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재영
기사사진
LG, 창조경제 박람회서 혁신제품 등 전시

LG가 12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창조경제박람회'에서 ▲커브드 스마트폰 기술 ▲협력회사에 올레드(OLED) 소재개발 지원 등 상생협력 ▲ICT(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등을 선보인다. 창조경제박람회는 미래창조과학부, 대한상공회의소 등 관련 정부부처와 기관이 공동으로 주최로, 기업들의 혁신 사례 및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 성과 등이 소개된다. 우선 LG전자의 커브드 스마트폰 'LG G 플렉스'는 스마트폰 기술에 휘어진 디스플레이와 배터리 기술을 융합해 만들어낸 혁신제품 사례다. 이 제품은 LG화학이 독자기술로 배터리를 구부릴 때 받는 물리적 충격을 줄여 세상에 없던 '커브드 배터리'를 개발해 LG디스플레이의 '6인치 플렉서블 올레드 패널'과 결합해 탄생했다. LG전자는 이 제품을 이달 홍콩, 싱가포르 등 아시아에 출시하고 내년 초 유럽 주요 국가에 공급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또 LG전자가 지난 4월 '55인치 곡면 올레드 TV'를 출시하는데 큰 역할을 한 LG화학의 협력회사 올레드 소재 개발 지원 등 상생협력의 성공사례도 소개한다. LG화학은 지난 2000년대 후반부터 협력회사인 '한켐'에 올레드 합성 및 공정 기술을 이전하고 상생협력펀드를 통해 자금을 지원, 올레드 소재의 대량 합성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이밖에 LG전자가 협력회사 '미래코리아'에 TV 프레임 성형기술과 알루미늄 소재 절삭기술을 지원해 초슬림 TV 베젤 개발에 성공한 사례와 LG디스플레이와 협력회사 '탑엔지니어링'이 협력해 일본기업이 독점하던 LCD 기판 유리를 절단하는 GCS(Glass Cutting System) 기술을 국산화한 사례도 알린다. LG는 고효율 태양광 모듈 및 ESS(에너지저장장치), 빌딩관리시스템 (BMS), 스마트그린솔루션(SGS) 등 융복합 ICT 기반으로 친환경 에너지의 생산에서부터 저장,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도 소개한다. LG화학은 연말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최대 전력사인 SCE에 전기차 2000대 분량이 넘는 전력망용 ESS 배터리를 최근 납품을 완료했고, LG CNS는 지난달 쿠웨이트 초중고교의 전력수요 공급자관리 시스템 구축 사업을 수주한 바 있다.

2013-12-12 10:28:04 김태균 기자
현오석 부총리, 개혁 미진 공공기관장 해임도 불사

"과다 부채로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고, 과잉 복지로 국민의 불신을 산 공공기관을 비정상에서 정상으로 돌려놓겠다.결연한 마음으로 공공기관 정상화라는 시대적 과제를 소신있게 추진하겠다"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1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제15차 공공기관운영위원회의를 주재한 후 가진 기자 브리핑에서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이 이번에는 다를 것이다"며 이 같이 밝혔다. 현 부총리의 이런 결연한 의지를 반영하듯 정부는 이날 566조원에 달하는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 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도높은 개혁작업에 착수키로 했다. 여기에는 기관 정상화 방안과 함께 이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기관장 해임까지 가능토록 극약처방도 마련됐다. 우선 정부가 부채관리 강화에 나선 곳은 LH공사, 수자원공사, 철도공사, 도로공사, 한전(한수원 등 발전자회사 포함), 가스공사, 석유공사 등 12곳이다. 이들 기관의 부채는 현재 412조3000억원에 달하고 있다. 이들 기관은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상 기관별 부채증가율 당초 전망대비 30% 축소 ▲모든 사업 원점 재검토 ▲부채 가중사업 근본적 개편방안 마련 등이 담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내년 1월말까지 부채감축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는 또 1인당 복리후생비가 많은 마사회, 인천공항, 조폐공사, 지역난방공사, 거래소, 수출입은행, 강원랜드 등 20개 기관도 정상화 계획을 제출토록 했다. 정부는 과도한 보수·복리후생 조정 노력, 성과 등이 담긴 가칭 '보수 및 복리후생 관리' 평가지표를 신설하고 이 지표의 평가비중을 8점에서 12점으로 높여 다른 항목의 점수가 높더라도 성과급을 못받는 D나 E등급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했다. 이들 공공기관의 부채감축과 방만경영 개선계획은 이행여부 평가를 거쳐 내년 3분기중 중간평가를 실시해 부진한 곳은 기관장을 해임건의키로 했다. 현 부총리는 "이번에 대책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며 " 누적된 부채와 고질화된 방만 경영의 고리를 차단하고, 공공기관이 정상화될 때까지 개혁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2013-12-11 16:32:33 김태균 기자
기사사진
[글로벌 이코노미] 그리스, 영국 등 '난방 빈곤층' 급증

매서운 겨울 한파보다 더 무서운 '에너지 한파'에 유럽이 몸살을 앓고 있다. 그리스에서는 전기세를 내지 못해 추위에 떨던 시민들이 숨지는 사고가 연일 발생했고, 영국에서도 '난방 빈곤층'이 혹독한 겨울을 보내고 있다. 최근 그리스 제2도시인 테살로니키의 단전된 가구에서 화재와 가스중독 사고가 잇따랐다. 시민들이 난로를 피워 생활하다가 가스에 중독되거나 형광등 대신 켜 둔 양초가 쓰러져 화재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그리스는 2010년부터 구제금융을 받는 조건으로 임금과 연금을 삭감하고 세금을 늘리는 긴축 정책을 펴고 있다. 이 때문에 실업률이 지난 8월 27.3%로 치솟았고 빈곤층 가구 비중도 지난해 23%로 증가했다. 그리스 정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25만여 가구가 요금 미납으로 단전됐다. 영국도 난방 빈곤층 문제가 심각하다. 영국 일간 미러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영국에서 겨울철 사망한 사람은 약 3만 1000명으로 전년 보다 29% 증가했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비싼 전기세와 가스비 때문에 난방을 제대로 하지 못해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런던 윔블던에 살고 있는 오창균씨는(31세) "영국은 한국처럼 보일러 시스템이 아니라 라디에이터나 히터로 안방과 거실을 부분적으로 난방한다"면서 "도심의 아파트는 괜찮지만 오래된 주택의 경우 단열 처리가 잘 안돼 있어 겨울철 난방비가 많이 든다"고 밝혔다. 오씨는 "방 두개짜리 아파트에 사는 3인 가정의 경우 가스 라디에이터를 사용하면 한 달 가스비가 30파운드(약 5만원) 정도 나온다"면서 "주택에서 라디에이터를 사용하면 가스비가 100파운드(약 17만원)는 족히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저소득층의 경우 난방비를 아끼려고 한겨울에도 난방을 하지 않고 덜덜 떨며 생활하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11년 유럽에서 겨울철 사망한 사람 중 30%는 어려운 경제 사정으로 가정에서 난방을 제대로 하지 못해 숨졌다. /seonmi@

2013-12-11 15:36:56 조선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