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서민금융상품, 올 상반기 저소득·저신용자에 4.6조원 공급
-올해 정책서민금융상품 공급액 9조6000억원으로 대폭 확대 -하반기 안전망대출II, 햇살론15, 햇살론뱅크, 햇살론카드(10월예정) 공급 21년 상반기 정책서민금융상품 공급실적/금융위원회 올해 상반기 정책서민금융상품을 통해 저소득 저신용자 41만명에게 4조6800억원의 자금이 지원됐다. 정부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피해가 지속되고, 법정금리인하로 금융이용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정책서민금융 공급액을 9조6000억원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금융위원회는 4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정책서민금융 공급 실적 및 계획을 발표했다. 정책서민금융상품은 저소득·저신용자의 금융이용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마련된 상품으로, 현재 근로자햇살론, 햇살론17, 미소금융, 햇살론유스, 사업자햇살론, 새희망홀씨등이 운영되고 있다. 금융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정책서민금융상품을 통해 지원된 금액은 총 4조6823억원으로 41만명의 저소득 저신용자가 지원받았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지원인원은 2만2252명이(5.7%)증가하고, 공급액은 4677억원 증가(11%)했다. 특히 정책서민금융상품 중에는 근로자햇살론과 햇살론유스 공급액이 급증했다. 근로자 햇살론은 저신용, 저소득 근로자를 대상으로 정부지원보증부대출을 최대 1500만원까지 지원하는 상품이다. 올 상반기 공급된 규모는 1조9266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4500억원)대비 33% 증가했다. 햇살론유스는 학생·청년을 대상으로 학업 및 취업 준비에 전념할 수 있도록 최대 1200만원을 지원한다. 햇살론 유스의 상반기 공급규모는 5561억원으로 같은 기간 13% 늘었다. . 이에 따라 금융위는 올해 정책서민금융상품 공급액을 9조6000억원으로 대폭 확대한다.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고, 최고금리 인하로 저소득 저신용자의 금융이용이 어려울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근로자햇살론은 금년공급을 2조4000억원에서 3조4000억원으로 1조원 확대한다. 햇살론 유스 공급은 2330억원에서 3330억원으로 1000억원 늘린다. 정책서민금융상품 운영 현황/금융위원회 이 밖에도 금융위는 안전망대출과 햇살론뱅크에 각각 3000억원을 추가 공급한다. 안전망 대출은 지난달 7일 이전에 고금리 대출(20%초과)을 이용중인 저신용 저소득 차주를 대상으로 대환을 지원하는 상품이다. 현재 전국 14개 은행에서 이용할 수 있다. 신청방법은 서민금융진흥원 앱 또는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통해 보증신청후 은행에서 대출받으면 된다. 단, 전북, 광주, 수협, SC제일은행은 사전 보증신청없이 은행에서 원스톱으로 이용 가능하다. 햇살론뱅크는 다른 정책서민금융상품을 1년 이상 이용하고 있거나, 정책서민금융상품을 1년이상 이용 후 정상 완제된 분들 중 1년이 경과하지 않은 자가 대상이다. IBK기업·NH농협·전북·BNK경남은행에서 이용가능하다. 햇살론카드에도 500억원을 추가 공급한다. 햇살론카드는 신용카드발급이 어려운 최저신용자가 금융교육을 이수받고 최소한의 상환능력을 충족하면 보증을 통해 신용카드 발급을 지원하는 상품이다. 햇살론 카드는 오는 10월 중 출시예정으로 보증심사를 통해 최대 200만원 한도내에서 차등해 지원한다. 신청은 국민·롯데·신한·우리·하나·비씨·삼성·현대 등 8개 카드사에서 대면·비대면 채널을 통해 신청할 수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