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해외주식Click] 테슬라·엔비디아 흔들려도…서학개미, 저가 매수 행렬 지속

서학개미들이 테슬라의 글로벌 판매량 둔화, 엔비디아의 주가 변동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AI) 및 전기차 시장의 장기 성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테슬라와 엔비디아를 공격적으로 매수하고 있다. 1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서학개미들은 지난주(2월 4~10일) 테슬라를 1억3659만달러어치 순매수했다. 테슬라 주가의 하루 변동 폭을 2배로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2배 ETF(TSLL)도 8504만달러어치 사들였다. 같은 기간 엔비디아 역시 1억1188만달러어치 순매수했으며, 엔비디아 주가의 2배 수익률을 추종하는 그래닛셰어즈 2배 롱 엔비디아 데일리 ETF(NVDL)도 2694만달러어치 매입했다. 서학개미들이 이들 종목을 집중적으로 사들인 것은 최근 주가 하락폭이 컸던 만큼 단기 반등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테슬라는 관세 전쟁 우려로 인해 지난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5.17% 급락했다. 이후에도 전기차 시장 둔화가 이어지면서 테슬라 주가는 350달러선까지 밀려났다. 엔비디아 역시 지난 3일 '딥시크 쇼크'로 116.66달러까지 하락하며 전 저점이 깨지기도 했다. 하지만 국내 투자자들이 공격적으로 매수에 나서면서 약간 반등하고 있다. 다만 테슬라와 엔비디아에 대한 시장의 평가는 엇갈린다. 테슬라는 여전히 관세 리스크와 전기차 수요 둔화 등으로 불확실성이 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1월 테슬라의 판매량은 부진했다. 독일에서 전년 동월 대비 59.5%, 프랑스에서 63% 넘게 감소했으며, 중국에서도 11.5% 줄었다. 특히 주력 차종인 모델3와 모델Y의 판매량이 33% 급감했다. 이에 따라 글로벌 투자은행(IB) 스티펠은 테슬라 주가가 단기적으로 높은 변동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며 목표가를 기존 492달러에서 474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스티펠 애널리스트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이 테슬라 주가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각국에서 판매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향후 실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엔비디아는 실적 기대감 속에 긍정적인 전망이 우세하다. 아르거스의 선임 애널리스트 제임스 켈러허는 "AI 분야의 경쟁이 심화하고 있지만, 엔비디아는 데이터 센터를 넘어 게임과 자동차 산업에서도 강력한 성장 기회를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서영재 대신증권 연구원도 "엔비디아 주가는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지만, 2025년 실적 모멘텀이 유효한 만큼 기술적 반등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2025-02-11 16:24:18
'딥시크 쇼크' 무색…서학개미, 미 증시 조정에도 반등 기대하며 집중 매수

중국의 AI(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으로 오픈AI의 챗GPT에 맞먹는 모델을 선보이면서 관련주들이 조정을 받고 있지만, 서학개미들은 관련 주식과 상장지수펀드(ETF)를 여전히 매수하고 있다. 주가 하락이 단기간에 그칠 것이라는 기대감에 반등을 노리고 저가 매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4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서학개미들은 지난주(1월 28일~2월 3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3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배 ETF(SOXL)를 4억4299만 달러어치 순매수, 가장 많이 담았다. 이어 엔비디아 주식을 4억1244만 달러어치 사들였으며, 엔비디아의 하루 주가 변동을 2배로 추종하는 그래닛셰어즈 2배 롱 엔비디아 데일리 ETF(NVDL)도 3억5557만 달러어치 순매수했다. 이밖에도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해 엔비디아와 미국 국채 등에 투자하는 일드맥스 엔비디아 옵션 인컴 스트래티지 ETF도 2964만 달러 어치를 매수했다. 서학개미들이 SOXL과 엔비디아를 집중적으로 매수한 것은 낙폭이 과도했던 만큼 단기 반등을 기대한 결과로 분석된다. 엔비디아 주가는 딥시크의 AI 모델 발표 직후인 지난 1월 27일 하루 만에 17% 급락했으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9% 넘게 하락했다. 