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 '입술 노화' 연구...빅데이터로 풀어내
LG생활건강이 입술 이미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입술 노화의 특징을 확인했다. LG생활건강은 '입술 노화 특성에 대한 대규모 한국인 여성 이미지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을 피부과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 '스킨 리서치 앤 테크놀러지' 1월호에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전 세계적으로 나이에 따른 입술 변화를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분석한 첫 연구 사례로 LG생활건강은 관련 특허도 출원했다. LG생활건강 R&I 연구소는 입술 노화 분석을 위해 20세부터 69세까지 국내 여성 1000명의 입술을 찍은 고해상도 이미지를 확보하고 안면 특징점 추출 기술, 패턴 인식 기술 등을 활용했다. LG생활건강 연구팀에 따르면 입술 노화가 진행될수록 입술은 형태, 표면 주름, 톤 등 3가지 핵심 요소에서 변화를 보였다. 나이가 들수록 입술은 얇고 납작한 형태가 된다. 또 입술 표면의 가로, 세로 주름은 증가하고 붉고 노란 톤이 감소하면서 생기가 감소했다. 특히 입술 주름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세로 주름 비중이 높은 '세로형 입술 주름'에서 가로와 세로 주름이 교차하는 '격자형(그물 형태) 입술 주름'으로 변화한다는 점이 이번 연구로 새롭게 규명됐다. LG생활건강은 이러한 입술 노화 연구 성과를 '립세린' 개발에도 적용한다. '립세린'은 입술 주름, 각질, 윤기, 탄력, 보습 등을 관리하는 기능성 제품이다. LG생활건강은 지난 2023년 10월부터 더후, 오휘, CNP, 빌리프, 글린트 등 주요 브랜드에서 립세린을 출시해 지금까지 약 43만 개의 판매고를 올렸다. 뿐만 아니라 LG생활건강은 6년 동안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 5만7000명의 피부 데이터를 독자 구축하는 등 다양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 전문적인 안티에이징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