권장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47.5%로 가장 많았다. 실제 출산 및 육아휴직을 낸 여성 직원이 있는 기업(149개사)이 밝힌 평균 휴직기간은 6개월로, 보장된 기간(출산휴가 90일, 육아휴직 1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지난해 조사 때도 휴직기간이 평균 6개월로 집계돼, 충분히 휴가를 쓰지 못하는 분위기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후 복귀하는 직원은 2명 중 1명(평균 56%) 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4-05-22 08:06:54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서울대 교수 시국선언에 "국민들이 할일을 대신해 주네" 반응 뜨거워

서울대 교수들의 시국선언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의 반응이 뜨겁다. 앞서 지난 20일 오전 서울대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는 서울대 교수회관에서 "국민을 보호하지 못하는 정부는 존재 이유가 없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민교협은 "세월호 참사는 한국 사회가 지닌 문제들을 총체적으로 드러냈다"며 "세월호 침몰에는 생명과 안전을 도외시하고 오직 돈만을 추구한 '청해진 해운'의 천박한 기업행태와 함께 감독기관의 부패와 행정 공백, '기업하기 좋은 나라 만들기'를 위한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민을 진정 분노케 한 것은 세월호 구조과정에서 드러난 정부의 무능과 '국가'의 부재"라며 "사고 이후 정부 및 정권의 대응은 분노를 넘어서 정부와 국가에 대한 신뢰기반을 송두리째 무너뜨리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민교협은 "대통령이 뒤늦게 책임을 인정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지만 해경해체만으로 모든 책임을 면하려는 태도는 스스로의 책임을 전가하는 행위에 지나지 않는다"면서 "철저한 진상 조사와 잘못된 시스템에 대한 진단을 통해 책임소재를 밝히고, 그에 상응한 개혁을 즉각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네티즌들은 "국민들이 할일을 대신해 주는구나" "서울대뿐 아니라 우리 모두 시국선언 해야 한다" "굉장하다" "선언만 할 것이 아니라 즉각 행동하라" "현 상황에서는 교수들이 나서줘야 한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일부 네티즌은 "정말 답답한 현실..." "서울대교수 시국선언, 응원합니다!" "각계각층에서 이런 목소리가 나와야할텐데" "서울대교수 시국선언, 공감!" 등의 반응을 나타냈다.

2014-05-21 10:22:21 윤다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