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MBN '천기누설' 골반운동, 바질 씨앗 다이어트…체형별 다이어트 방법 소개

'천기누설 골반운동, 바질 씨앗 다이어트' 최근 다양한 다이어트 방법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효과를 검증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27일 오후 11시 MBN의 '천기누설'에서는 비만으로 인해 질병을 앓고 있거나 여러차례 다이어트를 시도했다가 실패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해독다이어트를 '실험'한 결과를 공개했다. '천기누설' 제작진은 참가를 희망한 200여명의 지원자들 가운데 사연이 있고 건강이 좋지 않은 5명을 선정, 가정의학과 전문의 박용우 박사와 함께 4주간 해독다이어트를 진행했다. 특히 참가자 가운데 오는 6월 결혼식을 올리는 예비부부가 주목을 받았다. 예비 신랑(31세)과 신부(30세)는 모두 비만이었고 예비신랑은 사전 혈액검사 결과, 당뇨병(공복혈당 182, 식후혈당 275)에 지방간이 심한 상태였다. 예비신부 역시 당뇨병 전단계인 내당능장애로 판정받았다. 결혼을 눈앞에 두고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한 두사람은 크게 충격을 받은 모습이었다. 자신의 건강도 문제지만 앞으로 태어날 2세의 건강이 걱정됐기 때문이다. 이들은 4주간 해독다이어트를 통해 꼭 건강을 되찾겠다는 약속을 서로에게 했고, 실패할 경우 "결혼하지 않겠다"는 충격선언까지 했다. 이둘은 주 단위로 체중과 체성분, 골격근 및 체지방량 등을 분석하며 해독다이어트를 진행했다. 4주후 공개된 두사람의 체중과 혈당, 간기능 검사 결과는 놀라웠다. 해독다이어트의 효과를 건강검진 수치로 확인한 이들 예비부부는 2세를 위해 완전한 건강남녀로 다시 태어날 것을 다짐했다. 또 평소 50kg 초반의 몸무게를 유지했던 정민영 씨는 첫 아이를 임신한 당시 70kg에 육박하는 상황까지 이르렀다. 다이어트를 시도한 후에도 65kg에서 정체가 찾아왔는데 바질 씨앗 다이어트를 통해 현재 55Kg으로 체중 감량에 성공했다. 바질 씨앗은 풍부한 식이섬유를 비롯해 비타민과 다양한 미네랄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날 MBN '천기누설'은 '적게 먹고 많이 운동하라'는 교과서식 다이어트에 지친 시청자들에게 포인트 레슨도 제공한다. 박용우 박사가 다양한 연령층의 참가자 5명과 함께 해독다이어트 프로젝트에 참가한 결과도 공개됐다. 유해 음식을 피하면 4단계에 걸친 '해독밥상'만으로 몸의 독소를 제거하고 다이어트에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박용우 박사는 "3일간 단백질 음료만을 복용하며 몸을 깨끗이 비운 후, 식사량과 음식을 단계별로 늘리는 것이 핵심 포인트"라면서 "이어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현미채식과 좋은 단백질 음식으로 몸의 균형을 유지해 독소와 살을 빼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식이조절을 하지 않고 살을 빼는 특별한 운동법도 소개됐다. 살이 찌면서 허리디스크와 당뇨까지 생긴 한 50대 주부는 비뚤어진 골반을 교정함으로서 다이어트에 성공했다. 먹고 싶은 음식을 다 먹으며 그녀의 특별한 골반 운동으로 살이 빠졌다고 소개했다.