국내 투자자들의 매수세에도 관련 관련 주식과 ETF는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엔비디아 주가는 좀처럼 하락분을 회복하지 못한 채 120달러 아래로 내려갔다. 딥시크발 충격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데다,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전쟁 우려가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엔비디아의 전체 매출에서 중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한 만큼, 향후 관세 이슈가 지속되면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증권가에서는 딥시크의 등장이 엔비디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면서도, AI 시장의 본질적인 성장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영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딥시크 발표 이후 AI 모델 훈련에 대한 투자 수요가 줄어들 것이란 우려가 반영되면서 엔비디아 주가 변동성이 커졌다"면서도 "그러나 더 나은 모델을 개발하려면 여전히 막대한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다는 점은 변함이 없다.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지만, 2025년 실적 전망을 고려하면 기술적 반등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5-02-04 15:46:00 원관희 기자
서학개미, MS 한마디에 '양자컴'에 다시 우르르...테슬라·반도체까지 '줍줍'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부정적 발언으로 폭락했던 양자컴퓨터 관련주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양자 컴퓨팅 시대' 입장 발표에 급등하면서 서학개미(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의 투자가 몰리고 있다. 지난해부터 이어졌던 테슬라, 반도체 등에 대한 투심도 유지된 채 투자 규모가 확대되는 모습이다. 2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1월 14일~20일) 서학개미들은 아이온큐랑 리게티컴퓨팅을 각각 4억969만달러(5895억원), 3억7277만달러(5363억원)씩 순매수했다. 지난 15일(현지시간) 미트라 아지지라드 마이크로소프트(MS) 전략 및 기술 부문 대표가 양자컴퓨터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관련 종목에 투심이 몰린 것으로 보여진다. 그는 블로그를 통해 "우리는 신뢰할 수 있는 양자 컴퓨팅 시대의 문턱에 와 있다"며 "우리는 양자컴퓨터가 의미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MS는 '양자 준비 프로그램(Quantum Ready Program)'을 발표했다. 최근 양자컴퓨터 관련주는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앞서 7일(현지시간)에는 젠슨 황 CEO가 "양자컴퓨터 기업과 협업하고 있지만 유용한 수준까지는 30년이 걸릴 것이고, 15년 뒤에야 초기 단계 제품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부정적인 발언을 하면서 '주가 쇼크'를 보였다. 당시 아이온큐는 8일에만 주가가 39% 폭락했으며, 이어 15일에는 다시 33.48% 급등했다. 리게티 컴퓨팅 역시 8일에 45.41% 급락한 뒤 14일부터 15일까지 2거래일 만에 80.82% 올랐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인한 수혜주 선호도 올라가고 있다. 서학개미들은 지난주에만 테슬라를 5억3521만달러(7701억원) 사들였으며, 테슬라의 하루 수익률을 2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2배 불 셰어즈' ETF도 3억3512만달러(4822억원) 담았다. 테슬라는 17일 기준 서학개미들의 해외 주식 보관금액 1위 종목으로 약 253억9644만달러(36조5429억원)를 보유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122억1945만달러(17조5825억원) 수준인 엔비디아가 2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지만 테슬라와의 금액 규모 차이는 거의 2배에 달한다. 엔비디아 역시 서학개미들이 다시 주목하고 있는 종목 중 하나이다. 서학개미들은 지난해부터 꾸준히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를 3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반도체 불 3X ETF' 등 반도체 종목에 대한 선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주에도 해당 ETF를 3억7857만달러(5446억원), 엔비디아를 3억1298만달러(4502억원)씩 순매수했다.

