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창업/취업
월급만으로는 못살아···직장인 10명 중 9명 "투잡 경험"

직장인 10명 중 9명이 본업과 함께 투잡알바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이 만 20세 이상 남녀 1341명을 대상으로 '투잡알바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직장인 중 86.2%가 투잡알바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3040세대 남성의 투잡 빈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30대 남성 80.8%, 40대 남성 84.2%로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여 생계비 마련을 위해 투잡 전선에 뛰어든 이 시대의 중장년 남성이 많음을 추측할 수 있다. 또 20대는 58.6%, 50대는 75.0%로 다소 높은 투잡 비율을 보였다. 투잡을 하게 된 이유로는 절반이상인 55%가 '생활비 부족'을 꼽았다. 일자리를 가지고 있지만 현재의 봉급으로는 팍팍한 살림살이를 메우기 어려운 것이다. 취미생활 겸 여윳돈 마련(16.8%), 여유시간 활용(16.5%), 여행경비 및 결혼비용 등의 목돈마련(7.1%), 고가 물품구매(3%), 급전마련(1.5%) 등을 거론한 직장인도 많았다. 투잡족들의 평균 연봉은 1500만원이 72.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1500만~2000만원(10%), 2000만~2500만원(8.1%), 2500만~3000만원(4%) 순으로 나타나 봉급이 적을수록 투잡비율이 높았다. 투잡 평균 시급은 7000원 미만이 72.3%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7000~9000원(13.6%), 9000~1만1000원(6.7%), 1만3000원 이상(4.9%), 1만1000~1만3000원 순으로 나타났다. 투잡으로 일하는 주요 업종은 서빙·주방(27.3%)과 매장관리직(18.5%)이 가장 높아 전문직 보다 단순 직무의 비중이 컸다. 피팅모델, 보조출연자, 주차관리 등의 서비스업(15.1%), 전단지 배포, 콜택시, 세차 등의 생산·기능업(11.2%), 문서작성, 편집, 번역 등의 사무직(9.3%) 순이었다. 그 외 주말알바 (6.1), 좌담회 알바(4.5%), SNS 알바(3.7%)가 하위권에 머물렀다.

2014-05-08 14:51:32 이국명 기자
전문대 평균 7.7% 정원감축 계획…123개교 신청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에 신청한 전문대학이 자체적으로 입학정원을 평균 7.7% 감축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부는 8일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 접수결과 전국의 137개 전문대학 중 123개교가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특성화 사업 중 Ⅰ·Ⅱ·Ⅲ 유형에 참여한 전문대학의 자율적인 정원 감축률은 평균 7.7%로 집계됐다. 사업유형의 Ⅰ유형인 '단일 산업분야 특성화' 사업에서 수도권 전문대학 9개교는 평균 11.4%, 지방 17개교는 8.6% 감축 계획을 마련했다. Ⅱ유형인 복합 산업분야 특성화에는 수도권 28개교, 지방 54개교가 신청해 각각 정원을 7.1%, 7.7% 줄이겠다고 밝혔다. 프로그램특성화인 Ⅲ유형에서는 지방 3개교가 평균 6.7% 감축 계획을 수립했다. 사업신청 조건이 학위 과정 모집정원의 20~50%인 평생직업교육대학 사업에 참여한 11개교의 평균 감축률은 33%였다. 교육부는 사업 평가에서 예술계의 취업 특성을 고려해 국세 데이터베이스의 1인 사업자와 프리랜서도 예술계열 취업률에 포함하며 공연이나 전시 등을 한 경우도 취업한 것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또 예술계열 취업률은 타 계열과 구분해 별도로 평가할 방침이다. 아울러 수도권과 지방 권역별로 예술 관련 단일산업분야 특성화 전문대학을 최소 1개교씩 선정할 계획이다.

2014-05-08 09:15:04 윤다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