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은 책과 함께] 내러티브 뉴스 外
◆내러티브 뉴스 셰릴 앳키슨 지음/서경의 옮김/미래지향 뉴스가 세상에서 벌어진 일들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지 않고, 그들이 보여주고자 하는 것만을 제시한다면 사회는 어떻게 변할까. '내러티브 뉴스'는 뉴스를 설계하고 만들어내려는 시도다. 이는 권력자들이 대중의 견해를 규정하고 제한하기 위해 잘 짜놓은 스토리라인을 일컫는 말이다. 내러티브의 목적은 특정 사상을 사회에 깊숙이 심어 승자독식 구조에 반발이 생기지 않게 만드는 것이다. 독재자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발적으로 정보가 통제되는 환경이다. 사회 지배층은 사람들이 스스로 자기 생각과 행동을 힘 있는 자들의 입맛에 맞게 검열하고, 무엇이 허용되고 어떤 게 허용되지 않는지를 인지하는 세상을 구현하려 애쓴다. 우리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말하고 생각한다고 착각하지만, 자본주의 승자가 만든 시장의 질서를 잘 따르도록 세뇌당한 부품에 불과하다. 기만의 시대에 진실을 말하는 일의 어려움. 364쪽. 1만8000원. ◆일하다 마음을 다치다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지음/나름북스 한국은 강도 높은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사람이 많은 나라로, 오랜 기간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 사회는 정신질환에 관한 이야기를 꺼린다. 일이 주는 스트레스를 당연시하고, 각자가 극복해야 할 과제로 여긴다. 직장 내 괴롭힘, 갑질, 감정노동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정신질환을 앓는 이와 자살자가 늘었지만, 이러한 논의를 정책에 반영하고 노동환경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책은 바꿔야 할 것은 '유리 멘탈'이 아닌 '우리의 일터'라고 강조하며, 몸과 마음을 다치지 않는 안전한 노동 환경을 만들어나갈 방법을 알려준다. 374쪽. 1만7000원. ◆성공한 나라 불안한 시민 이태수, 이창곤, 윤홍식, 김진석, 남기철 외 2명 지음/헤이북스 한국은 세계 경제 10위의 부자 나라이자 선진국 대열에 오른 성공한 나라다. 하지만 최고 수준의 노인 빈곤율, 높은 자살률, 초저출산율 문제를 갖고 있는 살기 팍팍한 나라이기도 하다. 부유한 나라의 시민들은 왜 삶의 만족도가 낮을까. 불평등이 대물림되고, 불공정마저 일상화된 사회에서 대안과 희망이 부재한 현재의 조건이 높은 수준의 울분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책은 분석한다. 저자들은 정치, 경제, 생태 환경 등 사회 전 분야에 걸쳐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고, 그 해결책으로 복지국가 재구조화 방안을 제시한다. 432쪽. 2만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