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기사사진
공모·주식펀드 지고, 사모·대체투자 뜨고…신탁시장은 은행이 주도

국내 자산운용시장이 최근 3년새 사모펀드와 대체투자 중심으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모펀드 규제 완화 등 제도적 변화롸 전통 자산의 수익률 정체와 맞물린 결과다. 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자산운용시장 전체 수탁고는 총 2010조원이다. 펀드 551조원, 일임 586조원, 신탁 873조원으로 지난 2014년 말 대비 각 46.2%, 49.5%, 59.9% 늘었다. 펀드시장은 사모펀드가 성장을 주도했다. 사모펀드 규제는 지난 2015년 10월 완화됐다. 2014년 말 대비 펀드시장 증가규모 174조원 중 92%인 160조원이 사모펀드였다. 공모펀드는 14조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사모펀드와 공모펀드 비중은 2014년 말 4.6대 5.4에서 작년 말 6대 4로 역전됐다. 운용자산별로는 증권형, 머니마켓펀드(MMF) 등 전통적 유형은 감소했다. 부동산, 특별자산 등 대체투자와 혼합자산은 급증했다. 증권형 펀드 수탁고는 241조원으로 2014년 말 대비 20.7% 늘었다. 그러나 전체 펀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2.9%에서 43.8% 낮아졌다. MMF 역시 수탁고는 90조원으로 9.3% 증가했지만 비중은 21.7%에서 16.3%로 하락했다. 부동산 편드의 수탁고 76조원으로 2014년 말 대비 2배가 넘게 늘었고, 비중도 7.9%에서 13.7%로 높아졌다. 특별자산 펀드도 수탁고도 전년 대비 122.2% 늘어난 71조원이며, 비중도 8.5%에서 12.9%로 커졌다. 지난해 말 기준 해외투자 펀드는 149조5000억원으로 2014년 말 대비 138.4% 증가했다. 사모가 74%를 차지했다. 유형별로는 2014년 말은 증권형이 60%로 비중이 가장 컸지만 2018년 말 증권형은 38%로 줄었다. 대신 대체투자 비중이 25%에서 45%로 높아졌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신탁 수탁고는 873조원으로 2014년 말 대비 59.9% 늘었다. 금융회사별 수탁금액은 은행이 435조원으로 전체를 50%를 차지했고 ▲증권사 209조원 ▲부동산신탁회사 207조원 ▲보험사 23조원 등의 순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사모펀드, 부동산 등 고위험자산 비중이 높아졌고 개인투자자도 투자규모는 정체된 가운데 고위험자산 투자 비중을 높이는 등 자산운용시장 리스크가 높아진 상태"라며 "부동산펀드를 포함해 펀드 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리스크 요인을 점검하는 등 자산운용사 및 펀드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05-01 14:21:37 안상미 기자
기사사진
신한은행, '신한 키자니아 드림 적금' 출시

-키자니아 2인가족 35% 할인권+10키조(키자니아 전용 화폐) 쿠폰 증정 신한은행은 5월 가정의 달을 맞이해 어린이들을 위한 직업체험 테마파크 키자니아와 함께 '신한 키자니아 드림(DREAM) 적금'을 출시한다고 1일 밝혔다. 이 상품은 최고 이자율 연 2.75%로 최근 3개월 적금 최초 가입 고객 연 1.0%포인트, 키자니아 고객 모두에게 연 0.5%포인트 특별우대 금리를 제공하는 1년제 자유적립식이다. 신한은행은 '신한 키자니아 드림 적금' 가입자에게 키자니아 2인가족 입장권 35% 할인 쿠폰과 키자니아 전용 화폐인 '키조' 쿠폰을 적금 가입 즉시 신한은행에 등록된 핸드폰 번호를 통해 제공한다. 신한 키자니아 드림 적금의 상품 출시를 기념해 신한은행은 오는 7월 말일까지 이벤트를 진행한다. 선착순 신규 고객 1000명에게 스타벅스 모바일 커피 쿠폰을 제공하고, 신한 플러스를 통한 상품 신규 시(잔액 5만원 이상 계좌 대상) 매월 추첨을 통해 30명에게 키자니아 2인가족 무료이용권과 100명의 고객에게 마이신한포인트 1만점을 적립해준다. 또 키자니아파크 현장 가입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들에게 캐릭터 인형, 쿠션, 열쇠고리, 커피 쿠폰 등을 제공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신한은행은 가정의 달을 맞이해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은 키자니아와 함께 자녀와 부모 모두가 만족할 만한 상품과 이벤트를 준비했다"며 "신한은행은 앞으로도 가족 모두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상품과 이벤트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19-05-01 10:22:43 안상미 기자
기사사진
JB금융, 올해 1분기 순이익 975억원…전년 대비 10.6%↑

