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기사사진
은행점포 1년새 270개 증발…외환위기후 '최대'

지난 1년새 국내 은행 점포 20곳 가운데 한 곳에 해당하는 270곳이 문을 닫았다. 과거 외환위기 직후 5개 은행이 구조조정으로 사라진 이래 가장 큰 규모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우리·신한·하나·농협·기업·외환·한국SC·한국씨티 등 9개 시중은행의 국내 점포는 지난 7월말 기준으로 5101개다. 지난해 6월말 이들 은행의 점포는 5370개였다. 1년 만에 269개(5.0%) 점포가 사라졌다. 씨티은행은 203개에서 134개로 69개를 줄였고, 같은 외국계 은행인 SC은행도 361개에서 311개로 50개 감축했다. 국내 시중은행들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하나은행은 650개를 607개로 43개 줄였고, 국민은행과 신한은행도 41개씩 줄였다. 은행들은 점포 축소보다 규모는 상대적으로 덜 하지만, 인력도 조금씩 줄이고 있다. 씨티은행은 이 기간 4229명에서 3587명으로 642명(15.2%), SC은행은 5605명에서 5146명으로 459명(8.2%)의 직원이 감소했다. 8036명에서 7829명으로 207명 줄어든 외환은행은 전날 외환카드 분사로 587명(7.3%)이 줄게 됐다. 이외에도 국민은행은 종전 2만1572명에서 2만1396명으로, 하나은행은 9400명에서 9280명으로 직원이 줄었다. 최근 1년간 이뤄진 점포·인력 구조조정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은행권에 불어닥친 구조조정 이후 가장 규모가 크다. 대동·동화·동남·경기·충청 등 5개 군소 은행이 한꺼번에 퇴출당하면서 1997년 말 7643개인 은행 점포는 1998년말 6662개로 981개(12.8%) 감소했다. 당시 은행원도 11만4619명에서 7만5604명으로 3만9015명(33.7%)이 줄어든 바 있다. ◇ 은행측 '비용 절감+ 금융환경 변화' 은행권의 점포·인력 축소는 비용 절감과 금융 환경의 변화 등 두 가지 측면에서 배경을 찾을 수 있다. 특히 오프라인 영업이 온라인 영업으로, 최근에는 스마트폰 활용으로 바뀌면서 많은 인력을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입출금·이체는 인터넷뱅킹과 CD·ATM에서 75.5%가 이뤄졌다. 창구 거래는 11.2%로, 텔레뱅킹(13.3%)에도 못 미쳤다. 은행 노조들은 사측이 점포와 인력을 계속 줄이는 데 불안을 느끼고 있다. 당장 3일 예고된 금융노조 총파업의 이슈기도 하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정부의 반 노동 정책으로 근로조건과 고용안정이 위협받는 상황을 좌시할 수 없다"며 "고용안정도 파업의 주된 의제"라고 전했다. 한편 금융산업노동조합이 3일 총파업에 돌입해도 일선 은행 영업점은 대부분 정상 운영된다. 은행들은 이날 총파업 참가 지침을 정해 내부 공고하거나 조합원들에 전달했다. 우리은행의 경우 영업점은 분회장을 비롯한 1~2명, 본점 부서는 조합원의 최대 절반 가량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상대적으로 파업 관련 동력이 작은 신한은행과 하나은행도 파업 참여 인원이 매우 적을 것으로 전해졌다. 유주선 신한은행 노조위원장은 "노조 입장에선 파업 참여를 독려했지만, 거의 현안이 없어 다른 은행보다 인원 동원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국민은행 노조 역시 실제 파업 참여 규모는 제한적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점포 운영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며 "고객 불편이 없도록 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2014-09-02 11:47:53 김민지 기자
기사사진
IBK경제硏, 7월 생산지수 전년比 5.3%↓…"중소제조업 생산 넉 달째 감소"

