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우크라이나 사태 쇼크' 여파 글로벌 증시 급락... 국제유가, 금값 동반 급등(상보)

일촉즉발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3일 글로벌 증시가 급락한 반면 국제유가와 금값은 동반 급등했다. 이날 미 뉴욕증권거래 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53.68포인트(0.94%) 하락한 1만6168.03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3.72포인트(0.74 %) 떨어진 1845.73에 마감했다. 나스닥종합지수는 30.82포인트( 0.72%)내린 4277.30을 나타내는등 3대지수 모두 급락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의 하락폭은 한 달 만에 최고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대립은 일촉즉발 상황으로 치달으면서 러시아 증시의 RTS 지수는 이날만 11.80%나 폭락했다. 유럽등 글로벌 증시도 동반 폭락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지수는 전 거래일 종가보다 3.44% 내린 9358.89로 거래를 마쳤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도 1.49% 하락한 6708.35에,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지수 역시 2.66% 떨어진 4290.87에 각각 마감했다. 미국은 러시아에 대해 정치, 경제적인 제재를 하겠다고 경고했지만 러시아는 크림반도 국경 지대에 장갑차 등 병력을 운집시켜 양측 사이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어 글로벌금융시장은 당분간 요동칠 전망이다. 반면 국제유가와 금값은 급등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지난주 종가보다 2.33달러(2.3%) 오른 배럴당 104.92달러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마감 기준으로 지난해 9월 이래 5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런던 ICE선물시장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81달러(1.66%) 뛴 배럴당 110.88달러 선에서 움직였다. 금값도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서 급등세를 보였다. 4월물 금은 지난주 종가보다 28.70달러(2.2%) 높은 온스당 1350.30달러에서 장을 마감했다.

2014-03-04 08:00:25 김하성 기자
기사사진
미국 증시,'우크라이나 사태 쇼크' 153.68P 급락,러시아 증시는 대폭락

일촉즉발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위기가 고조되면서 3일 미국 증시가 급락했다. 특히 러시아 증시는 무려 12% 가량 대폭락했다. 이날 미 뉴욕증권거래 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53.68포인트(0.94%) 하락한 1만6168.03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3.72포인트(0.74 %) 떨어진 1845.73에 마감했다. 나스닥종합지수는 30.82포인트( 0.72%)내린 4277.30을 나타내는등 3대지수 모두 급락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의 하락폭은 한 달 만에 최고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대립은 일촉즉발 상황으로 치달으면서 러시아 증시의 RTS 지수는 이날만 11.80%나 폭락했다. 유럽등 글로벌 증시도 동반 폭락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지수는 전 거래일 종가보다 3.44% 내린 9358.89로 거래를 마쳤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도 1.49% 하락한 6708.35에,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지수 역시 2.66% 떨어진 4290.87에 각각 마감했다. 미국은 러시아에 대해 정치, 경제적인 제재를 하겠다고 경고했지만 러시아는 크림반도 국경 지대에 장갑차 등 병력을 운집시켜 양측 사이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어 글로벌금융시장은 당분간 요동칠 전망이다.

2014-03-04 07:31:02 김하성 기자
北-日 적십자, '日유골문제' 2년여만에 공식 협의

북한과 일본이 중국에서 열린 적십자 실무회담을 통해 북한 내 위치한 일본인 유골 문제 해결을 위한 공식 협의 절차에 들어섰다. 이는 2012년 8월 베이징에서 열린 이후 1년 7개월 만이다. 리호림 북한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서기장은 3일 선양(瀋陽)에서 북한 내 일본인 유골 문제와 관련, 일본적십자사와 협의를 마친 뒤 기자들에게 "조일(북일) 쌍방이 일본인 유골 문제 해결을 위해 앞으로 계속 만나는 것이 필요하다는 공동 인식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다사카 부장은 "이번 회담 중에는 북한 내 일본인 유골 매장지 주변에 개발사업이 진행돼 해당 매장지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한 얘기도 나왔다"면서 "이 문제를 일본에 돌아가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검토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진행 상황에 따라 하루 이틀가량 연장될 가능성도 나왔던 이번 회담은 주요 의제에 대한 공감대를 토대로 하루 회담으로 마무리됐다. 일본 정부는 태평양전쟁 당시 북한 지역에 주둔했던 일본군과 종전 후 귀국하지 않은 사람 등 자국민 가운데 총 3만4000여명이 북한 지역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산하고있다. 이 가운데 1만3000여구의 유골은 종전 직후 일본으로 보내졌으며 나머지 유골 2만1000여구는 아직 북한 내에 있을 것으로 일본 측은 추정하고 있다.

2014-03-03 22:44:59 서승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