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그래픽] 한국 사회보장 지출 OECD 꼴찌
우리 정부의 전체 지출 가운데 사회보장비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국 중 꼴찌인 반면 경제활성화 비용의 비중은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안전행정부가 공개한 OECD의 '한눈에 보는 정부' 비교 결과에 따르면 2011년 기준으로 한국 정부의 사회보장 지출은 전체 지출의 13.1%에 불과해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적었다. 덴마크는 전체 지출 중 43.8%를 사회보장에 써 비중이 가장 컸다. 독일(43.3%), 룩셈부르크(43.2%), 핀란드(43.1%), 일본(42.7%), 프랑스(42.6%) 등도 사회보장 지출 비중이 한국의 3배를 넘었다. 한국의 경제활성화 지출 비중은 20.1%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컸다. 이어 아일랜드(16.4%), 헝가리(14.4%) 순으로 비중이 컸고 영국(5.3%), 이스라엘(5.8%), 덴마크(6.1%) 등은 최하위 수준이었다. 한국은 교육에 15.8%, 보건에 15.2%, 공공서비스에 15.2%를 각각 지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OECD 회원국들은 평균적으로 사회보장에 35.6%, 보건에 14.5%, 공공서비스에 13.6%, 교육에 12.5%, 경제활성화에 10.5%를 각각 지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총생산(GDP) 중 정부지출 비중은 한국이 30.2%로 꼴찌에서 두 번째였다. GDP 중 정부지출 비중이 가장 큰 나라는 덴마크(57.6%)였고 프랑스(55.9%), 핀란드(55.2%) 순이었다. OECD 회원국들의 평균은 45.4%였다. 이 보고서는 OECD 회원국 간 정부운영 현황과 성과를 비교해 격년으로 발간하는 것으로, 정부 분야에서 유일한 국가 간 비교자료다.