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정부, 설 명절 생계형 민생사범 5925명 특별사면(종합)

박근혜 대통령이 설날을 앞두고 취임 후 첫 특별사면을 단행했다. 황교안 법무부 장관은 2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영세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 서민 생계형 형사범과 불우 수형자 5925명에 대한 특별사면을 29일자로 단행한다"고 밝혔다. 권력형 부정부패와 비리에 연루된 정치인·기업인은 이번 사면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와 밀양 송전탑 반대시위 참여자들도 이번 특별사면 심사 대상에 오르지 않았다. 수형자 383명과 가석방 중인 231명은 형집행을 면제받거나 감형을 받게 됐다. 집행유예·선고유예자 5296명은 형선고의 효력이 상실됐다. 불우수형자 11명은 형집행을 면제받고, 4명은 감형 혜택을 받게 됐다. 또 죄질과 집행률, 수형생활 등을 고려해 재범 가능성이 낮은 모범수와 서민 생계사범 871명에 대해선 가석방이 이뤄진다. 도로교통법을 위반해 벌점을 받거나 면허정지 및 취소, 면허시험 응시제한 조치를 받은 288만7601명은 행정제재 감면 조치를 받았다. 벌점 일괄삭제가 279만728명, 면허정지·취소처분 집행면제 또는 잔여기간 면제 4만884명, 면허 재취득 결격기간 해제 2만1326명, 2종 원동기 면허 보유자에 대한 특별감면 3만4663명 등이다. 또한 7061명의 어업인 면허·행정제재와 1753명의 해기사면허 제재를 감면하고 84명의 자가용 차량 유상운송 행정제재에 대해서도 감면 조치했다. 정부는 생계형 범죄로 수형 중인 서민들의 조속한 사회복귀와 정상적 생계활동을 배려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번 사면을 단행했다고 설명했다. 법질서 확립 기조를 유지하고 원칙을 지키기 위해 정치인과 공직자, 대기업 경영자 등 사회지도층 및 부패사범은 철저히 배제했다고 강조했다. 운전면허 행정제재 감면 대상에서도 음주운전 사범은 전원 제외해 원칙에 따라 신중하게 사면권을 행사했다고 밝혔다. 실제 이번 형사범 대상자 5925명은 2008년 광복절(1만416명), 2009년 광복절(9467명)과 비교하더라도 상당수 줄어들었다. 설 특별사면 대상자 확인은 법무부 해당 부서나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운전면허 취소자의 특별사면은 운전면허시험관리공단에서 확인 가능하다.

2014-01-28 13:07:59 조현정 기자
기사사진
프랑스 우체국, '우편 물량 급감'으로 위기...대책 마련 나서

프랑스 우체국이 우편 물량의 급감으로 적자를 면치 못하자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필립 왈(Philippe Wahl) 우체국 회장은 28일(현지시각) 위기에 처한 회사의 시스템 개편 전략을 발표할 것이라 밝혔다. 이는 프랑스 우체국 역사에서 전무후무한 일이다. 현재 우편 물량의 추세로는 올해 유럽연합이 정한 최소 할당금을 채우지 못하는 수준. 궁지에 몰린 프랑스 우체국이 위기를 벗어날 방법으론 '혁신'이 유일한 방법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우체국은 은행 서비스와 전자 시스템을 활용한 소포 서비스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이에 더해 우표 값 인상, 우편물 보관소 확충등과 같은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 우표값 인상 지난 1월 1일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우표값은 인상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노동총연맹(CGT)의 클로드 킹키( Claude Quinquis)에 따르면 현재 프랑스 우체국은 우표값 인상에 대한 승인권이 없기 때문에 그보단 작은 서비스들에 관해 가격을 올리는 방안도 예상된다. ◆ 우체부 영역 넓히는 서비스 검토 우체부가 활동하는 범위가 크게 줄었다는 문제점도 제기됐다. 현재 프랑스 우체국은 전국에 걸쳐 1만7000지점의 상호부조 연결망을 가지고 있기에 이를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는 상황. 특히 주유소나 약국과 협력해 우체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선 가정에 직접 약을 배달하거나 노인들에게 식사를 전하는 등 배달의 폭을 넓히는 방법도 있다. / 토마스 귀엥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4-01-28 12:45:45 정주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