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회, 서강대서 간담회 진행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회(이하 반도체 특위)가 반도체 인력과 관련한 대학의 현안을 파악하고 인력양성 방안 모색을 위해 12일 서강대학교 본관 회의실에서 간담회를 진행했다. 간담회에는 반도체 특위 양향자 위원장을 비롯하여 김영식 의원, 양금희 의원,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 박동건 삼성디스플레이 상임고문(전 대표이사), 황철성 서울대 교수, 김용석 성균관대 교수, 박재근 한양대 교수(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와 서강대 공학부 범진욱, 이승훈, 최정우 교수가 참석했다. 양향자 특임위원장은 "반도체 인력 양성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는 서강대학교에서 회의를 진행하게 된 점 감사드린다"며 "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인재양성과 관련하여 교육계의 실무적인 의견을 청취하고 국가의 그랜드플랜을 만드는 중요한 자리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안기현 전무와 박재근 교수는 반도체 인력 배출에 대한 현 상황과 수급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발제했다. 특히 대기업에 치우친 인력 쏠림 현상으로 반도체 인력 수급 문제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지원을 중점으로 다뤘으며, 반도체 인력 양성에 적극적인 미국, 중국 대만 등의 해외 사례와 비교하며 국내 반도체 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어 참석자들은 기업체 수요 기반에 입각한 반도체 교육을 위해 대학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교원 채용, 커리큘럼 구축과 교육 인프라 구축 등에 관해 논의했다. 대안으로 석·박사급 연구개발 인력 활용, 이공계 기반의 융합 교육, 대학 간 공유교육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시됐으며 이를 바탕으로 반도체산업 청년 인력양성과 산업촉진 전략 등의 정책 확대를 촉구했다. 범진욱 서강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학과장 교수는 "클라우드와 데이터센터, 인공지능, 자동차 관련 반도체의 성장률이 연평균 40%에 달하고 있어 반도체 산업을 견인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앞으로의 반도체 인력에 대한 부족현상은 더욱 심해질 것"이라며 반도체 인력 수요에 따른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구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