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짝' 출연자 사망 사고, 경찰 "촬영서 강요·모욕 없어"

SBS 예능 프로그램 '짝' 출연자가 목을 매 숨진 사건을 수사 중인 제주 서귀포경찰서는 촬영과정에서 강요나 모욕 등은 없었던 것으로 잠정 결론 내렸다. 강경남 서귀포서 수사과장은 12일 "SBS에서 촬영본을 전량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촬영과정에서 강요나 협박, 모욕 등 위법행위는 발견되지 않았다"며 "이번 주 안에 수사를 종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찰이 SBS로부터 제출받은 촬영본은 총 7∼8테라바이트로 영화로 치면 400∼500편 정도 되는 방대한 양이다. 앞서 경찰은 숨진 전모(29·여)씨의 부모와 '짝' 제작진, 출연진 등을 조사한 데 이어 전씨의 휴대전화 통화기록, 문자메시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내용 등도 분석한 바 있다. 전씨는 지난 3월 5일 오전 2시께 '짝' 녹화를 위해 머물렀던 서귀포시의 한 펜션의 화장실에서 자살했다. 그는 메모를 통해 "엄마 아빠 너무 미안해. 그거 말곤 할 말이 없어요. 나 너무 힘들었어. 살고 싶은 생각도 이제 없어요. 버라이어티한 내 인생 여기서 끝내고 싶어"라는 내용의 유서를 남겼다. 이어 "애정촌에 와있는 동안 제작진 분들한테 많은 배려 받았어요. 그래서 고마워. 근데 난 지금 너무 힘들어. 여기서 짝이 되고 안 되고가 아니라 삶의 의욕이 없어요"라고 유서를 마무리 지었다. 한편 전씨가 지인들과 주고받은 카카오톡 메시지엔 '같은 기수 출연자들도 내가 제일 타격 클 것 같대', '둘이 밖에서 이벤트 한 거 녹음해서 다 같이 있는 데서 틀어놓는데 나 표정관리 안 되고 카메라는 날 잡고 진짜 짜증났어', '신경 많이 썼더니 머리 아프고 토할 것 같아' 등의 내용이 담겨있어 촬영 과정 중에 강압적인 분위기가 형성됐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 바 있다.

2014-05-12 17:30:17 김지민 기자
기사사진
"디지털 미래 한국에 있다" 구글 부사장 극찬

"첨단 디지털 라이프의 미래, 한국에서 알 수 있다." 세계 최대 인터넷 기업 구글의 고위층 인사가 한국의 모바일 기술과 환경을 극찬했다. 제이미 로젠버그 구글 디지털콘텐츠 부사장은 12일 서울에서 열린 '구글플레이 데이' 행사 기조연설에서 "한국은 삼성·LG전자가 만든 훌륭한 모바일 기기로 뛰어난 디지털 경험을 하는 나라다. 모바일 기술혁신의 방향성과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구글플레이에서 인기가 높은 몇몇 국산 앱을 일일이 거론하며 한국 개발자들이 좋은 상품을 많이 만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구글에 따르면 한국은 개발자 숫자나 앱 다운로드 건수, 매출액 규모 모두 상위 5위 안에 든다. 지난 2년간 구글플레이에 등록한 한국 개발자 수는 3배 증가했다. 로젠버그 부사장은 최근 국내에서 이슈화되고 있는 플랫폼 수수료 문제에 대해서는 "수수료 모델을 변경할 계획은 없다"면서 "모든 관계자들에게 적절한 보상이 이뤄지도록 하겠다"는 기존의 입장을 반복했다. 공교롭게도 같은 날인 이날 네이버의 자회사 캠프모바일이 폐쇄형 SNS '밴드'를 활용한 '밴드 게임' 10종을 출시했다. 이에 대해 로젠버그 부사장은 "자체 게임 플랫폼 기능을 하는 한국의 모바일 메신저 업체들도 경쟁 관계가 아닌 안드로이드 생태계 파트너 중 하나며 이들의 등장은 고무적"이라고 에둘렀다. 한편 구글플레이 데이에서는 구글플레이에 등록된 주요 국내 파트너사들의 시연이 진행됐다. 집, 출퇴근길 지하철, 사무실, 술집 등 한국인의 일상을 네 가지 공간으로 나누고 각각의 상황에 필요한 앱을 소개했다. 글로벌 다운로드 1000만 건을 기록한 '낚시의 신'(컴투스), 알람앱 '알람몬'(말랑스튜디오), 다이어트 앱 '눔'(눔코리아) 등 40개 업체의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해 구글플레이에서의 성공 사례를 발표했다.

2014-05-12 17:17:49 박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