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佛, 박사논문 깜짝 '3분' 발표..네티즌 인기투표 진행

프랑스 낭트에서 박사학위 논문이 '스피드 데이트' 방식으로 발표돼 주목받았다. 데일리모션은 낭트(Nante),앙제르(Angers),망스(Mans)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는 19명이 3분간 3년동안의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장면을 녹화했다. 인터넷을 통해 이 동영상을 본 네티즌들은 오는 금요일까지 가장 마음에 드는 논문을 뽑을 수 있다. 논문 주제는 경제,문학,생물학 등 그 분야도 다양하다. ◆ 다양하고 정밀한 박사 논문 공개 가장 인기가 많은 동영상 두 편은 오는 3월 28일 열리는 지역 콩쿠르 결승에 자동 진출하게 된다. 콩쿠르는 세미나 형식을 띄고 있으며 행사는 특히 박사논문 준비자들이 실제 연구를 접하고 기업들과 만나볼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 이번 행사를 맡은 리즈 테볼트(Lise Thebault)는 "콩쿠르의 취지는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박사과정의 논문 내용을 접하고 교류하는데 있다. 대부분의 경우 박사과정은 주변 사람들에게 이해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짧게 설명하는 방식은 듣는 사람과 발표하는 사람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콩쿠르는 회사생활을 하면서 박사논문을 병행한 경우도 있어 이들이 발표하는 실질적 연구결과가 기업에게도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 기욤 프루앙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4-03-10 19:34:40 정주리 기자
방통위 "KT 홈페이지 해킹 982만명 피해…유출고객 조회시스템 구축"

방송통신위원회는 KT 홈페이지 해킹 사건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건수가 982만여 명으로 조사됐다고 10일 밝혔다. 방통위는 이날 현재까지 조사 결과에 따르면 KT에서 유출된 총 건수는 1170만8875건이며 1명의 이용자가 여러대의 이동전화를 사용하는 경우 등 중복을 제거하면 통지 대상 이용자는 981만8074명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이번에 유출된 개인정보는 12개 항목으로, 이름, 주소,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신용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은행계좌번호, 고객관리번호, 유심카드번호, 서비스가입정보, 요금제 관련정보 등이었다. 조사 결과 KT는 처음부터 신용카드 비밀번호와 CVC번호는 보관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방통위는 KT로 하여금 개인정보가 유출된 이용자에게 이메일, 우편을 통해 통지하도록 했으며, 자사 홈페이지에 개인정보 유출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인정보 유출고객 조회시스템'을 구축·운영토록 했다. 또한 개인정보 침해대응 핫라인(136개 방송, 통신, 인터넷 관련 협회 및 주요사업자)을 통해 유출 원인과 대응 방안을 전파해 유사한 방식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했다. 방통위는 '개인정보 유출고객 조회시스템'에서 개인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한 뒤 미가입 부가서비스에 대한 요금 청구 여부, 본인도 모르는 휴대전화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피해 발생 사실이 있는 경우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118)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와 관련해 방통위는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를 24시간 가동하고 개인정보를 이용한 스미싱·파밍 등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개인정보 불법 유통 및 노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이용자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개인정보 유출 불안심리를 이용한 사이버사기 대처요령은 미래부 블로그(blog.daum.net/withmsip)에도 게시돼 있다. 한편 방통위는 불법 유통 개인정보에 대한 수요를 제거, 유출 유인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통신분야 특별 조사팀'을 구성하고, 대규모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이통3사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현황과 영업점(대리점, 판매점 등 하위 영업점)의 개인정보 관리현황을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14-03-10 19:06:24 이재영 기자
KT, 해킹 사고 고객안내 및 확인 시스템 오픈