JB금융그룹이 올해 1분기 97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6% 증가한 수준이다. JB금융그룹은 30일 1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자회사인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3%, 0.4% 증가한 260억원 및 453억원의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JB금융 관계자는 "수익성·건전성 중심의 내실성장 정책을 바탕으로 핵심이익을 강화하고 그룹 리스크를 관리해 대손비용이 안정화됐다"며 "주식교환에 따른 광주은행 100% 자회사 편입 효과로 비지배주주 순익이 감소한 부분도 이익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주요 경영지표 부문에서는 지배지분 자기자본이익률(ROE) 11.9% 및 그룹 연결 총자산순이익률(ROA) 0.85%의 양호한 수익성 지표를 달성했다. 또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전년 동기 대비 0.09%p 개선된 0.88%, 연체율은 전년 동기 대비 0.04% 포인트 개선된 0.86%을 달성해 안정추세를 유지했다. 올해 1분기 JB금융은 보통주자본비율은 9.30%, BIS비율은 12.87%를 달성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75%포인트, 0.76%포인트 상승했다. JB금융 관계자는 "안정적인 영업기반의 확충 속에서도 리스크를 고려한 위험가중자산(RWA) 관리 중심의 자본비율 개선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적정 성장의 기조 아래 그룹의 건실한 자본기반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19-04-30 17:47:47 나유리 기자
기사사진
신협 아너스클럽, 전국 114개 신협 가입

신협사회공헌재단은 30일 대전 신협중앙회관에서 신협 아너스클럽 명명 및 인증패 수여식을 개최했다. 신협사회공헌재단은 이날 2015년을 기준으로 누적 1000만 원 이상 기부한 114개 신협 및 9명의 임직원을 아너스클럽 회원으로 선정하고 인증패를 수여했다. 선정된 회원이 기부한 금액은 총 12억2500만 원으로, 이 중 1억 원 이상 기부한 신협은 총 7개(광주문화신협·광안신협·구즉신협·대구대서신협·부산시중앙신협·장안신협·청운신협)이다. 신협 아너스클럽은 나눔문화를 조성하고 지속적인 기부에 대한 감사를 전하기 위해 지난 2016년 개설됐다. 올해 재단은 기부금액에 따라 회원 등급을 선정하고, 아너스클럽 가입 대상을 확대해 기부 문화를 확산해 나갈 예정이다. 신협사회공헌재단은 우리나라 최초 사회공헌 전문 기부협동조합으로 신협 및 임직원의 자발적인 기부금을 재원으로 운영된다. 전체 신협 임직원 1만1000여 명 중 약 88%가 재단의 정기기부자로 참여하고 있으며, 지난해 말 누적 기부금 125억원을 조성했다. 특히 최근 발생한 강원도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서는 재단이 출연한 성금 5000만 원에 더해 전국 조합 및 임직원이 동참해 3일 만에 11억 원을 모아 전달했다. 김윤식 재단 이사장은 "신협 아너스클럽은 고액기부자에 감사를 전하고 기부 성과를 나타내는 의미도 있지만 신협사회공헌재단이 전국 신협 및 임직원의 참여로 운영된다는 협동의 상징이기도 하다"며, "신협은 앞으로도 나눔을 통해 더불어 사는 신협 정신을 지역사회에 전파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2019-04-30 17:13:49 홍민영 기자
기사사진
금융위, 마이데이터 정착위해 실무협의단 구성

정부가 개인 신용정보를 한곳에 모아볼 수 있게 하는 마이데이터(MyData) 산업의 정착을 위해 실무협의단을 구성한다. 금융위원회 금융혁신기획단은 30일 마이데이터 도입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금융혁신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해 정부, 유관기관, 금융회사, 핀테크(금융기술) 기업 등의 실무자가 함께하는 '데이터 표준 API' 실무협의단을 구성한다고 밝혔다. 데이터 표준 API는 은행·보험·카드·금융투자 등 전 금융권과 정부·공공기관, 이동통신사 등을 아우르는 '오픈 API'(특정 데이터를 누구든 가져다 프로그램 개발에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한 인터페이스)다 실무협의단은 데이터 제공 범위·비용 등을 논의하는 서비스 분과와 API 규격, 보안 대책 등을 마련하는 기술 분과로 나뉘며, 간사 기관인 금융보안원을 통해 분과별 회의 내용과 그 결과 등을 취합한다. 유럽연합(EU)이나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핀란드 등 해외 주요 국가의 마이데이터, 오픈 API 사례를 참고해 논의할 계획이다. 실무협의단은 표준 API 최종안을 마련할 오는 8월까지 약 4개월간 운영된다. 개정 신용정보법이 시행된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API를 운영하기 위해 참여기관과 함께 오는 2022년까지 모니터링단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 금융보안원은 일정 관리, 질의응답 등을 위한 워킹그룹 홈페이지를 별도로 운영하며, 향후 일반인에게도 개방해 마이데이터 관련 소통 창구로 활용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논의된 내용 중 법제도·정책적 고려가 필요한 사항은 법 개정 이후 하위규정을 마련하고, 세부 기술적 내용은 가이드라인 제정 등으로 구체화하겠다"고 말했다.

2019-04-30 15:49:01 나유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