2014-03-28 09:23:58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소리바다 유희열과 스트리밍 서비스

국내 최대 음원 보유 온라인 음악서비스 업체 소리바다는 동서식품의 인스턴트 원두커피 맥심 카누(KANU)와 제휴를 맺고 새로운 스트리밍 서비스를 한다. 소리바다는 이번 제휴로 음악과 함께 아메리카노를 즐기기 위해 세상에서 가장 작은 뮤직카페라는 컨셉트로 다양한 이벤트와 서비스를 선보인다. 특히 최근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뮤지션 유희열이 직접 선곡한 음악과 그에 대한 이야기를 제공해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한번에 즐길 수 있다. 이는 현재 방영되고 있는 TV CF에서 볼 수 있듯이 유희열이 DJ로 변신해 직접 고른 음악들을 소리바다 플레이어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유희열은 기분이나 날씨 등 상황에 어울리는 음악을 선곡해 소리바다에서 지속적으로 공유할 예정이다. 27일 새롭게 시작한 스트리밍 이벤트는 유희열이 선곡한 따뜻한 봄에 어울리는 음악을 소리바다 사이트와 모바일 앱의 이벤트 페이지에서 체험할 수 있다. 또 음악 선곡에 대한 이유와 그 외의 이야기들도 별도의 로그인 없이 누구나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그 외에 맥심 카누를 판매하는 대형마트 등의 판매처에서 TV CF와 연계한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음악 체험 기회를 제공하며, 소리바다 이용권 쿠폰도 지급할 예정이다. 이번 스트리밍 이벤트는 5월 31일까지 진행된다.

2014-03-28 09:21:56 박성훈 기자
[재산공개]행정부 고위공직자, 재산 평균액 12억원 달해...朴 대통령 2억7천만원↑

국가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등 행정부 고위공직자의 작년말 기준 재산의 평균액이 1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8일 관보에 공개한 2014 정기재산변동 내역을 보면 행정부 고위공직자의 작년말 기준 재산은 평균 11억9800만원으로 집계됐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의 공개 대상은 국가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학총장, 공직유관단체 임원, 기초·광역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의원, 시·도교육감 등 총 1868명이다. 장기간 지속되는 경기침체 중에도 정부·자치단체 고위직의 평균재산을 1년 전과 비교하면 2800만원이나 늘었다. 그러나 평균재산 상승분의 절반 이상은 공무원 최고 부자인 전혜경 국립농업과학원장이 올해 공개대상에 포함된 데 따른 결과로 나타났다. 전 원장은 지난 2012년 12월 31일 당시 교육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작년 공개대상에서는 제외됐다. 재산이 329억2천만원인 전 원장을 제외할 경우 평균재산 증가폭은 1100만원 정도로 줄어든다. 나머지 증가분은 땅값 상승과 급여저축의 결과라고 안전행정부는 분석했다. 지난해 개별공시지가는 3.41%,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은 2.5%가 상승했다. 다만 아파트 공시가격은 4.1%나 하락해 아파트만 보유한 고위공직자의 부동산 자산가치는 하락했다. 행정부 고위공직자의 40%는 재산 신고액이 10억원 이상이었고, 50억원 이상 자산가는 2.5%로 나타났다. 올해 공개 대상자 1868명 중 17.0%인 318명은 1년만에 재산을 1억원 이상 불렸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은 재산이 2억7천만원 넘게 증가했다. 정 총리의 재산은 240만원이 늘어 18억8천만원이었고, 장관급 인사 24명의 평균재산은 1년 전에 비해 약 6천만원이 감소한 15억9천만원으로 집계됐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문용린 서울시교육감은 재산이 각각 9천100만원과 7천800만원 감소했다. 특히 박원순 서울시장은 2년 연속으로 재산이 감소, 빚이 재산보다 6억9천만원이나 더 많았다. 작년에 중앙정부와 자치단체에서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인사는 최호정 서울시의원과 장호진 외교부 장관특별보좌으로 각각 80억3천만원과 78억3천만원이 늘었다. 가족 재산을 고지거부한 기간이 만료돼 갱신을 해야 하는데도 이를 놓쳐 부모 재산이 합산됐기 때문이다. 자치단체 공직자 중에서는 235억1천만원을 신고한 진태구 충남태안군수가 최고를 기록했다.