2025-01-21 15:18:10 신하은 기자
아이온큐 '폭락'에, 테슬라는 '변동성' 위험...서학개미 '무덤 주의보'

새해 들어 서학개미(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은 테슬라와 양자컴퓨터 관련 종목에 집중적으로 투자했지만 주가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개미 무덤'이 우려되고 있다. 테슬라는 실적 부진 여파로 주가 등락을 반복했으며, 아이온큐·리게티컴퓨팅 등은 양자컴퓨터와 관련된 부정적 전망이 제시되면서 주가가 약 40%대 급락했다. 14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1월 7일~13일)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테슬라로 7억685만달러(1조342억원)를 사들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이 다가오면서 '트럼프 수혜주'로 분류되는 테슬라를 집중 매수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테슬라는 지난해 미국 대통령 선거가 이뤄졌던 11월 5일(현지시간) 이후 이달 13일까지 주가가 66.08% 폭등했다. 이외에도 서학개미들은 테슬라와 더불어 테슬라의 하루 수익률을 2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2배 불 셰어즈' ETF도 5억1682만달러(7562억원) 담았다. 다만, 지난 2일(현지시간)에는 시장예상치를 밑도는 실적을 발표하면서 당일에만 6.08% 급락했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테슬라의 전기차 판매량은 178만9000대로 2023년 180만9000대 대비 1% 감소하며 10년만에 역성장을 기록했다.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기대하는 것처럼 2025년에 20~30%의 판매 대수 증가세를 기록할지, 더불어 가능하게 하는 저가 모델의 출시가 언제일지 등이 판매 증가율 및 주가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며 "1월 29일로 예정된 4분기 실적발표 기업설명회(IR)에서 4분기 수익성과 함께 2025년 판매 목표에 대한 업데이트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덧붙여 송 연구원은 "테슬라 주가에 더 큰 영향을 주는 내용은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한 부가 서비스의 확산 속도"라며 "2025년 캘리포니아·텍사스에서 비감독형 완전자율주행(FSD) 서비스를 시작하고, 2026년 로보택시인 사이버캡을 생산하는 일정이 예정대로 진행되는지도 중요하게 체크해야 한다"고 짚었다. 서학개미들의 최애 종목인 테슬라의 주가 변동성이 주의되는 가운데, 또다른 선호 종목인 양자컴퓨터 관련주는 '주가 쇼크'를 보였다. 서학개미들은 최근 들어 지난 7일까지 양자컴퓨터 관련 종목인 리게티컴퓨팅과 아이온큐를 집중 매수했다. 7일 기준 서학개미들의 아이온큐 주식 보관금액은 30억9015만달러(4조5208억원)로 상위 종목 5위를 차지했고, 리게티컴퓨팅도 7억5079만달러(1조984억원)를 보유했었다. 하지만 지난 7일(현지시간)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양자컴퓨터에 대해 "양자컴퓨터 기업과 협업하고 있지만 유용한 수준까지는 30년이 걸릴 것이고, 15년 뒤에야 초기 단계 제품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발언하면서 관련 종목들의 주가가 폭락했다. 이로 인해 지난 8일 리게티컴퓨팅은 45.41% 떨어졌으며, 8일부터 13일까지는 68.99% 급락했다. 아이온큐 역시 8일에만 39% 추락했으며, 다음날 6.88% 반등하기는 했지만 8일부터 현재까지 43.81% 내려앉았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5-01-14 14:56:39 신하은 기자
[해외주식Click]고위험 베팅에 빠진 서학개미…레버리지 ETF 줍줍

서학개미(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이 미 증시의 높은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고위험 레버리지 ETF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이들은 주로 반도체, 미국 국채, 테슬라 관련 레버리지 ETF 등을 중심으로 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10월 22일~28일)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디렉시온 데일리 반도체 불3X ETF(SOXL)'로, 이 종목에 약 1억3069만 달러어치가 유입됐다. 이 상품은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3배 수익률을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로 반도체 지수가 상승할 때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최근 반도체 지수가 주춤하고 있음에도 서학개미들은 저가 매수 기회로 판단해 해당 상품을 매수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같은 기간 서학개미들은 2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만기 20년 이상 미국 국채 불 3배 ETF(TMF)'를 2212만 달러어치 순매수했다. 최근 미국의 장기 국채 수익률이 상승하면서 TMF 가격은 약세를 지속하고 있다. 테슬라 관련 레버리지 ETF에도 자금이 몰렸다. 테슬라 2배 레버리지 ETF(TSLT)에 2011만 달러가 유입됐다. 테슬라 주가는 최근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약 23% 상승했음에도 서학개미들은 여전히 추가 매수를 이어가고 있다. 