KT가 홈페이지 해킹으로 인한 고객정보 유출과 관련, 고객안내·조회 시스템을 11일 오픈한다. KT는 오는 13일부터 e메일과 우편을 통해 개인정보 유출 고객에게 사과와 함께 사건 개요 및 유출정보 확인 절차를 안내할 예정이며 홈페이지를 통해서는 11일 0시부터 확인이 가능하다고 10일 밝혔다. 이에 따라 KT 고객들은 자신의 개인정보 유출 여부를 '올레닷컴' 홈페이지(www.olleh.com) 및 KT 홈페이지(www.kt.com), 고객센터(무선 114번, 유선 100번)를 통해 11일부터 확인할 수 있다. 불법TM으로 의심되는 전화를 받을 경우 고객센터 및 불법TM신고센터(1661-9558)로 연락하면 된다. KT는 이번 사건을 사칭해 개인정보를 묻거나 피싱이 의심 가는 전화·문자가 발생할 수 있어 방송통신위원회와 협의를 거쳐 문자메세지나 전화를 통한 안내는 하지 않기로 했으며 고객들의 유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KT는 고객정보 유출사고와 관련해 주간에 상담이 어려운 직장인들을 고려, 이번주 24시간 고객센터의 야간 투입인력을 3배까지 확대하고 주요 도심에 위치한 플라자 운영 시간도 기존 오후 6시에서 오후 8시까지 연장 운영한다. 한편 KT는 방통위와 조사결과 카드비밀번호와 CVC번호는 보관하고 있지 않으며, 유출 대상 인원도 1200만 명이 아닌 약 980만 명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2014-03-10 18:54:05 이재영 기자
기사사진
분데스리가 브레멘 아론 훈트 'PK 양심선언' 훈훈

축구 스타의 양심선언이 그라운드를 녹이고 있다. 치열한 몸싸움과 경쟁을 요하는 스포츠가 바로 축구다. 이에 축구 선수들은 소위 말하는 할리우드 액션을 통해 심판들의 눈을 속이고 반칙을 받아내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심판의 판정에 대해 양심선언한 선수가 등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바로 독일 프로축구 분데스리가 베르더 브레멘의 주장 아론 훈트가 주인공이다. 지난 9일 독일 분데스리가 FC뉘른베르크와 베르더 브레멘 간의 경기에서 브레멘의 주장인 아론 훈트(28·독일)는 패널티 박스 안쪽에서 돌파를 시도하려다 상대 수비수 하베에르 피놀라(31·아르헨티나)의 발에 걸린 듯한 동작을 취하며 넘어졌다. 이에 곧바로 심판이 휘슬을 울리고 페널티킥을 선언했다. 그러나 훈트는 주심에게 다가가 시뮬레이션 액션임을 인정했다. 훈트의 말에 주심은 즉각 판정을 번복해 경기를 속개했다. 추가 실점의 빌미를 제공할 뻔했던 수비수 피놀라는 감동한 듯 훈트의 손을 잡아끌며 악수를 청했고, 뉘른베르크 미드필더 마이크 프란츠(33·독일)는 훈트를 향해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 이후 독일 분데스리가 공식 유튜브 채널은 훈트의 양심선언을 극찬하고 나섰다.

2014-03-10 18:51:59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검찰, '간첩사건 조작' 의혹 국정원 압수수색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 증거조작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10일 서울 내곡동 국가정보원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날 오후 5시께 수사팀을 내곡동 국정원 청사에 보내 대공수사팀 사무실 등에서 컴퓨터와 수사기록 등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국가정보기관인 국정원 내부에 대한 압수수색인 만큼 사전에 국정원의 협조를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국정원 협력자 김모(61)씨는 검찰 조사 과정에서 "싼허 변방검사참(출입국사무소)의 답변서를 위조했으며 국정원도 이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취지의 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국정원 대공수사팀 직원이 김씨를 만나 문서 입수를 요구했으며 김씨로부터 위조된 문서를 받아 검찰에 제출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국정원이 김씨에 문서 입수를 요구한 경위와 김씨가 전달한 위조문서를 사후에 인지했는지, 그 대가로 금품을 전달했는지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그동안 공식 외교경로를 거쳐 입수된 것으로 알려진 이 문건과 국정원 협조자의 연관성이 확인될 경우 유우성(34)씨의 간첩 혐의를 짜맞추기 위해 국정원이 조직적으로 증거를 조작했다는 의혹에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2014-03-10 18:30:59 김민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