국내 중소제조업 생산이 넉 달째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IBK기업은행 산하 IBK경제연구소는 국내 중소기업 3169곳을 조사한 결과 7월 중소제조업 생산지수가 115.7로 전달의 116.6 보다 0.7% 떨어졌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 보다 5.3% 줄어든 수치로 지난 3월 이후 4개월 연속 하락세다. 연구소는 중소제조업 생산이 부진한 이유로 내수불황이 장기간 지속되는 가운데 계절적인 여름 비수기까지 겹쳤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업종별로는 전기장비와 화학제품, 기타운송장비 등의 생산이 지난 6월에 비해 각각 10.1%, 8.5%, 6.7% 감소했다. 가동률과 설비투자도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중소제조업 가동률은 72.8%로 전달보다 0.2%포인트, 설비투자 기업 비율은 14.8%로 2.5%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3월 이후 지속 악화된 수주와 수익성, 재고는 소폭 개선됐다. 7월 수주는 전달보다 2.5%포인트, 수익성은 2.1%포인트 늘었고 재고는 0.3%포인트 감소했다. 한편 자금사정이 어렵다고 응답한 기업은 지난 6월보다 2.3%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IBK경제연구소 관계자는 "늘어난 수주를 재고로 대체함에 따라 재고량은 감소했으나, 수주 증가폭이 크지 않아 생산과 가동률 증가로는 이어지지 못했다"며 "최근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이 중소기업의 경기회복으로 이어질지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4-09-02 11:06:54 백아란 기자
금감원, 시중은행 자금세탁방지 시스템 점검 강화

금융감독원이 시중은행의 자금세탁방지(AML) 시스템 구축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다. 미국 정부가 AML 관련 제재수위를 한 단계 높인 데 따른 후속 조치다. 금감원은 2일 "미 정부를 중심으로 자금세탁방지 검사 및 제재 추이가 거래제한 국가와의 거래체결 여부를 점검하는 수준을 넘어 시스템 전반에 대한 점검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미 뉴욕주 금융감독청(DFS)은 영국과 홍콩, 일본 지점에 대해 AML 위반 혐의로 잇달아 벌금을 물렸다. 지난달 영국의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 뉴욕지점에는 거래의심계좌(STR) 점검 강화 등 당초 합의한 개선명령을 따르지 않은 것에 대해 3억달러(한화 약 3000억원)의 벌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SC은행은 2012년 8월 미국의 제재 대상국인 이란과 불법거래를 해온 혐의로 벌금 3억4000만달러를 부과받은 뒤 시스템 등을 개선하기로 DFS에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DFS가 지난해 이후 전산시스템상 STR 점검대상 추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프로그램 오류가 발생하면서 SC 홍콩, 아랍에미리트(UAE) 등 고위험고객과의 달러결제가 적정성에 대한 점검 없이 실행된 것으로 확인됐다. DFS는 SC은행 홍콩지점에 대해서도 고위험고객의 뉴욕을 통한 달러결제를 중지하고 UAE 내 전지점도 고위험 중소기업과의 거래를 중지하라고 명령했다. DFS는 또 일본 도쿄-미츠비시 UFJ(BTMU) 뉴욕지점의 컨설팅업체인 글로벌 회계법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에는 2500만달러의 벌금과 2년간 부분영업정지라는 중징계를 내렸다. BTMU 뉴욕지점은 2007년부터 2년간 거래제한 국가인 이란과 수단의 고객에게 달러결제를 한 혐의로 지난해 5월 2억5000만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DFS의 추가조사 과정에서 PwC는 BTMU 지점의 부당거래 사실을 알고도 은행 경영진의 요구에 따라 감독당국에 제출하는 보고서에 이를 포함하지 않은 혐의가 드러났다. 금감원은 "DFS의 제재조치와 관련해 국내 BTMU 서울지점과 한국SC은행의 자금세탁방지 업무를 긴급 점검한 결과, 일단 무관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두 은행 모두 자금세탁방지 업무를 외부에 위탁하지 않고 자체 개발한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는 게 금감원 측 설명이다. 그러나 금감원은 가능성이 작지만 국내 은행 해외지점도 자금세탁방지 관련 사건에 연루될 수 있다고 보고 이번 미국의 제재 사례를 준법감시인 교육 등을 통해 전파하고 전 시중은행을 대상으로 시스템 구축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다.

2014-09-02 10:21:50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