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빈틈없는 안전망’ 구축 총력…지반침하 감소·배수펌프장 확충 본격화
시민 안전을 최우선 시정 철학으로 내세운 고양시(시장 이동환)가 예측 불가능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체계적인 '안전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다. 지반침하 예방에서 집중호우 대비 배수펌프장 확충까지 선제적 대책을 강화하며 '안심도시'로 나아가고 있다는 평가다. 이동환 시장은 "기후위기에 대비한 철저한 재난 대응은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기본 책무"라며 "체계적인 안전망을 통해 시민들이 언제 어디서든 안심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3년간 1,688km 점검·122개 공동 복구…지반침하 급감 도시 안전을 위협하는 대표적 요인인 지반침하는 고양시의 선제 대응으로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4년간 총 16건의 지반침하가 발생했지만, 2022년 7건에서 2024년 1건, 올해(9월 기준) 2건으로 줄었다. 주요 원인은 하수관 손상, 굴착공사 부실, 다짐 불량 등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성과는 2018년 제정된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법정탐사와 함께 고양시의 자체 지하탐사사업 병행 덕분이다. 시는 매년 시비 2억 원을 투입해 도로·보도·우려 구간 등을 지표투과레이더(GPR)로 정밀 점검하고 있다. 지난 3년간 1,688km를 조사해 122개 공동(空洞)을 조기에 발견, 복구를 완료했다. 또한 한국전력공사, 지역난방공사 등 12개 지하시설물 관리기관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중복 탐사 방지와 예산 절감, 자료 통합관리 효과를 거뒀다. 과거 기관별 개별 대응으로 신속성이 떨어지던 한계를 극복하고, 지자체와 관리주체 간 협력체계를 구축해 사고 발생 시 신속 복구도 가능해졌다. 고양시는 2022년부터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전력공사, 국가철도공단 등 17개 기관을 대상으로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규정」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기관 협력을 강화해 안전관리 체계를 더 공고히 할 방침이다. ◆1천억 원 넘는 배수펌프장 확충…침수 대응력 강화 기후위기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는 도심 침수의 주요 원인이다. 고양시는 강매·대화·장항 등 3곳을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로 지정하고 배수펌프장 신설·증설·리모델링을 추진 중이다. 먼저 강매제2배수펌프장은 2028년 9월 준공을 목표로 총사업비 549억 원(국·도비 포함)을 투입해 공사가 진행 중이다. 현재 공정률은 30%이며, 완공 시 분당 6,700㎥의 배수 용량과 83,400㎥의 유수지를 확보해 50년 빈도 기준 4시간 동안 최대 194㎜ 폭우를 견딜 수 있다. 대화제1배수펌프장은 총사업비 200억 원을 들여 노후 디젤엔진펌프 6대(460㎥/분/대)를 전동모터펌프 6대(530㎥/분/대)로 교체한다. 현재 공정률은 20%로, 2027년 12월 준공 시 매연·소음·진동 저감은 물론 시간당 182㎜ 폭우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장항배수펌프장은 일산테크노밸리·고양방송영상밸리·장항공공주택지구 등 신성장거점 개발지 일대의 침수 대응을 위해 추진된다. 총사업비 480억 원을 투입해 분당 2,900㎥ 배수 능력을 갖춘 50년 빈도 기준 펌프장을 건설할 계획으로, 현재 설계 단계다. 비용은 고양시(96억 원)를 포함해 LH 등 4개 기관이 분담한다. 이와 함께 지난해 완료된 성능진단 용역을 바탕으로 관내 42개 펌프장(유인 10개소, 무인 32개소)을 순차적으로 정비한다. 총사업비는 97억 4천만 원 규모로, 국·도비 확보와 노후 정도를 고려해 단·장기적으로 개선을 추진한다. 특히 준공 후 30년이 지난 신평제1배수펌프장은 내구성 강화와 도시미관 개선을 반영한 리모델링이 진행 중이다. 지붕·벽체 방수와 도장, 외벽 복합패널 설치, 피뢰침 및 우수받이 교체 등 전반적 보강 공사를 통해 성능 개선을 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