다음 달 미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테슬라가 '트럼프 수혜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반영됐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와 테슬라의 전망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고 있다. 반도체 업종은 AI 투자 확대가 지속되고 있어 과거와 같은 급격한 경기 둔화 가능성이 낮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테슬라는 실적 성장이 예상돼 주가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박연주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테슬라 주가는 내년에 갈수록 기업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주가 하단 역시 과거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레버리지 ETF 투자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손실 폭도 커질 수 있어 투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투자자들이 상승 기대감으로 매수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나, 레버리지는 변동성이 큰 상품이므로 손실 확대 가능성을 명확히 인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10-29 16:11:12 원관희 기자
서학개미 "쌀 때 사자"...급락한 종목 집중 매수

증시 불확실성으로 미국 배당주를 매수했던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들이 최근 급락 종목을 중심으로 매수세를 확대하고 있다. 이들 종목이 조만간 반등할 것으로 보고 저가 매수 관점에서 사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10월 14~21일) 서학개미가 가장 많이 사들인 미국 주식은 테슬라로 2억4365만달러 어치가 유입됐다. 같은 기간 테슬라의 하루 주가 수익률을 2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2배 ETF(TSLL) 에 대한 순매수 금액은 1억6697만달러로 2위에 이름을 올렸다. 마찬가지로 테슬라 2배 레버리지 상품인 티렉스 2배 롱 테슬라 데일리 타겟 ETF(TSLT)에도 3015만달러어치가 몰렸다. 테슬라 주가가 이달 11일 자율주행 로보(무인)택시 공개 후 급락하자 서학개미들이 저가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가 미국에서 로보택시를 공개한 11일 주가는 8.8% 급락한 이후 반등세를 보이다가 다시 3거래일 연속 하락하는 등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밖에도 서학개미는 네덜란드의 반도체 장비업체인 ASML이 실적 부진 전망으로 주가가 크게 떨어지자 6389만달러어치 순매수했다. ASML은 지난 15일 16.3%, 지난 16일 6.4% 각각 하락했다.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은 오는 23일(한국시간 24일)에 있을 테슬라의 3분기 실적 발표에 쏠려 있다. 실적에 따라 주가가 크게 요동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에선 전기차 수요 둔화에 따른 수익성 우려로 테슬라의 실적 전망을 어둡게 보고 있다.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이미 3분기 판매대수는 전년 대비 회복한 모습을 보여준 가운데 올해 3분기 자동차 매출총이익률이 19% 이상 상승 등 수익성도 동반 회복됐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증권가에서는 테슬라 주가 조정 시마다 매수하는 전략을 추천했다. 고민성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로보택시 행사 이후 테슬라 주가는 단기 하락이 예상되지만, 이러한 주가 조정을 매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며 "출시 시기 측면에서 다소 아쉬운 점은 존재하지만, 이번 행사를 통해 자율주행시스템(Unsupervised FSD)이나 사이버캡의 경쟁력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율주행 산업이 지닌 잠재적 부가가치와 테슬라가 지닌 기술적 경쟁력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기에 중장기 투자 방향성은 유효하다"고 말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10-22 16:08:57 원관희 기자
[해외주식Click] 서학개미, 증시 불확실성에 금리 인하 수혜주로 대응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엔비디아, 기술주 상승에 베팅하는 상장지수펀드(ETF) 등에서 차익을 실현하는 한편 장기채, 배당 관련 ETF 등은 사들이고 있다. 미국 대선, 경기 불확실성 등으로 향후 시장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 데 따른 것으로 이러한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5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10월 8~14일) 서학개미는 엔비디아를 4억884만달러어치 순매도했다. 또 엔비디아의 하루 주가 수익률을 2배 따르는 그래닛셰어즈 2배 롱 엔비디아 데일리 ETF(NVDL)도 1억5563만달러 어치를 팔아치웠다. 차세대 반도체 아키텍처인 블랙웰 GPU에 대한 수요가 엄청나다는 소식에 엔비디아는 10월 들어서만 거의 14% 급등하는 등 상승 랠리를 보이자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선 것이다. 이외에도 서학개미는 ICE 반도체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3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배 ETF(SOXL)도 1억4161만달러어치 매도했다. 