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美하원 4명, 미국내 北이산가족 상봉 촉구 결의안 발의

북한에 가족이나 친척을 남겨두고 미국에 이민을 온 한국계 미국인과 북한 내 친지의 상봉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미국 연방 하원에서 발의됐다. 7일(현지시간) 워싱턴DC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한국전쟁 참전용사 출신의 찰스 랭글(민주·뉴욕), 존 코니어스(민주·미시간), 샘 존슨(공화·텍사스), 하워드 코블(공화·노스캐롤라이나) 하원의원은 전날 이런 내용의 공동 결의안(H.CON.RES.91)을 하원 외교위원회에 제출했다. 이들은 결의안에서 "한반도 분단으로 1000만명의 한국인이 서로 떨어져 살고 있고 이 가운데 일부는 미국 시민권자"라며 "남북한 간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간간이 열리고 있음에도 미국이 북한과 외교 관계가 없다는 이유로 한국계 미국인은 배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2001년 현재 10만명 이상으로 추산되는 한국계 미국인 이산가족의 상당수는 이미 세상을 떠났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이 60년 만에 처음으로 북한에 있는 친지를 만날 기회를 얻기를 학수고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 4명의 의원은 앞서 지난달 초 미국 내 한국인 이민자의 이산가족 상봉과 북한에 억류된 케네스 배(한국명 배준호)씨의 석방을 촉구하는 내용의 서한을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를 통해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게 보낸 바 있다.

2014-03-08 05:41:31 김민준 기자
기사사진
러시아, 크림반도 먹을수 있을까?···경제적 부담 매년 30억달러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크림반도를 합병하려면 막대한 경제적 부담을 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반면 러시아가 크림반도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경제적 이익은 크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타르타스 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가 크림을 합병할 경우 초기 10년 동안 매년 약 30억 달러의 예산을 투입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8일 보도했다. 2025년까지 약 300억 달러가 소요될 것이란 추산이다. 구체적으로 러시아와 크림을 연결하는 교통 및 에너지 공급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고 러시아 연방의 한 주체가 된 크림 정부에 대한 재정 지원도 해야한다. 약 200만명 크림 주민의 사회보장 책임도 떠맡아야 하는 등 지출이 적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이미 러시아 정부는 지난 10년 동안 논의됐지만 실현되지 못한 크림반도-러시아 남부 연결 다리 건설 사업을 재추진하고 있다. 케르치 해협을 가로지르는 다리 건설에는 약 14억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러시아가 크림반도로부터 얻는 경제적 이득은 미미하다. 2012년 크림 자치공화국 총생산은 43억 달러로 우크라이나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2.4% 수준에 불과했다. 러시아로 편입되더라도 러시아 GDP에 고작 0.2% 기여를 할 수 있을 뿐이다. 한편 러시아 하원이 크림 자치공화국 의회가 결의한 러시아로의 귀속을 묻는 주민투표에 대해 지지의사를 밝혔다. 이보다 앞서 지난달 25일 크림 공화국을 방문한 러시아 의회 대표단은 현지 당국자들을 만나 주민들의 투표나 의회 결정으로 크림을 러시아에 병합해 달라 요청하면 이를 신속히 검토할 것이라고 강조했었다.

2014-03-07 20:45:32 이국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