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창업/취업
기사사진
[투잡체험] 스피치 트레이닝(15) 발표자 태도가 중요해

훌륭한 연사가 되려면 태도에 신경써야 한다. 매주 스피치 트레이닝을 취재하면서 스피치 성공은 발표자 태도가 좌우한다는 점을 느꼈다. 신언서판(身言書判)이란 경구처럼 말보다 모습이 먼저 보인다. 인사는 절도 있고 자신있게 해야한다. 속으로는 떨려도 티를 내면 안된다. 씩씩하고 힘 있게 인사하면 청중은 발표자가 대단하고 많이 준비된 사람이라고 받아들인다. 예의를 갖추되 발표 내내 자신있어 보이는 모습을 유지해야 한다. 발표를 시작하면 목소리에 신경써야 한다. 좋은 목소리는 호감을 준다. 복식 발성으로 자신의 성대에 맞는 목소리를 찾는 일이 중요하다. 흔히 남성은 원래 성대보다 낮은 위치에서, 여성은 높은 위치에서 발성하는 경우가 많다. 일시적으로 원하는 소리를 낼 수는 있지만 장시간 이런 상태가 유지되면 성대에 긴장을 주어 목을 상하게 한다. 물론 김제동이나 강호동은 목소리가 안 좋아도 인기 진행자다. 재치있는 말솜씨가 단점을 가린 경우다. 오히려 이들은 예능인이란 직업상 심한 사투리와 쉰 목소리가 개성으로 작용했다. 일반 직장인들이 따라하기엔 어려운 부분이다. 정석대로 가야 한다. 바디 랭귀지는 효과적인 제2의 언어다. 말하는 동안에는 자료만 보지 말고 소통을 위해 청중과 골고루 눈을 맞춰야 한다. 숫자를 표현할 때는 손가락을 사용하면 좋다. '첫번째 사항은~' 이란 내용을 전할 때는 검지 손가락을 펼치는 식이다. 강조하고 싶은 내용이 있면 주먹을 쥐어 표현한다. 발표는 내용과 형식이란 두마리 토끼를 잡아야 하는 고도의 작업이다. 흥미롭고 유익한 발표 내용은 기본이다. 무서운 점은 청중은 발표자를 더 강하게 기억한다는 것이다. 스피치 트레이닝 연재를 하며 많은 문의를 받았다. 그만큼 말하기에 대한 현대인의 관심이 뜨겁다. 스피치 트레이닝 연재가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기원한다. /unique@

2014-03-18 11:44:55 장윤희 기자
서류는 '전공'-면접은 '성실성' 뽐내라···전형별 맞춤전략

올 상반기 공채에 합격하려면 전형별 맞춤전략이 필요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8일 취업포털 사람인이 상반기 신입 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 162개사를 대상으로 '신입 채용 평가 기준'을 살펴본 결과, 첫 단계인 서류전형에서 가장 중요하게 검토하는 항목으로 '전공'(50.6%,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인턴 등 실무경력'(40.7%), '나이'(29.6%), '자격증'(29%), '거주지역'(29%), '학력'(27.8%), '대외활동 경험'(17.3%), '외국어 회화 능력'(16.7%), '학점'(15.4%), 'OA능력'(15.4%) 등이 뒤를 이었다. 자기소개서에서 중요한 것으로는 '지원동기'(34%,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성격 및 장단점'(32.7%), '생활신조, 가치관'(31.5%), '입사 후 포부'(30.9%), '목표 달성(성과) 경험'(27.2%), '실패 및 위기 극복 경험'(20.4%), '성장과정'(19.1%), '팀워크 발휘 경험'(17.9%), '도전 경험'(12.3%) 등의 순이었다. 면접에서 반드시 확인하는 것으로는 '성실성'(42%·복수응답)이 1위에 올랐다. '직무지식, 능력보유'(40.7%), '적극성'(38.3%), '지원 동기'(37.7%), '입사 후 포부, 직무 비전'(34%), '자기소개, PR'(29%), '가치관, 성향'(26.5%), '커뮤니케이션 능력'(21.6%) 등을 본다는 인사담당자도 많았다. 직무역랑과 인성 중 평가 비중이 더 높은 요소로는 51.2%가 '인성'이라고 답해, '직무역량'(13.6%)보다 3배 이상 더 많았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치열한 경쟁을 뚫기 위해서 기업이 중요하게 평가하는 기준에 맞춰 전략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사전에 지원기업의 인재상을 비롯한 주요 평가기준을 확인하고 이에 맞춰 지원서 작성은 물론 면접 대비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2014-03-18 09:06:35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서울교육청, 자유학기 진로탐색 집중학년제 발대식

서울특별시교육청이 17일 서울시 예원학교 강당에서 '자유학기제 연계 중1 진로탐색 집중학년제' 연구학교 발대식을 개최했다. 이는 정부의 교육 분야 핵심 국정과제인 자유학기제와 서울시교육청의 중점과제인 중1 진로탐색 집중학년제를 연계해 전국 최초로 1년 과정으로 운영하는 '자유학기제 및 중1 진로탐색 집중학년제'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시교육청은 2014년 150개교 운영에 대한 효과성 분석을 위한 정책연구를 기초로 2015년 전체 중학교의 70%(268교) 이상, 2016년 전면시행의 단계적 추진을 통해 진로탐색 중심의 중학교 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연구학교에는 1교당 3000만원 정도, 총 45억원을 지원하고, 학교현장을 찾아가는 맞춤식 연수, 커리어코치 등을 지원한다. 이달 말에 '자유학기제 및 중1 진로탐색 집중학년제' 운영학교의 어려움을 해소해 주기 위한 지원센터를 교육연구정보원에 설치해 교육과정·교수학습· 평가·체험학습 등의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7월에는 서울창의인성교육센터도 개설하게 된다. 이날 문용린 교육감을 비롯한 150개교 연구학교 교원·자문협력기관 및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직속기관·지역교육청 담당자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2014-03-17 18:36:15 윤다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