이 기간 반도체주가 상승하면서 SOXL은 12.19% 올랐다. 이처럼 기술주에서 이익을 실현한 서학개미는 금리인하 수혜주와 안정적인 배당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서학개미는 이 기간 동안 디렉시온 데일리 만기 20년 이상 미 국채 3배 ETF(TMF)'를 5188만달러어치 순매수했다. TMF는 만기가 20년 이상 남은 미 국채 30년물에 투자하는 것으로, 채권 가격이 상승(금리하락)하면 차익의 3배를 추종한다. 배당 ETF인 ' 슈와브 US 디비던드 에쿼티(SCHD)에도 2515만 달러가 몰렸다. 슈드는 미국 대표 고배당주 100개 종목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미 증시 불확실성이 커져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승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 9월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중국 실물지표 등 경제지표와 ECB 통화정책회의, 3분기 주요기업 실적발표 예정돼 있어 증시 변동성 높아질 것"이라며 "시장의 시선이 물가에서 실물지표로 이동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소매판매와 산업생산이 예상과 다른 방향을 보일 경우 침체 내러티브 재차 확대될 가능성 배제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매파 성향인 윌러 연준 이사 포함 주요 연준 인사들의 발언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10-15 16:12:41 원관희 기자
[IPO 간담회] 코스닥 '3수생' 유라클, 문턱 넘을까..."글로벌 SW 기업으로 도약"

"이번 코스닥 시장 상장은 회사가 한 단계 나아가는 초석이 될 것이다. 상장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이뤄내며 업종별 맞춤 솔루션을 제시하는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이 되겠다." 권태일 유라클 대표이사가 30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장 후 사업 계획과 비전을 발표했다. 유라클은 모바일 플랫폼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으로 기업에 최적화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개발과 운영,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바일 플랫폼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현재까지 1000개 이상의 고객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으며, 특히 그룹사의 모바일 플랫폼 표준화를 이끌어 가고 있다. 유라클의 상장 도전은 세 번째이다. 지난 2009년 삼성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해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했으나 좌절됐으며, 이후 2016년에도 주관사 IBK투자증권과 스팩합병을 시도했지만 이내 취소했다. 이에 대해 유라클 관계자는 2009년에는 자신 있는 분야보다는 당시에 부상하던 헬스케어에 힘을 줬던 것을 패착으로 꼽았고, 2016년에는 원하는 수준의 가치평가가 이뤄지지 않아 철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유웅진 유라클 기획관리부문장(상무)은 "코스닥 상장은 회사가 한 단계 점프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이라며 "상장 삼수생인 만큼 좋은 밸류 평가를 받아 열심히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라클의 총 공모주식 수는 75만1000주로, 주당 공모 희망가 밴드는 1만8000~2만1000원이다. 이번 공모 금액은 공모가 밴드 상단 기준 약 157억원 규모다. 지난 29일부터 내달 2일까지 총 5영업일 간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내달 6일과 7일 이틀에 걸쳐 일반 청약을 받는다. 8월 중 코스닥에 상장하는 일정으로 키움증권이 주관을 맡고 있다. 공모로 조달된 자금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제품 고도화 및 해외 진출을 위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플랫폼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유라클의 대표 제품으로는 표준화된 기업용 모바일 앱 개발 플랫폼 '모피어스'를 꼽을 수 있다. 현재 현대자동차그룹과 LG, SK 등 주요 그룹사를 포함한 1000개 이상 고객사가 유라클의 모피어스를 적용하고 있으며, 그룹사 매출 비중은 2020년 16.9%에서 지난해 38.8%까지 늘었다.그룹사 매출이 본격적으로 발생하기 시작한 2021년부터 유라클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작년 연결 기준 매출 457억4595만원, 영업이익 30억9992만원을 달성했다. 유라클은 모피어스의 고도화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화를 통해 국내외 사업영역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7-30 14:18:55 신하은 기자
[IPO 간담회] 산일전기 "기술 노하우 바탕으로 유례 없는 변압기 수요에 대응할 것"

