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경 보험연구원장 "보험산업, 구조개혁 필요"
안철경 보험연구원 원장. /보험연구원 안철경 보험연구원 원장이 21일 비대면 기자간담회를 통해 보험산업의 진로와 도전과제를 제시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신년 보험연구원 운영 방향을 발표했다. 안 원장은 이날 배포한 자료를 통해 "보험산업의 핵심 도전과제는 효과적인 디지털 전환과 생산적인 협력모델 구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의 확산과 재확산 반복으로 비대면 경제활동이 일상화되면서 설계사와 같은 대면채널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보험회사가 소비자 접점을 어떻게 유지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데이터와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경제가 빠르게 전개되는 환경에서 비용절감 위주 디지털화와 대면채널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어 보험산업은 데이터 확보에서부터 경쟁열위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안 원장은 "성장성과 수익성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보험산업이 디지털 비대면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상품, 채널, 자본 등에서 상당 한 구조개혁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안 원장은 2021년 보험연구원의 연구방향으로 '협력적 경쟁(Coopetition)'과 '경영혁신'을 제시했다. 이를 위한 보험연구원의 첫 번째 과제는 보험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경영혁신 촉진'과 '경영투명성 강화'에 주목한 연구 추진이다. 안 원장은 "디지털 보험회사 진입·활성화, 알고리즘 감독 등 디지털 윤리 가이드라인 마련, 온·오프라인 채널 통합, 온라인 보험서비스 등 경쟁촉진, 인공지능(AI)활용 등 판매채널 관점에서 사업모형 혁신 관련 연구를 지속해서 추진할 것"이라며 "런오프(run-off) 도입, 예금보험제도 개선, K-ICS 로드맵 구체화, 기후변화위험관리 등 계약이전인프라 구축, 선제적 위험관리 등 이해관계자 경영 촉진 관점에서 보험경영의 투명성과 건전성 강화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두 번째 과제는 생산적인 보험생태계 조성을 위한 '협력적 경쟁'에 주목한 연구 진행이다. 그는 "자연재해, 팬데믹에 따른 기업휴지, 사이버위협 등 데이터 한계와 동시다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위험의 인수와 그린뉴딜 등에 대한 장기대체투자 등 사회안전망과 실물경제 기여도를 높일 수 있는 민·관 협력모델 연구와 디지털 비대면 환경의 소비자 행태, 손해사정제도 개선 및 분쟁조정 개선 등 소비자 이해와 이에 기초한 소비자 보호 연구를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세 번째로 2021년에도 연구가 '보험현장과 괴리되지 않을 것'임을 강조했다. 안 원장은 "시장 현안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할 목적으로 운영 중인 센터조직에 2021년부터는 'ESG연구센터'와 '모빌리티보험센터'를 추가해 운영하며, 산학연구센터를 통하여 산업 간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현안에 대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그는 "비대면 환경에서 온·오프라인 세미나 병행, 일반인 대상 동영상 콘텐츠 제작, 언론 기고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 성과를 알리고 우리 사회 여러 계층의 피드백을 반영함으로써 현안 분석과 대안 제시에 치우침이 없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백지연기자 wldus0248@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