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골리앗' 카카오 '다윗' 아프리카TV 만났다

카카오의 게임 유통 플랫폼 '카카오 게임하기'가 만만치 않은 상대를 만났다. 인터넷 개인방송으로 유명한 아프리카TV의 '게임센터'가 '다윗'을 자처하며 '골리앗' 카카오에 도전하고 있다. 이미 아프리카TV 게임센터로 유저를 만나고 있는 와이디온라인의 모바일 RPG '천만의 용병' 등은 안드로이드 게임 순위 상위권에 오르는 등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아프리카TV 게임센터는 카카오 게임하기와 차별화에 나섰다. 채널링이라는 유통 방식은 비슷하지만 카카오가 입점 게임을 나열하는 진열식 플랫폼이라면 아프리카TV는 퍼블리싱에 근접한 작업을 하고 있다. 즉 카카오가 백화점이라면 아프리카TV는 영업, 마케팅 등 더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아프리카 게임센터는 방송을 진행하는 주체 BJ(Broadcasting Jokey)를 중심으로 시청자들이 모여 게임 내에서 서로 돕고 그룹 경쟁을 하는 클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BJ가 게임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게임을 먼저 접한 사람들의 플레이를 공유하는 등 자발적인 게임 알리기가 가능하다. 게임 내에 BJ 캐릭터, 목소리 삽입 등의 부가서비스도 곁들인다. 여기에 게임 이용자와 방송 제작자·시청자가 선순환할 수 있는 구조를 정착시키기 위해 보상 아이템 '초콜릿'을 도입했다. 게임을 설치하거나 플레이 또는 아이템을 구매할 때마다 '초콜릿'을 제공하고 유저는 이 아이템을 플랫폼에서 퀵뷰, 슈퍼 채팅 등 유료 아이템으로 교환하거나 BJ에게 선물할 수 있다. 또 BJ는 선물받은 초콜릿을 자신의 방송활동에 도움이 되는 유료 아이템으로 교환할 수 있다. 인기 BJ '양띵'은 고정 애청자가 50만명에 이른다. 인기 아이돌 동방신기 팬클럽 회원이 65만명인 것을 감안하면 적지 않은 파급력을 가진 셈이다. 아프리카TV 게임센터의 또 다른 매력은 수수료가 저렴하다는 점이다. 카카오 게임하기를 접하면 게임 제작사에게 돌아가는 몫은 최대 49%다. 반면 아프리카는 최저 50%이상을 보장한다. 아울러 향후 매출 수준에 따라 수수료를 차등 적용하고 있으며 별도의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아프리카TV 경영기획실 안세림 과장은 "카카오를 따라잡기 보다는 게임에 특화된 플랫폼으로 발전시킨다는 복안이다. 게임 생태계 다양성 차원으로 이해해달라"고 설명했다.

2014-02-18 15:25:01 박성훈 기자
기사사진
빙그레, 폭발사고로 숨진 도씨 등 하도급 직원에겐 "대피지시 안했다"

남양주 빙그레 제2공장 사고와 관련, 빙그레 측이 자사 직원들만 대피시키고 하도급업체 직원에게는 대피 지시를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 남양주경찰서는 18일 숨진 도양환(55)씨의 동료와 공장 관계자의 진술을 종합한 결과 '(도씨를 포함해) 물류 담당 하도급업체인 케이퍼슨 소속 직원들에게는 따로 대피 지시가 없었다'고 밝혔다. 사고 당시 도씨와 함께 있었던 하도급업체 동료 왕모(49)씨는 지난 17일 경찰 조사에서 '대피 지시를 받지 못했고 점심시간이 끝나고 오후 1시가 돼 (도씨와 함께) 업무를 위해 창고로 다시 들어가자마자 사고가 났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왕씨는 창고 바깥에 나와 있어 다행히 화를 면했지만 창고 안에서 작업 중이던 도씨는 미처 몸을 피할 새도 없이 사고를 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앞서 경찰은 빙그레 측 안전 책임자와 빙그레 하도급업체인 케이엔엘물류의 재하도급업체 케이퍼슨 책임자 등 모두 6명을 불러 조사했으며 이들 중에서도 왕씨와 도씨에게 대피명령을 전달한 사람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남양주 빙그레 제2공장 사고는 지난 13일 오후 1시 5분께 남양주시 도농동 빙그레 제2공장 내 암모니아 탱크 배관이 폭발해 도씨가 숨지고 직원 3명이 부상했으며 암모니아 가스 1.5t이 유출돼 주민들이 악취 피해를 겪은 사고다.

2014-02-18 15:09:17 김두탁 기자
한·일 외교채널 연쇄접촉…관계 개선되나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이후 중단됐던 한·일외교가 당국간 고위급 교류가 사실상 재개되면서 관계가 개선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일 양국은 도쿄와 서울에서 국장급 이상의 외교채널을 연쇄 가동했다. 17일 도쿄에서 이병기 주일 대사가 사이키 아키타카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을 만난데 이어 18일 서울에서는 이하라 준이치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방한해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면담했다.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이후 양국간 열린 첫 국장급 실무접촉이다. 이런 연쇄 접촉의 핵심 논의 포인트는 양국간 관계개선 문제다. 특히 과거사 문제로 양국 관계가 악화됐다는 점에서 이와 관련한 해법이 집중 모색될 것으로 분석된다. 우리 정부는 과거사 도발로 양국관계를 악화시킨 일본이 먼저 진정성 있는 조치로 이를 결자해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번 한·일 양국의 외교채널 연쇄가동은 4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순방을 앞두고 존 케리 미 국무부 장관이 지난 13일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중재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고 예고한 뒤 이뤄졌다. 하지만 정부 당국자는 "이하라 국장은 한국 내 일본 공관회의 참석차 온 것"이라면서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국장과의 만남은 신임 인사 차원으로 큰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2014-02-18 14:58:01 김민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