"전기를 다루는 사람들이 이렇게 대접받는 건 37년 동안 사업하며 처음이다. 슈퍼사이클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며 올해 매출 1000억원 이상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박동석 산일전기 대표는 15일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기업공개(IPO)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산일전기는 산업용 변압기 제조기업으로 전력용·배전용 전압기를 주력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과 풍력 등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 등에 사용되는 특수변압기에서 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산일전기는 약 35년간 특수변압기를 미국의 제너럴 일렉트릭, 일본의 도시바,미쓰비시 합작법인(TMEIC) 등 글로벌 전력기기 제조사에 제공하며 기술 노하우를 축적했다. 산일전기의 올해 1분기 전체 수출액 대비 미국 수출액 비중은 70.3%, 유럽 수출액은 21.6%를 기록했다. 박 대표는 "현재는 미국과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레퍼런스를 구축하고 있다"며 "독일의 지멘스(Simens), 미국의 듀크에너지(Duke Energy) 등의 기업들과도 추가로 공급계약을 체결해 포트폴리오를 다양화 하는 중이다"라고 설명했다. 최근 변압기 시장은 ▲미국·유럽의 송배전 전력망 교체주기에 따른 변압기 쇼티지 ▲범국가적 신재생 에너지 활성화 정책 도입 ▲데이터센터와 전기차 충전소 설치 확대 등으로 슈퍼사이클(장기적인 가격 상승 추세)을 맞았다. 산일전기도 유례없는 호황기를 맞고 있다. 산일전기는 지난해 214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1076억원) 대비 2배 가까이 오른 규모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66억원으로 전년 대비 4배 가까이 성장했다. 지난 2021년부터 산일전기는 매출액은 연평균 82%, 영업이익은 865% 성장 중이다. 올해는 매출액 3200억, 영업이익 800억 이상 내는 것으로 목표를 잡고 있다. 유례없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공모자금 대부분은 생산 설비 확충을 위해 투입할 계획이다. 오창희 산일전기 전략기획팀 상무는 "변압기 수요에 발맞춰 선제적으로 2공장 증설을 진행했다"며 "올해 4분기부터 부분가동을 해 2026년까지 전체 기기를 가동할 계획으로 공정 자동화 수준을 높이는 생산 라인도 개선해 수주량을 해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일전기는 이번 상장에서 608만주를 공모한다. 공모희망가는 2만4000~3만원으로 공모 예정 금액은 약 1824억원이다. 17일까지 수요예측, 18~19일 일반청약을 진행한 후 코스피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7-15 15:14:07 전지원 기자
[IPO 간담회] 피앤에스미캐닉스 "글로벌 의료로봇 선도기업으로 도약할 것"...코스닥 출사표

"피앤에스미캐닉스는 로봇의 핵심기술이 내재화된 기업이다. 코스닥 상장은 연구개발 및 생산시스템을 강화를 통한 성장의 계기가 될 것이다. 그간 축적해 온 로봇 분야의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전세계 의료로봇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거듭나겠다." 박광훈 피앤에스미캐닉스 대표이사가 9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지난 2003년 설립된 피앤에스미캐닉스는 설립 이후 약 300종의 로봇을 개발해왔다. 휴머노이드 로봇, 햅틱(Haptic) 기술 등을 통해 기술력을 축적했으며, 2011년 보행재활로봇 워크봇(Walkbot)을 시장에 선보인 후 꾸준한 성능 개선을 통해 국내 재활로봇 시대를 열었다. 워크봇은 뇌졸중이나 척수손상, 소아마비 등으로 인해 걷는 것이 어려운 환자들을 대상으로 과학적 보행 훈련을 지원해 다시 걸을 수 있도록 돕는 재활로봇이다. 피앤에스미캐닉스는 성인전용 '워크봇_S(Walkbot_S)', 아동에 최적화된 '워크봇_K(Walkbot_K)', 로봇모듈 교체형 '워크봇_G (Walkbot_G)', 프리미엄급 최고사양 '워크봇_P(Walkbot_P)'로 보행재활로봇 제품라인업을 구성하고 있다. 회사는 미국의 식품의약국(FDA) 인증을 포함해 수출을 위한 인증도 대부분 취득한 상태다. 특히, 국내 업계 유일의 유럽(CE) 의료기기(MDR) 인증 획득은 기술경쟁력을 보여 준다. 피앤에스미캐닉스는 로봇 핵심 기술 내재화를 기반으로 개발, 생산, 영업 및 서비스를 모두 관장하고 있으며 부품의 95% 국산화를 통한 품질경쟁력, 로봇 원격 점검 기반의 서비스 경쟁력을 갖췄다. 국내 시장의 경우 판매망 다변화와 리스, 할부 프로그램 강화, 해외 시장의 경우 파트너십 확대와 현지법인 설립으로 영업력을 높일 계획이다. 그에 따라 2026년에는 워크봇 판매량을 2023년 대비 2.5배까지 늘릴 예정이다. 성현동 KB증권 연구원은 "피앤에스미캐닉스는 해외 의료관련 인증 19개를 획득, 13개국에 수출하고 있으며 2023년 해외 매출비중은 51%"라며 "기술성 평가(A, A)를 통한 상장 기업임에도 2018년부터 흑자기조를 이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KB증권에 따르면 피앤에스미캐닉스의 2023년 매출액은 60억원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다만 인원 확충 및 각종 인증비용 증가 등으로 영업이익은 13억원으로 하락했다. 2021년에는 매출액 58억원, 영업이익 21억원, 2022년에는 매출액 52억원, 영업이익 20억원을 기록했다. 피앤에스미캐닉스의 총 공모주식수는 135만주로 전량 신주이며, 주당 공모 희망가 범위는 1만4000원에서 1만7000원까지다. 오는 11일부터 17일까지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22일과 23일 청약을 받을 예정이다. 상장주관회사는 키움증권이며 이달 말 상장 예정이다. 공모를 통해 마련된 자금에 대해서는 연구개발과 생산시설 확충 및 해외 진출을 위한 투자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4-07-09 15:39:00 신하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