2014-03-28 09:16:42 서승희 기자
기사사진
[재산공개] 새누리 168억·민주 13억…상위 10걸 중 8명은 새누리

재력가가 많은 새누리당 의원들의 강세가 두드러진 가운데 야당에서는 안철수 의원의 가세로 지도부로의 '부(富) 쏠림' 현상이 새롭게 드러났다. 28일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013년도 국회의원 재산변동사항을 보면 지난해 12월31일 기준 정당별 소속 의원들의 평균 재산은 새누리당이 167억654만원으로 민주당(12억6720만원), 통합진보당(1억5896만원), 정의당(2억6832만원)을 월등히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0억원 이상의 재산을 보유한 4명 중 무소속 안철수 의원(현 새정치민주연합)을 제외한 3명이 새누리당 소속이다. 1위는 새누리당 정몽준 의원이 2조430억4302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지난해 4월 서울 노원병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안 의원이 1569억2494만원으로 2위에 진입했다. 3·4위는 새누리당 김세연 의원(985억5021만원)과 박덕흠 의원(539억354만원)이 각각 차지했다. 재산총액 상위 10걸도 2명을 제외한 8명이 새누리당 소속이었다. 500억원 이상 자산가인 정몽준·김세연·박덕흠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새누리당 의원들의 평균 재산은 24억403만원으로 민주당의 2배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새정치민주연합 안·김한길 공동대표(45억2023만원)는 당내 재산순위에서도 1·3위에 올랐다. 장병완 정책위의장은 82억4841만원으로 당내 2위(전체 10위), 신경민 최고위원도 36억6264만원으로 당내 7위에 이름을 올렸다. 재산 하위 10걸에는 경남기업 회장을 지낸 새누리당 성완종 의원이 부채 7억5460만원으로 최하위였다. 이 밖에도 정의당 심상정 의원과 새누리당 김상민 의원이 각각 6048만원, 615만원의 부채를 신고했다. 민주당 박홍근 의원(8511만원), 유은혜 의원(9062만원), 김광진 의원(9272만원)은 1억원 미만으로 하위 8~10위에 머물렀다.

2014-03-28 09:15:51 조현정 기자
기사사진
[재산공개] 최성준 방통위원장 후보자 재산 1억원 감소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의 재산이 지난해 약 1억1000만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대법원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8일 공개한 고위 공직자 재산변동 신고 내역에 따르면 최 후보자는 지난해 12월 31일 부인과 딸 1명을 포함해 총 34억402만원을 신고했다. 이는 전년도 신고액 35억1517만원보다 1억1115만원 줄어든 것이다. 이기주 방통위 상임위원 내정자의 재산은 서울 강남구 아파트 가액 상승 등에 따라 23억3512만원에서 25억690만원으로 1억7178만원 증가했다. 박만 방송통신심의위원장은 부모와 장남의 고지 거부 등으로 인해 31억99만원에서 29억9990만원으로 1억109만원 줄었다고 신고했다. 이원창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사장은 경기도 여주의 임야 가격 상승 등에 따라 14억9602만원에서 18억1953만원으로 3억2351만원 증가했고 신용섭 EBS 사장도 11억3300만원에서 13억13만원으로 1억6713만원 늘었다. 지난 25일 퇴임한 이경재 전 방통위원장은 본인의 서울 서초구 아파트 가액이 떨어지고 장남이 고지를 거부하면서 전체 재산이 17억7176만원에서 14억7373만원으로 2억9천803만원 감소했다. 김충식 전 부위원장은 급여소득과 자녀 결혼 축의금 등으로 21억2781만원에서 22억1200만원으로 8419만원 증가했다.

