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학철
낯선 사람의 장학금 제안?...거절이 정답

대학생 A씨는 학자금 대출을 받아 자신에게 맡기면 장학금을 주고 원리금까지 보장된다는 말에 자신의 신분증, 공인인증서, 보안카드를 사기범에게 넘겼다. 사기범은 이를 이용해 저축은행에서 A씨의 명의로 대출을 받아 가로챘다. 이런 수법으로 지난 2012년 5월부터 7월까지 사기를 당한 대학생은 40여명, 피해금액만 약 6억원에 달한다. 1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처럼 최근 대학생을 대상으로한 금융사기가 극성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사기범들은 대학생들이 금융지식이 부족하고 사회경험이 없다는 점을 이용한다. 또 이들은 저축은행 등에서는 소액 신용대출 심사가 허술하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여기에 경기 불황과 취업난이 겹쳐 어려운 경제여건에 처한 대학생들은 금융 사기범들의 범죄에 쉽게 노출되고 있다. 사기범들의 주요 사기유형은 장학금 및 정부지원금을 지급한다고 속여 신분증, 공인인증서, 보안카드 등을 받아낸 뒤 저축은행 등에서 대출을 받고 달아나는 것이다. 또한 다단계 업체들은 취업을 미끼로 대학생들에게 접근해 직접 대출을 하도록 강요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있지도 않은 증권선물투자회사가 인터넷 취업싸이트에 구직 광고를 내 청년 구직자를 대상으로 증권선물계좌를 개설하게 한 사례도 있다. 일정금액을 입금하면 높은 수당을 지급하겠다고 유혹한 뒤 저축은행 등에서 대출을 받도록 유도했다. 계좌로 입금한 대출금은 그대로 사기 업체가 가로채갔다. 금감원은 연초 대학 등록금 납입기간 중 자금 마련이 어려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금융사기가 빈번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어떠한 경우라도 대출을 받으라는 요구에 응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특히 신분증, 공인인증서, 보안카드 등은 절대로 제공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또 취업을 미끼로 물품을 강매하거나 대출을 강요하는 경우도 각별히 유의하고 고소득 약속에 현혹되지 않고 불필요한 대출계약서 작성을 요구 받을 때는 즉시 거절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일단 직접 금융회사에서 대출을 받으면 본인이 상환책임을 져야하고 피해구제도 어렵다. 대출사기를 당하지 않도록 처음부터 주의하는 한편, 금융 대출사기가 의심되면 경찰서에 신고하거나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로 문의하는 것이 좋다.

2014-02-12 14:13:52 김학철 기자
기사사진
[필름리뷰]올블랙 수트 입은 로보캅, 슈퍼히어로로 귀환

"음~치키" 촌스럽고 무거웠던 로보캅이 올블랙 수트의 세련미를 풍기며 돌아왔다. 27년 전인 1987년 '로보캅'을 시작으로 1990년 '로보캅 2', 1993년 '로보캅 3', 2000년 '로보캅 4'에 이르기까지 은빛 수트를 고집했던 그가 작심하고 변화를 꾀했다. 인간미를 가진 동네 로봇 경찰 이미지를 벗고 진정한 슈퍼 히어로 반열에 오르기 위해서 선택한 변화였다. 13일 개봉 예정인 '로보캅'은 2028년 디트로이트를 배경으로 다국적 대기업 옴니코프가 인간을 대체할 경찰 로봇 기용에 반대하는 시민들을 설득하기 위해 인간의 감정과 로봇의 정확함을 혼합한 로보캅을 개발하는데서 시작한다. 그 실험의 주인공으로 범죄자를 쫓다 치명적인 부상을 당한 경찰 알렉스 머피(조엘 킨나만)가 발탁된다. 로보캅이 된 그는 자신이 로봇인지 인간인지에 대한 정체성 혼란을 느끼지만 이내 수트의 통제에서 벗어나 자신의 의지에 따라 판단하고 행동하며 영화에 갈등을 불어 넣는다. 2014년 버전의 '로보캅'은 러닝타임 121분 중 절반인 60분 가량을 로보캅 탄생 배경에 할애했다. 하지만 지루함은 없다. 감각적인 시각 효과를 통해 마치 곧 다가올 미래를 여행하듯 미래 사회를 실감나게 구현했다. 히어로 영화에 필수적인 전투신도 인상적이다. 장면마다 로보캅의 시선을 따라가는 기법으로 촬영돼 마치 관객이 직접 게임을 하는 듯했다. 창고 신에서는 악당들이 조명을 끄자 스크린도 컴컴해져 앞을 볼 수 없는 로보캅의 상황을 관객이 그대로 느끼게 된다. 로보캅의 고글에 비친 열감지 영상, 적을 한 명씩 죽일 때마다 숫자가 하나씩 줄어드는 알람 메시지 등으로 로보캅과 하나되는 순간을 맛볼 수 있다. 제58회 베를린국제영화제 황금곰상을 수상한 호세 파딜라 감독이 감각적이고 세련된 영상미로 새로운 로보캅을 탄생 시켰다. 미국 드라마 '더 킬링'의 조엘 킨나만이 로보캅을 열연했다. 히어로물의 단골인 게리 올드만, '배트맨'의 주인공 마이클 키튼, 할리우드 연기파 배우 사무엘 L.잭슨까지 출연진이 화려하다. 12세 이상 관람가.

2014-02-12 11:18:51 김학철 기자
'편법증여 차단'…보험 명의변경시 국세청에 신고해야

고액 보험 상품을 이용한 편법 증여 가능성이 높아짐에따라 보험 가입자가 명의를 변경할 경우 올해부터는 국세청에 반드시 신고해야 한다. 국세청 및 보험업계는 지난해 상속세 및 증여세법 개정에 따라 올해부터는 생명보험이나 손해보험의 명의를 변경할 시 변경 내용을 관할 세무서장에게 신고해야 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새로운 형태의 보험이 등장한데 따른 것이다. 예를 들어 10억원의 보험료를 한번에 납입한 뒤 자녀 이름으로 명의를 변경한 경우 증여에 해당되지만 지금까지는 과세 당국에 신고할 의무가 없었다. 신고는 보험사나 보험대리점 등에서도 가능하다. 기간은 명의 변경일이 포함된 분기의 다음달 말일까지는 신고해야 한다. 정해진 기간 내에 신고를 하지 않으면 최고 1억원의 가산세를 물게 된다. 또 미제출 금액이나 누락 금액, 불분명한 금액이 있을 경우 1천분의 2에 해당하는 금액을 소득세나 법인세에 가산해 징수하는 등 제재를 받는다. 다만 제출 기한 이후 1개월 이내에 제출하는 경우는 1천분의 1로 가산세를 경감한다. 가산세는 증여에 따른 산출 세액이 없을 경우에도 징수한다고 국세청은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금융상품이 진화하면서 세금을 내지 않고 자녀나 제3자에게 증여하는 상품이 최근 몇년 사이에 계속 나오고 있다"며 "보험 명의변경 신고는 이처럼 금융 상품을 편법 증여 수단으로 삼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2014-02-12 09:40:41 김학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