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내년 자차보험료 외제차 11.3%↑, 국산차 2.9%↓

차량모델등급제도 변경에 따라 내년 1월부터 총 66개 모델의 국산 및 외제 차량 자차보험료가 오른다. 반면, 국산차 60개 모델은 자차보험료가 떨어진다. 27일 보험개발원은 보험료의 공평한 부담을 위해 자기차량 손해담보에 차량모델별 보험료를 차등 적용하는 차량모델등급제도를 개선, 최근 금융감독원에 신고·수리됐다고 밝혔다. 개선안에 따르면, 현행 21개 등급 체계인 차량모델등급제도의 상한 구간에 5개 등급이 추가돼 26개로 조정된다. 또 참조순보험요율 기준 현행 150%인 할증 최고 적용률은 200%까지 확대된다. 이에 따라 국산·외제차 206개 모델 중 126개 보험료가 변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내년 1월부터 국산차 172개 중 34개, 외제차 34개 중 32개의 보험료가 인상된다. 국산차 중에서는 현대자동차의 싼타페(DM), 한국GM 올란도의 등급이 각각 8등급, 7등급 오르면서 자차보험료가 인상된다. 이에 반해 SM7, 카렌스, 뉴프라이드등은 3등급이 내려가면서 자차보험료가 내려갈 전망이다. 수입차는 크라이슬러, 포드, 인피니티, 푸조, 폭스바겐, 볼보 등이 기존 6등급에서 1등급으로 상향 조정되면서 자차보험료가 큰 폭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보험개발원은 손해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외제차의 자차보험료는 평균 11.3% 오르고, 국산차는 평균 2.9%가량 내릴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2013-11-27 15:48:43 박선옥 기자
KB국민은행 'KB골든라이프 연금저축펀드계좌' 판매

KB국민은행이 개인 노후자금 마련과 세테크를 위한 필수 상품인 'KB 골든라이프 연금저축펀드계좌'를 27일부터 판매한다. KB 골든라이프 연금저축펀드계좌는 올해 새롭게 시행된 연금저축계좌제도에 따라 소비자의 선택폭을 확대한 노후대비 필수상품이다. 연금저축펀드계좌란 하나의 계좌에 하나의 펀드만 가입이 가능했던 기존 연금저축펀드와 달리 하나의 연금저축펀드계좌 내에서 다양한 펀드(총 5개)에 분산 투자하고, 이를 통합해 관리할 수 있는 종합계좌 형태의 상품이다. 과거에는 A 자산운용사 펀드에서 B 자산운용사 펀드로 바꾸려면 계좌를 해지하는 절차를 거쳐야 했으나, 연금저축펀드계좌에 가입할 경우 연금저축 전용펀드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연금저축펀드는 최대 연 400만원까지 소득공제가 가능한 세테크 필수상품이지만, 기존 연금저축펀드는 분기당 납입한도 제한으로 인해 10월 이후에 가입할 경우 소득공제 한도를 다 채울 수 없었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연간 납입한도를 적용 받아 연말에 가입할 경우에도 소득공제 혜택을 최대한도까지 받을 수 있으며, 연간 납입한도도 1200만원에서 1800만원으로 늘어났다. 소득공제를 받지 않은 금액에 대해서는 과세 없이 수시 중도인출이 가능하다. 'KB 골든라이프 연금저축펀드계좌'는 'KB 밸류포커스 30 증권전환형 자투자신탁(채권혼합)'을 비롯해 국내투자펀드 16종과 해외투자펀드 6종 등 총 22종의 다양한 연금저축 전용펀드 가운데 선택해 투자가 가능하다. 장기투자가 필요한 상품이라는 점을 고려해 국내주식형 펀드 외에도 채권(혼합)형 펀드, 인컴펀드 및 해외채권펀드 등 고객의 위험성향에 따라 다양한 포트폴리오 투자가 가능하도록 상품 라인업을 구성했다. 상품 출시와 더불어 다음달 31일까지 고객 이벤트를 실시한다. 이벤트 기간 중 일정금액 이상 가입한 고객 전원을 대상으로 문화상품권을 증정하고, 별도로 추첨을 통해 다양한 경품을 지급한다.

2013-11-27 10:19:01 김민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