2014-03-28 09:13:41 김학철 기자
기사사진
[재산공개]국방부 등 고위 공무원 "10명중 7명 작년보다 재산 늘었다"

국방부와 산하기관, 그리고 각 군 중장 이상 고위 공무원 10명중 7명의 재산이 지난해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관보에 게재된 공직자 재산변동 현황에 따르면 국방부와 국가보훈처, 병무청, 방위사업청에 근무하는 재산공개 대상자 65명 가운데 작년 말 기준으로 1년 전보다 재산이 줄었다고 신고한 사람은 27.7%에 해당하는18명에 불과했다. 나머지 47명(72.3%)은 부동산 가치 상승과 예금 증가, 상속 등으로 재산이 늘었다고 신고했다. 신고대상 중 30억원 이상 자산가도 3명이나 됐다.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사람은 권오성 육군참모총장으로 토지(23억3808만원)와 예금(29억3242만원) 등을 포함해 51억2850만원(이하 배우자·자녀 재산 포함)에 달했다. 권 총장은 상속과 예금자산 증가 등의 영향으로 1년 새 재산이 8억4853만원 늘었다. 이용걸 방위사업청장(34억9804만원)과 이용대 국방부 전력자원관리실장(31억6213만원)도 30억원대 재산을 신고했다. 방효복 한국국방연구원장(28억7009만원)과 선영제 전쟁기념사업회 회장(26억2771만원), 전인범 특전사령관(23억3563만원)도 20억원대 자산가로 꼽혔다. 재산신고 대상자 중 재산이 10억원 이상인 고위직은 22명으로 전체의 34%였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1년 전보다 1억118만원 줄어든 14억7328만원, 현역 군인 중 서열 1위인 최윤희 합참의장은 같은 기간 2억230만원 감소한 6억5764만원의 재산을 각각 신고했다.

2014-03-28 09:12:41 서승희 기자
기사사진
[재산공개]총리실 고위직, 평균 재산 17억원

지난해 총리실 고위직의 평균 재산이 17억원으로 집계된 가운데 김준경 국조실 한국개발연구원장이 29억5920만원으로 가장 높은 재산을 신고했다. 총리실 고위직의 평균 재산은 17억3000만원을 나타났다. 재산공개 대상자 14명 중 9명의 재산이 줄었다. 김준경 국조실 한국개발연구원장으로 토지, 건물, 예금, 보석 등을 합쳐 모두 29억5920만원을 신고했다. 김 원장의 재산은 지난해보다 738만원 줄었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평균치보다 높은 19억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지난해보다 240만5000원 늘어난 18억7979만9000원을 신고했다. 정 총리가 보유한 경남 김해시 토지와 서울 서초구 아파트·오피스텔은 9억9650만원, 정 총리 내외가 보유한 예금 및 보험은 모두 8억1580만원으로 평가됐다. 정 총리는 6750만원 상당의 골프 회원권도 보유했다. 정 총리는 장남 재산에 대해선 '독립생계 유지'를 이유로 재산고지를 거부했다. 김동연 국무조정실장은 1년전보다 7651만1000원 감소한 16억8943만8000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배우자가 소유한 서울 강남 도곡동의 아파트와 경기 성남·안양시의 아파트는 10억900만원, 김 실장 부부와 차남이 소유한 예금은 8억6433만원이다. 홍윤식 국무1차장은 모두 24억1천877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는데 이는 지난해보다 1억5908만원이 감소했다. 홍 차장 내외는 강원 강릉시와 경기 양평군 일대에 총 2억532만원 상당의 토지를, 서울 강남구 대치동과 노원구 중계동 등에 총 15억4482만원 규모의 아파트와 건물을 지녔다. 이들 부부는 7억5968만원의 예금과 상장 주식 2억6146만원, 1억5600만원 상당의 골프 및 콘도 회원권도 소유했다. 고영선 국무2차장은 부부 소유의 건물(28억8420만원)과 부부·자녀의 예금(4억426만원) 등을 합해 모두 23억6487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호영 국무총리비서실장은 아파트와 연립주택 등 건물, 예금, 주식 등을 합쳐 모두 4억9000만원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신고했다. 이 밖에 심오택 국정운영실장은 7억172만원, 김희락 정무실장은 9억7924만원의 재산을 각각 신고했다..

2014-03-28 09:05:42 서승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